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12

CHAPTER 1. INTRODUCTION 14

1. Research Background 14

2. Research Aims and Methodology 17

3. Research Significance 18

CHAPTER 2. EMM IN THE URBAN MOBILITY 20

1. Urban Mobility 20

A. Electric Micro-Mobility as a New Mobility Solution 20

B. Twin Transition 25

2. EMM Characteristics 27

A. Sidewalks Separation 27

B. EMM Features 28

3. General Micro Mobility Guidelines 30

4. EMM Guidelines 33

CHAPTER 3. GREENWAY FRAMEWORK 34

1. Greenway Relation to Active Transportation 34

2. Greenway System and Conceptual Framework 37

3. Greenway Spatial Components and Social-ecological Framework 39

A. Greenway Spatial Components 39

B. Social-ecological Framework 40

4. Greenway Guidelines Achieving Social-ecological Framework 44

5. Design Strategies for EMM in Greenway Design 46

A. Inviting Setting 46

B. Harmonious Setting 47

C. Integrative Setting 48

CHAPTER 4. JANGHANG ABANDONED RAILWAY 49

1. Site Analysis 49

A. Historical Background 49

B. Site Location and Urban Context 50

C. Site Current Conditions 51

D. Site Context 53

E. SWOT Analysis 54

2. Site Planning and Design 54

A. Design Concept 54

B. Design Strategies 55

C. Recommended Road Connectors 60

3. Fundamental Design Elements 64

A. Master Plan 64

B. Site Spatial Components and Programs 64

C. Design Details and Perspectives 68

CHAPTER 5. CONCLUSION 72

References 74

논문요약 78

Figure 1-1. Design Methodology 18

Figure 2-1. EMM Features 28

Figure 2-2. EMM Strengths and Weaknesses 29

Figure 2-3. Bicycle Paths 30

Figure 2-4. Bicycle Tracks 30

Figure 2-5. Bicycle Lanes 30

Figure 2-6. Two-way Cycle Tracks 32

Figure 2-7. One-way Protected Cycle Tracks 32

Figure 2-8. Buffer Zone 32

Figure 2-9. Vertically Separated 32

Figure 2-10. Electric Micro Mobility Strategies 33

Figure 3-1. Greenway system and Conceptual Framework 38

Figure 3-2. Greenway Spatial Components 40

Figure 3-3. Greenway Strategies 45

Figure 3-4. Inviting Setting 47

Figure 3-5. Harmonious Setting 47

Figure 3-6. Integrative Setting 48

Figure 4-1. Historical Timeline 49

Figure 4-2. Site Location 50

Figure 4-3. Urban Context 50

Figure 4-4. Top-down View 51

Figure 4-5. Site Photography 52

Figure 4-6. Site Accessibility 53

Figure 4-7. Site Surroundings 53

Figure 4-8. SWOT Analysis 54

Figure 4-9. Design Concept 55

Figure 4-10. Site Zoning Strategy 56

Figure 4-11. EMM Transportation Routes Strategy 57

Figure 4-12. EMM Strategy 58

Figure 4-13. Greenway Strategy 59

Figure 4-14. Recommended Road Connectors 60

Figure 4-15. Downtown Two-way Protected Path 61

Figure 4-16. Neighborhood limited path 62

Figure 4-17. Narrow Side Path 63

Figure 4-18. Master Plan 64

Figure 4-19. Marine zone 65

Figure 4-20. Cultural Zone 66

Figure 4-21. Agricultural Zone 67

Figure 4-22. EMM design details 68

Figure 4-23. EMM Facilities 68

Figure 4-24. Perspective of EMM facilities 69

Figure 4-25. Perspective of EMM Main Station 69

Figure 4-26. Perspective of Marine Zone 70

Figure 4-27. Perspective of Agricultural Zone 70

Figure 4-28. Perspective of Cultural Zone 71

Figure 4-29. Perspective-2 of Agricultural Zone 71

초록보기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구의 미래는 도시가 어떻게 성장하고 기능하며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달려 있다. 따라서 도시는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를 달성하기 위한 진전을 가속화할 수 있다. 최근 많은 국제기구에서는 녹색전환(Green Transition)과 디지털전환(Digital Transition)을 결합한 "트윈 트랜지션(Twin Transition)"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 이 개념은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에 지속적인 디지털화를 도입하는 동시에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 동안 도시 교통수단에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전에는 이동성이 주요 개념이었고, 도시 내에서 많은 사람들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중교통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동의 필요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이동성보다는 접근성에 대한 논의로 전환되었다.. 그 결과, 전기 소형 이동수단(Electric Micro Mobility, EMM)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도시에 기회와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 계획과 인프라 설계를 재고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동 형태의 변화에 대한 인식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와 전기 자전가와 같은 EMM 은 기존의 자전거를 대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을 이용한 이동 방식 을 변화 시키며 지속 가능한 도시의 목표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린웨이 개념을 EMM 계획에 통합하는 중요성을 살펴보고, 철도폐선부지를 활용한 EMM 의 장점과 잠재력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지로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에 위치한 장항 철도폐선부지를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문헌 기반 연구를 통해 설계 개념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웨이 개념을 도입하여 EMM 차선을 관리하기 위한 선형 공원을 개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설계 개념과 전략을 제안한다. 이는 주차 구역, 충전소, 정비소와 같은 시설을 조성하는 동시에 차선 내에 레크레이션 기능을 통합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스테이션 기반 시스템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그린웨이 개념이 어떻게 EMM 차선 관리를 설계하고 지원하는 핵심 도구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제공한다. 또한 녹지 공간의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활용을 보장하면서 연결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