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4

1.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 14

가. 직무소진 개념 14

나.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 15

2. 이직의도 16

가. 이직의도 개념 16

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17

3. 직무열의 19

가. 직무열의 개념 19

나.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20

4. 상사-부하교환 21

가. 상사-부하교환의 개념 21

나. 상사-부하교환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22

5. 연구모형 23

Ⅲ. 연구 방법 24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절차 24

2. 측정도구 26

가.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 26

나. 이직의도 26

다. 직무열의 27

라. 상사-부하교환 27

마. 통제변인 27

3. 분석방법 28

Ⅳ. 결과 29

1.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29

가.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 29

나. 이직의도 31

다. 직무열의 32

라. 상사-부하교환 33

마. 측정 모형 적합도 검증 34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5

3. 가설검증 37

가.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주효과 검증 37

나.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검증 37

다.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부하교환의 조절효과 검증 39

라. 직무열의를 통한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간접관계에서의 상사-부하교환 조절효과 42

Ⅴ. 논의 44

1. 연구결과 요약 44

2. 연구적 의의 46

가. 학문적 의의 46

나. 실무적 시사점 47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 49

Ⅵ. 참고 문헌 51

Ⅶ. 부록 56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빈도와 비율 25

표 2.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 타당도 및 신뢰도 30

표 3. 이직의도의 직무소진 타당도 및 신뢰도 31

표 4. 직무열의의 직무소진 타당도 및 신뢰도 32

표 5. 상사-부하교환의 직무소진 타당도 및 신뢰도 33

표 6.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6

표 7.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37

표 8.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 직무열의, 이직의도의 관계 38

표 9.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39

표 10.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부하교환의 조절효과 40

표 11. 직무열의를 통한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간접관계에서의 상사-부하교환 조절효과 42

표 12. 가설검증 결과 43

그림 1. 연구모형 23

그림 2.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상사-부하교환의 조절효과 그래프 41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부하직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직무소진이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상사-부하교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상사가 있는 국내 직장인 400명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89명의 설문조사 응답 결과,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 정(+)적 관계가 검증되었으며,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사-부하교환이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간의 부(-)적 관계를 강화하였으며, 직무열의를 통한 지각된 상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 간접효과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