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ABSTRACT 14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18
2. 연구의 목적 21
3. 용어의 정의 22
1) 동물보건사 22
2) 동물보건 교육대상자 22
3) 동물보건 전문가 22
4) 반려동물의 정의 22
5) 직무 23
6) 역량 23
7) 교육요구도 23
8) 침습 행위 23
9) 독립적 간호행위 24
10) 비독립적 간호행위 24
Ⅱ. 이론적 배경 25
1. 국내 동물보건사 25
1) 국내 동물보건사 정책의 변화와 현황 25
2) 국내 동물보건사 자격취득 요건 29
3) 국내 동물보건 학과 교과목 30
4) 국내 동물보건사 자격시험 32
2. 국내외 동물보건사 직무 비교 33
3. 직무분석 36
1) 전통적 직무분석 36
2) 전략적 직무분석 39
3) 핵심 역량 42
4) NCS 국가직무표준능력 47
5) NCS 기반 국내 선행연구 50
Ⅲ. 연구방법 53
1. 연구절차 53
2. 동물보건사 역량모델 타당성검증 59
1) 1.2차 델파이 조사 59
2) 3차 델파이 조사 62
3) 최종 역량모델 확정 64
4) 기술 통계분석 방법 66
5) 기술 통계 분석 결과 70
6) 전문가 빈도 분석 76
3. 동물보건사 직무역량 요구도 조사 78
1) 동물보건사 설문조사 78
2) 1단계 현재 수준(수행도)과 필요 수준(중요도)의 차이 파악 82
Ⅳ. 연구결과 89
1. 현재 수준(수행도)과 필요 수준(중요도)의 차이 종합 분석 89
1) 현재 수준(수행도)와 필요 수준(중요도) 간의 차이 분석 89
2) 직무역량 KSA 수행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 분석 92
2. 직무역량 요구도 종합 분석 96
1)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96
3. 동물보건사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102
1) 동물의 간호-동물병원 원무행정 관리 102
2) 진료보조 업무-동물병원 의약품 관리 106
3) 진료보조 업무-외래동물간호 110
4) 진료보조 업무-응급동물간호 114
5) 진료보조 업무-입원동물간호 118
6) 진료보조 업무-수술동물간호 122
7) 진료보조 업무-동물영상검사 지원 126
8) 진료보조 업무-동물임상병리검사 지원 131
9) 동물보호(복지) 업무-동물보호자 교육 136
10) 동물보호(복지) 업무-동물구조 재활훈련 141
11) 연구 및 직업윤리-수의연구 지원 145
4. 동물보건사 직무역량 교과목 분석 149
1) 교과목 내용과 직무역량 149
2) 교과목 내용과 직무역량 분석 151
Ⅴ. 논의 156
Ⅵ. 결론 및 제언 160
Ⅶ. 참고문헌 165
부록 171
[부록 1] 1차 설문 내용 및 전문가 검토 의뢰지 172
[부록 2] 2차 설문 내용 및 전문가 검토 의뢰지 180
[부록 3] 동물보건사 직무역량 척도 205
〈그림 1〉 Spencer & Spencer 빙산모델 44
〈그림 2〉 NCS 능력단위 48
〈그림 3〉 NCS 기반 연구모형 53
〈그림 4〉 연구 절차 및 방법 56
〈그림 5〉 T 검정, Borich요구도, LFF 모델 기반 프로세스 58
〈그림 6〉 동물보건사 직무역량 65
〈그림 7〉 내용 타당도 67
〈그림 8〉 합의도 68
〈그림 9〉 수렴도 69
〈그림 10〉 T 검정 차이 분석 판단기준 85
〈그림 11〉 Borich 요구도 공식 86
〈그림 12〉 LFF 모델 좌표평면 87
〈그림 13〉 동물병원 원무행정 관리 요구도 우선순위 103
〈그림 14〉 동물병원 원무행정 관리 LFF 모델 분석 결과 104
〈그림 15〉 동물병원 의약품 관리 요구도 우선순위 107
〈그림 16〉 동물병원 의약품 관리 LFF 모델 분석 결과 108
〈그림 17〉 외래동물간호 요구도 우선순위 111
〈그림 18〉 외래동물간호 LFF 모델 분석 결과 112
〈그림 19〉 응급동물간호 요구도 우선순위 115
〈그림 20〉 응급동물간호 LFF 모델 분석 결과 116
〈그림 21〉 입원동물간호 요구도 우선순위 119
〈그림 22〉 입원동물간호 LFF 모델 분석 결과 120
〈그림 23〉 수술동물간호 요구도 우선순위 123
〈그림 24〉 수술동물간호 LFF 모델 분석 결과 124
〈그림 25〉 동물영상검사 지원 요구도 우선순위 128
〈그림 26〉 동물영상검사 지원 LFF 모델 분석 결과 129
〈그림 27〉 동물임상병리검사 지원 요구도 우선순위 133
〈그림 28〉 동물임상병리검사 지원 LFF 모델 분석 결과 134
〈그림 29〉 동물보호자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 138
〈그림 30〉 동물보호자 교육 LFF 모델 분석 결과 139
〈그림 31〉 동물구조 재활훈련 요구도 우선순위 142
〈그림 32〉 동물구조 재활훈련 LFF 모델 분석 결과 143
〈그림 33〉 수의연구 지원 요구도 우선순위 146
〈그림 34〉 수의연구 지원 LFF 모델 분석 결과 147
동물보건사는 환경의 변화로 인해 새롭게 생겨난 국가자격증이 있어야 하는 직업이다.
동물보건사의 바람직한 실무 수준을 제시하고, 성과를 입증하기 위해 업무 활동을 규명하고, 근거에 기반을 둔 직무 표준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물보건사의 업무 활동을 규명하고 직무 표준을 개발하여 바람직한 실무 수준을 제시하고, 직무 평가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동물보건사의 업무 활동을 조사하였다. 이후에는 동물보건사 전문가들과의 개인 면담을 진행하여 보다 깊이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확인된 업무 활동을 바탕으로 직무 표준 초안을 구축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타당성을 검토하기위하여 항목별로 통계를 바탕으로 처리하여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수렴도, 합의도 등을 분석하였다.
국가직무표준 능력(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기준에 따라 동물보건사의 직무를 4개로 일원화하였다. 동물보건사의 직무를 '동물의 간호', '진료보조 업무', '동물보호(복지) 업무', '연구 및 직업윤리'로 이는 더욱 세분하여 11개의 상위 항목과 45개의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지식', '기술', '태도' KSA로 포함하여 동물보건사 역량모델을 완성하였다
둘째 동물보건사 직무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현재 동물병원에서 근무하는 3년 이상의 경력자로 국가자격을 취득한 동물보건사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100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조대연(2009)이 제안한 교육요구도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물보건사 직무역량의 현재 수준(수행도)과 필요 수준(중요도) 간의 T 검정 차이 분석을 통해, 45개의 항목 중 34개 항목에서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135개의 항목을 하위 지식, 기술, 태도로 분류하여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 간의 차이 분석을 진행한 결과, 74개 항목 중 32개의 지식 항목, 28개의 기술 항목, 14개의 태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LFF 모델과 Borich 요구도 순위 분석을 통해 동물보건사의 직무역량을 체계적으로 평가했다. 이 평가 결과, 동물보건사 직무역량의 45개 항목 중 11개의 최우선 항목과 6개의 차선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한, 직무역량의 KSA 135개 항목 중 최우선 20개 항목과 차선 27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 가지 방법이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음에도 일부 항목에서 일치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상호보완성은 동물보건사의 교육요구와 역량 강화에 효과적인 방법론임을 입증한다.
셋째 도출된 동물보건사 직무역량의 다양한 요구도를 내용 체계 설계에 반영하여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본인의 관심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며, 종합적인 역량을 향상 할 수 있다.
다양한 문제 해결 전략을 모색하고 적용함으로써 실무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동물보건학 대학은 학생들의 요구와 관심 분야에 반영한 다양한 선택과목을 제공하며 이를 적극 지원하여 학생들이 미래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 훈련의 효율성을 높이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평가와 개선이 가능한 지표를 제공하여 동물보건사의 간호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었으며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직무 표준을 만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교육 및 훈련 시스템의 구축과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동물보건사의 전문성과 역량을 높이고 동물 건강 관리 분야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물보건사의 직무 표준화를 위한 첫걸음으로서 이 연구가 동물 건강 관리 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 하기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