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2. 연구문제 25

Ⅱ. 이론적 배경 26

1. 초심 수퍼바이저 26

가. 초심 수퍼바이저의 정의 26

나. 초심 수퍼바이저의 특성 29

다. 국내 초심 수퍼바이저 연구 32

라. 국외 초심 수퍼바이저 연구 35

2. 수퍼비전 교육모델 38

가. 수퍼비전의 정의 38

나. 수퍼비전 교육모델의 역사 39

다. 수퍼비전 역량기반 교육모델 48

라.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60

3. 훈련프로그램 76

가. 훈련프로그램의 실태 76

나. 훈련프로그램의 내용 78

다. 훈련프로그램의 방법 82

Ⅲ. 연구 1.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모형 개발 90

1. 문헌 연구 92

2.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요구 설문조사 92

3. 숙련 수퍼바이저 및 초심 수퍼바이저 심층면담 조사 95

가. 연구 참여자 95

나. 자료 수집 방법 97

다. 자료 분석 방법 99

라. 연구 결과 100

4. 교육모형의 초안 확정 116

5. 교육모형의 내용타당화 120

가. 연구 참여자 120

나. 자료 수집 방법 121

다. 자료 분석 방법 122

라. 연구 결과 124

6. 초심 수퍼바이저의 통합적 교육모형 137

7. 논의 139

Ⅳ. 연구 2.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147

1. 프로그램 기획 149

가. 프로그램의 방향 및 목표 설정 149

2. 프로그램 구성 151

가.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151

나. 프로그램 변화 원리에 따른 프로그램 모형 개발 152

다. 프로그램 세부 활동 및 내용 조직 156

3.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164

가. 1차, 2차 내용타당도 평가 및 피드백 164

나. 1차 안면타당도 평가 및 피드백 167

4. 프로그램 실시 167

가. 최종 실습프로그램 167

5. 프로그램 평가 173

가. 연구 참여자 173

나. 측정도구 175

다. 실험설계 177

라. 연구 절차 179

마. 자료 분석 방법 183

바. 연구 결과 185

6. 논의 222

Ⅴ. 종합논의 234

1. 결과 및 논의 234

2.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243

참고문헌 248

부록 267

부록 1.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요구조사 설문지 268

부록 2. 2차 델파이조사 결과 273

부록 3. 회기별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 훈련프로그램(요약본) 277

부록 4. 심리치료 수퍼바이저 발달 척도(PSDS) 295

부록 5. 수퍼바이저 행동 질문지 297

부록 6. 지각된 유능감 질문지 300

표목차

표 1. 국내 연구의 초심 수퍼바이저 기준 28

표 2. 발달모델의 발달 요소와 단계별 특징 44

표 3. 사회적 역할 모델이 제시한 수퍼바이저의 역할과 과업 48

표 4. 수퍼비전 역량체계 52

표 5. 국내 상담 수퍼바이저 역량모형 54

표 6.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점을 통합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61

표 7. 수퍼바이저 훈련프로그램의 내용 관련 연구 80

표 8. 수퍼바이저 훈련의 15가지 방법 85

표 9.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요구 설문조사 참여자 기초정보 93

표 10. 숙련 수퍼바이저 심층면담 참여자 기초정보 96

표 11. 초심 수퍼바이저 심층면담 참여자 기초정보 97

표 12. 면담 흐름표 내용 99

표 13. 숙련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과 노하우 104

표 14. 숙련 수퍼바이저의 초심 수퍼바이저를 위한 교육 요구 111

표 15. 초심 수퍼바이저들의 교육 요구 114

표 16.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모형을 위한 구성요소 참고자료 118

표 17. 델파이 전문가 패널 정보 121

표 18. 평정자 수에 따른 내용타당도 비율의 최소값 124

표 19. 확정된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모형 131

표 20.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 훈련프로그램의 변화원리 154

표 21. 최종 예비 실습프로그램 161

표 22. 예비 실습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전문가 기초정보 165

표 23. 1차, 2차 전문가 자문 결과 및 수정·보완 사항 166

표 24. 최종 실습프로그램의 실제 169

표 25.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74

표 26. 프로그램 효과검증 설계 178

표 27.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량 186

표 28. 연구 변인에 대한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정 187

표 29. 연구변인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 검증 결과 188

표 30. 수퍼바이저 발달 변인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189

표 31. 수퍼바이저 발달 변인에 대한 집단과 측정 시기의 상호작용 사후검정 결과 191

표 32. 수퍼바이저 발달(전체)에 대한 집단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3

표 33. 수퍼바이저 발달(전체)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3

표 34. 수퍼바이저 발달(유능감)에 대한 집단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4

표 35. 수퍼바이저 발달(유능감)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5

표 36. 수퍼바이저 발달(정체성)에 대한 집단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6

표 37. 수퍼바이저 발달(정체성)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7

표 38. 수퍼바이저 발달(자기인식)에 대한 집단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8

표 39. 수퍼바이저 발달(자기인식)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8

표 40. 수퍼바이저 발달(성실성)에 대한 집단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199

표 41. 수퍼바이저 발달(성실성)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200

표 42. 수퍼바이저 행동 변인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201

표 43. 수퍼바이저 행동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202

표 44. 지각된 유능감 변인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203

표 45. 지각된 유능감에 대한 집단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203

표 46. 지각된 유능감에 대한 측정 시기의 단순 주효과 사후검정 204

표 47. 요소별 효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205

표 48. 회기별 리플렉션 페이퍼 요약 218

그림목차

그림 1. 역량기반 교육모델 49

그림 2. 수퍼비전의 일곱 개 초점 모델 58

그림 3.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모형 개발 절차 91

그림 4. 초심 수퍼바이저 통합적 교육모형 138

그림 5.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 훈련프로그램 개발 절차 147

그림 6. 프로그램 구성방안 도식화 과정 150

그림 7.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 훈련프로그램 모형 156

그림 8. 이론강의안 예시 158

그림 9. 수퍼바이저 발달(전체)의 상호작용 그래프 194

그림 10. 수퍼바이저 발달(유능감)의 상호작용 그래프 195

그림 11. 수퍼바이저 발달(정체성)의 상호작용 그래프 197

그림 12. 수퍼바이저 발달(자기인식)의 상호작용 그래프 199

그림 13. 수퍼바이저 발달(성실성)의 상호작용 그래프 200

그림 14. 수퍼바이저 행동의 상호작용 그래프 202

그림 15. 지각된 유능감의 상호작용 그래프 204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을 토대로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2개의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숙련 수퍼바이저와 초심 수퍼바이저의 심층 면담,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거쳐 교육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이론과 실습이 포함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2차례에 걸친 타당도 검증 절차를 거쳐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모형으로 관계, 사례개념화, 평가, 운영 및 개입 기술, 성찰, 윤리의 6가지 교육 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를 통합적 교육모형으로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개발된 교육모형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전-사후-추후 실험 비교통제집단 실험설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이론프로그램과 실습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이론프로그램과 학회의 이론교육을 실시하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기로 하였다. 자발적인 참여자들을 세 집단에 무선배치한 후, 참여자 32명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양적연구 결과를 위해 측정도구는 수퍼바이저 발달, 수퍼바이저 행동, 지각된 유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질적연구 결과를 위하여는 참여자의 리플렉션 페이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 검정을 위하여 양적연구에서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수집된 자료를 3개 집단(실험, 비교, 통제)과 측정 시기(사전, 사후, 추후)에 따라 구분하여 연구변인의 기술통계량과 정규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효과 검증 분석에 앞서 자료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혼합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모든 종속변인들이 정규성 확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모수 정규성 검정인 Sapiro-Wilk 검증을 하여 실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3x3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과 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거나 독립변인에 따른 단순 주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독립변인의 조건에 따라 연구 변인의 평균값이 어떤 변화 경향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Bonferroni 사후검정 방식을 통하여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한편, 질적 연구에서는 내용분석을 통해 요소별 효과를 분석하고 회기별 요약을 실었다.

연구 결과, 수퍼바이저의 발달, 지각된 유능감 수준에 대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수퍼바이저 행동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요소별 효과 양상을 분석한 결과, 6가지 요소에 있어서 고른 효과를 보였다.

국내 수퍼바이저 훈련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없는 실정에서 이론과 실습이 포함된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은 초심 수퍼바이저들에게 실질적이고 유용한 도움을 제공하고, 향후 수퍼바이저 교육 및 훈련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