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國文抄錄 8
ABSTRACT 10
Ⅰ. 序論 13
1. 연구목적 13
2. 선행연구 16
3. 연구방법 20
Ⅱ. 道敎의 韓國受容과 展開 23
1. 한국도교의 기원과 삼국시대의 수용과정 24
1) 도교의 기원과 개념 24
2) 삼국시대의 수용과 전개 28
2. 통일신라시대의 仙思想과 풍류도 40
1) 仙思想과 도교사상 40
2) 풍류도와 수련도교의 전래 43
3. 고려시대의 민중도교 46
4. 조선시대 한국도교의 근대적 변모 51
1) 조선시대 수련도교와 민간신앙 51
2) 선서신앙과 칠성신앙 52
Ⅲ. 洪局奇門의 起源과 特徵 57
1. 기문둔갑의 기원과 발전 58
1) 중국 기문둔갑의 기원과 전개 58
2) 기문둔갑의 특징 64
2. 홍국기문의 기원과 서경덕의 기철학 66
1) 홍국기문의 기원과 특징 66
2) 서경덕의 기철학과 象數學 75
3. 『홍연정결』의 구조와 특징 84
1) 한국식 기문 체계 구축 84
2) 天上局과 天下局 86
4. 정결홍국수의 특징과 상수학 원리 88
Ⅳ. 洪局奇門과 民衆道敎 104
1. 교단도교와 민중도교 105
1) 정령설과 경신신앙 105
2) 홍국기문의 주술적 형태 113
2. 도교 『옥추경』의 한국 전래와 발전 129
1) 『옥추경』의 기원과 한국수용 129
2) 『옥추경』의 편제와 기능 135
3. 민중도교의 특징과 홍국기문의 수련 150
1) 민중도교의 특징 150
2) 홍국기문 수련의 특징 162
4. 홍국기문과 도교의 인간존중사상과 여성관 173
1) 홍국기문의 인간존중과 도교의 重人貴生 173
2) 홍국기문과 도교의 여성관 177
Ⅴ. 洪局奇門의 현대적 활용과 의의 187
1. 현대적 활용 187
2. 현대적 의의 190
Ⅵ. 結論 192
參考文獻 196
〈그림1〉 甲戌符(좌), 甲子符(우) 116
〈그림2〉 甲午符(좌), 甲申符(우) 117
〈그림3〉 甲寅符(좌), 甲辰符(우) 118
〈그림4〉 丁丑符(좌), 丁卯符(우) 119
〈그림5〉 丁酉神符(좌), 丁亥神符(우) 120
〈그림6〉 丁巳符(좌), 丁未符(우) 121
〈그림7〉 『포박자』의 入山符 123
〈그림8〉 태을부 126
〈그림9〉 眞人步斗訣 127
〈그림10〉 眞人六戊法 128
〈그림11〉 정식 설단법 142
〈그림12〉 설법도 144
〈그림13〉 구궁도 164
〈그림14〉 오행통기도 164
〈그림15〉 『易筋經』 5법 166
〈그림16〉 택수곤괘와 우보법 171
〈그림17〉 구궁도 188
〈그림18〉 오행통기도 188
현재 국내에 알려진 홍연기문의 체계는 『홍연진결』이라는 문헌의 내용을 근간으로 한다. 또한 홍연기문의 홍기는 홍국이라 하고, 연기는 연국이라 한다. 연국의 주요 구성은 天盤六儀三奇와 地盤六儀三奇, 그리고 天逢九星과 八門神將, 九星紫白과 直符八將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기문둔갑의 본래 모습과 같은 형태로 동양 삼국에 공통적으로 전해지는 기문둔갑의 구성 요소이다. 국내 외에 전해지는 정통 기문둔갑 전승에서는 연국의 구성 요소를 따르고 있다.
홍국기문에는 우리 생활과 사상에 뿌리내린 전통적 개념이 확실하게 들어있다. 즉, 『홍연진결』을 통해 홍국수를 창안한 창의적 사고를 중심으로 우리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한계는 있다. 홍국기문둔갑은 〈연파조수가〉를 기반으로 한 중국식 기문둔갑에 홍국수 내용을 더해서 구성한 한국식 기문둔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식 기문둔갑은 『홍연진결』의 명식해단의 방법을 잘 읽을 수 있고 『홍연정결』에서는 자기 정화와 수련을 통해 신과 대면할 수 있는 영과 통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 홍국 체계로 가장 잘 알려진 서적이 『홍연진결』이다. 홍연기문으로 유명한 대다수 술사들이 이 『홍연진결』 상의 법칙을 기준으로 홍국을 활용하는 방식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眞訣이 아닌 正訣이라는 방식의 다른 체계도 있다. 정확한 명칭은 正法洪烟三訣이고, 洪姻正訣이라는 명칭으로 전해 받았다.
홍연결 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天上大局이며, 다른 하나는 天下大局이다. 천상대국을 천상국이라 한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은 幽顯界를 다루는 체계로 그에 대한 법수로서 玉樞祭禮와 玉樞通靈法이 전해지고 있다. 이는 중국 도교 경전 중 하나인 『옥추경』을 기반으로 한 제례와 통령법에 해당되며, 정확히는 중국 도교의 전승 중 하나인 雷府에 기원하는 법술 체계에 속한다.
천하대국은 천하국이라 하는데, 이는 한 사람의 사주명식을 살피는 命局과 어떤 사건에 대한 길흉을 예측하고 그 성패를 살피는 占事局, 그리고 그렇게 예측된 사안에 대한 길흉 변화를 일으키는 조작법인 變化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화국은 다시 시간상의 選吉을 중심으로 하는 弁方과 공간상의 선길을 중심으로 하는 風水로 분류된다.
이 천상대국을 중심으로 하는 옥추제례에 대한 것이 도교적 성격이 같은 것에 대한 것을 보면 도교와 홍국기문과의 관계가 밀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민중 신앙의 도교와 홍국기문과의 관계를 주술적 측면, 수련적 형태, 인간중심의 사상, 여성관을 볼 때 유사함이 많다. 이와 같이 천상대국을 중심으로 하는 옥추제례의 형식에 도교 색이 짙게 배어 있다. 따라서 이것을 보면 도교와 홍국기문과의 관계가 밀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