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4

국문초록 20

Ⅰ. 서론 24

1. 연구 배경 24

2. 연구 목적 26

3. 연구 의의 27

가. 이론적 의의 28

나. 현실적 의의 28

Ⅱ. 이론적 배경 29

1. 관련 개념 정의 29

가. 강남 원림 29

나. 수체 30

다. 경관 32

라. 공간 33

2. 중국 내외 연구사 36

가. 중국 연구사 36

나. 중국 외 연구사 49

3. 상관 이론 53

가. 토폴로지(topology) 53

나. 공간 동태 이론 61

다. 시지각 이론 65

라. 환경 심리 이론 70

Ⅲ.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74

1. 연구 내용 74

2. 연구 범위 75

가. 우원(愚園) 76

나. 첨원(瞻園) 79

다. 후원(煦園) 84

라. 하원(何園) 86

마. 개원(個園) 91

바. 서원(西園) 96

사. 소판곡(小盤穀) 100

아. 이분명월루(二分明月樓) 103

자. 기창원(寄暢園) 106

3. 연구 방법 111

가. 조사 방법 111

나. 분석 방법 114

Ⅳ. 결과 및 고찰 120

1. 연구대상지의 상황 120

가. 강남 원림의 발전사 120

나. 강남 원림의 설계에서 수체 유형 125

다. 강남 원림 수경관 조성의 특징 132

2. 강남 원림의 수체 공간구조에 관한 토폴로지 연구 134

가. 수체 공간구조 134

나. 분석 방법 138

다. 수체의 공간구조 비교분석 149

라. 소결 158

3. 실증 분석 159

가. SBE법에 의한 강남 원림 수체 경관미 평가 159

나. 델파이법에 의한 강남 원림 수경의 평가지표 선별 182

다. SD법에 의한 강남 원림 수경의 경관미 평가 201

라. 요인분석에 의한 강남 원림 수경의 평가모형 구축 208

마. 소결 226

Ⅴ. 결론 228

인용 및 참고문헌 232

부록 242

표목차

〈표 1〉 주의력 회복 이론 72

〈표 2〉 조사 시간표 113

〈표 3〉 원림 수체의 구성 요소 129

〈표 4〉 원림정보 140

〈표 5〉 인간 상호작용의 거리 143

〈표 6〉 원림 수체 공간구조의 변형과정과 모델귀납 146

〈표 7〉 전통원림 수체모델 비교 요약표 148

〈표 8〉 수역면적 1,000m² 이하 원림모델과 개수 156

〈표 9〉 수역면적 1,000m² 이상 원림모델과 개수 157

〈표 10〉 원림 수체모델 개수통계 비교 157

〈표 11〉 원림 수체 공간조합 유형별 개수통계 비교 158

〈표 12〉 성별 분포표 169

〈표 13〉 나이 분포표 170

〈표 14〉 18세 이전 주요 거주지 분포표 172

〈표 15〉 현재 주요 거주지 분포표 172

〈표 16〉 신분 분포표 175

〈표 17〉 신뢰도 분석 177

〈표 18〉 효능분석 177

〈표 19〉 SBE 평가 179

〈표 20〉 전문가 명단 184

〈표 21〉 전문가 나이분포 185

〈표 22〉 전문가의 익숙 정도 188

〈표 23〉 권위 계수 188

〈표 24〉 설문지 효율 190

〈표 25〉 1차 델파이법 평가지표 191

〈표 26〉 1차 델파이법 결과 193

〈표 27〉 2차 델파이법 평가지표 196

〈표 28〉 2차 델파이법 결과 197

〈표 29〉 3차 델파이법 평가지표 199

〈표 30〉 3차 델파이법 결과 200

〈표 31〉 경관평가모델의 구조지표체계 201

〈표 32〉 구체적인 지표 202

〈표 33〉 정량화 인자 206

〈표 34〉 신뢰도분석 208

〈표 35〉 KMO와 Bartlett 검사 209

〈표 36〉 분산해석율 210

〈표 37〉 회전 후 인자 하중 계수표 211

〈표 38〉 성분 점수 계수 행렬 213

〈표 39〉 상관분석 215

〈표 40〉 평가체계 216

〈표 41〉 상관분석 218

〈표 42〉 선형회귀분석 결과 222

〈표 43〉 ANOVA 223

〈표 44〉 잔차 검사 224

그림목차

[그림 1] 강남 구역도 30

[그림 2] 칠교(七橋) 문제 약도 54

[그림 3] 기하학적 도형 간의 토폴로지 변형 57

[그림 4] 물컵과 도넛의 토폴로지 변형 57

[그림 5] 이원에서의 토폴로지 관계 59

[그림 6] 중국 원림 중의 토폴로지 동형 현상 59

[그림 7] 원림요소 둘레가 합쳐진 볼록한 공간 64

[그림 8] 연속 공간 안내도 65

[그림 9] 피카소 우도의 간략화 과정 66

[그림 10] 연구 범위도 75

[그림 11] 우원 평면도 77

[그림 12] 우원 우호 78

[그림 13] 우원 가산 78

[그림 14] 첨원 평면도 80

[그림 15] 태평천국 역사박물관 81

[그림 16] 첨원 가산 81

[그림 17] 첨원 수동 82

[그림 18] 첨원 내경 82

[그림 19] 후원 평면도 84

[그림 20] 후원 석방 85

[그림 21] 후원 내경 85

[그림 22] 하원 평면도 87

[그림 23] 하원 편석산방 88

[그림 24] 하원 선청 88

[그림 25] 하원 건축 외관 89

[그림 26] 하원 건축 내장 89

[그림 27] 하원 누각 90

[그림 28] 하원 복도 회랑 90

[그림 29] 하원 동창 91

[그림 30] 하원 동문 91

[그림 31] 개원 평면도 92

[그림 32] 개원 입구 93

[그림 33] 개원 띠 가산 93

[그림 34] 개원 포월루 95

[그림 35] 개원 총서루 95

[그림 36] 개원 대나무 경치 1 96

[그림 37] 개원 대나무 경치 2 96

[그림 38] 서원 평면도 97

[그림 39] 서원 어비정 99

[그림 40] 서원 천하 제5천 99

[그림 41] 서원 평산당 99

[그림 42] 서원 가산 99

[그림 43] 소판곡 평면도 101

[그림 44] 소판곡 구사도산 103

[그림 45] 소판곡 수류운재 103

[그림 46] 이분명월루 평면도 104

[그림 47] 이분명월루 105

[그림 48] 이분명월루 매계음사 105

[그림 49] 기창원 평면도 107

[그림 50] 기창원 금회의 109

[그림 51] 기창원 팔음간 109

[그림 52] 기창원 지어항 110

[그림 53] 기창원 학보탄 110

[그림 54] 수형의 조합방식 131

[그림 55] 도형평면구성 135

[그림 56] 가옥 공간구성 135

[그림 57] 공원 수체구성 135

[그림 58] 기창원 점상 수체 137

[그림 59] 첨원 선상 수체 137

[그림 60] 이분명월루 면상 수체 137

[그림 61] 졸정원 랑교 141

[그림 62] 첨원 디딤돌 141

[그림 63] 기창원 분리 랑교 141

[그림 64] 기창원 수체 분지 유형 144

[그림 65] 소판곡 수체 분지 유형 144

[그림 66] 첨원 수체 분지 유형1 144

[그림 67] 첨원 수체 분지 유형2 144

[그림 68] 하원 평면도 145

[그림 69] 수체 평면도 145

[그림 70] 일차 토폴로지 변형 145

[그림 71] 이차 토폴로지 변형 145

[그림 72] 시각 초점 분석 도식 152

[그림 73] 시각 초점 분석 도식 152

[그림 74] 하원 수체의 공간 서열 분석 153

[그림 75] 우원 SBE A1-9 161

[그림 76] 첨원 SBE B1-9 162

[그림 77] 후원 SBE C1-9 162

[그림 78] 개원 SBE E1-9 163

[그림 79] 하원 SBE D1-9 163

[그림 80] 소판곡 SBE G1-5 164

[그림 81] 서원 SBE F1-9 164

[그림 82] 이분명월루 SBE H1-4 165

[그림 83] 기창원 SBE I1-9 165

[그림 84] SBE법 5점제 평가기준표 168

[그림 85] 성별 분포도 169

[그림 86] 성별별 그룹 SBE 꺾은선 그램 170

[그림 87] 나이 분포도 171

[그림 88] 나이별 그룹 SBE 꺾은선 그램 171

[그림 89] 거주 경력 분포도 173

[그림 90] 18세 이전 주요 거주지별 그룹 SBE 꺾은선 그램 173

[그림 91] 현재 주요 거주지별 그룹 SBE 꺾은선 그램 174

[그림 92] 신분 분포도 175

[그림 93] 신분별 그룹 SBE 꺾은선 그램 176

[그림 94] SBE 표준화 182

[그림 95] 전문가 나이 분포도 186

[그림 96] SD법 5점제 평가기준표 202

[그림 97] SD 분석 사진 204

[그림 98] 히스토그램 225

[그림 99] 정규 Probability-Probability plot 225

[그림 100] 산점도 226

초록보기

 물은 강남의 전통 원림에서 매우 중요한 조경요소이며 공간을 조성하는 수단이다. 강남은 하망(河網) 종횡으로 수계가 발달하다. 사람들의 삶과 생산은 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강남의 전통 공공 원림 이수 예술은 바로 이러한 '수향택국(水鄉澤國)' 의 지리적 환경조건에서 발전하여 독특한 이념과 이법(理法)을 형성하여 국내 원림 수경 조성에 심원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명성을 얻고 있다. 강남 전통 원림의 수경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전통 원림 예술을 계승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토폴로지(拓撲學), 심리학, 미학, 풍경 원림, 통계 등의 학과에 관한 것으로, 관련 문헌 자료를 대량으로 열람하여 국내외 관련 연구진전을 수집, 통계, 귀납, 분석하며 우선 토폴로지 등의 이론에 근거하여 강남 원림의 수체 공간형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강남 원림과 그 수체연구에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제공하였다. 이 글은 강소성 남경시, 양주시, 우석시의 9 개 강남 원림 수경을 연구 표본으로 선정하여 구조의 관점에서 수체 토폴로지 변형 방법과 최종 추상 모델을 확정하고 선택된 사례의 구조모델을 총결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지각 체험, 서열 조합 관계 및 분포규칙 등으로부터 수평적 비교와 특징을 총결산 분석하여 수체 공간 품질향상의 법칙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정신물리학적 방법(psychophysical methods)을 따라 인간 시각미(視覺美) 체험의 관점에서 선별 사례의 수경 미학적 품질 경관적 요소 분석, 미래 원림 수경의 계획설계, 추출 기능을 개선, 추출하고 있다.

첫째, 관련 서적, 학술 논문, 잡지 및 석 · 박사 학위 논문을 광범위하게 검토함으로써 강남 원림의 발전사와 수체 유형, 수체경관 조성의 특징을 정리하여 강남 원림 수체경관의 연구가치와 의의를 확정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토폴로지 이론의 활용 현황과 관련 시지각과 공간 구문론의 개념과 경관 미학 이론을 이해한다.

둘째, 2022 년 2 월부터 2023 년 9 월까지 선정된 9 개 강남 원림 수체 사례에 대해 총 5 차례의 현장조사를 실행하였으며, 반복적인 방문과 상담을 거쳐 총 1,000 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후기 설문 조사에 많은 유용한 데이터를 마련하였다.

셋째, 사례의 토폴로지 변형 및 성과 분석을 통해 전통원림 수체의 공간형태의 내재적인 법칙을 발견하고 그 형태가 체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변형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구조를 연구하였다. 정보 추출, 공간 단위 결정, 변형 변환 및 기타 과정으로 구조모델을 추상화하였다. 전체 구조에서 수체의 모델 유형은 지각 체험과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단순한 모델의 수체의 경우 복잡도는 공간 체험에 좋고 나쁨의 차이가 없으며, 이러한 수체의 설계는 수체 면적 등의 요인에 따라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했다.

넷째, 조합형 수체의 경우 조합 공간의 수량과 유형이 증가함에 따라 심리 체험이 증가하며, 연구에서도 지역과 면적에서 수체 모델의 차이 분포 법칙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남방정원의 수체 모델이 북방 원림에 비해 다양하고 복잡도도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1,000m²를 경계로 하여 수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채택된 모델과 그 구성형태의 복잡도도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다섯째, SBE 법을 이용하여 표본조사에서 얻은 1,000 장의 사진 중 70 장의 사진을 선별하여 성별, 나이, 직업, 거주경력이 다른 300 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표본지의 수경을 채점한 후 데이터를 정리하여 표준화된 SBE 채점 결과를 정렬하고, 경관미 점수 변화 꺾은선 그래프를 제작하여 경관미 변화에 따라 성별, 나이, 직업 신분 등이 수경평가에 심미적 일관성을 가지며, 거주경력은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헌검토, 설문조사, 현장조사 등을 통해 60 개의 경관평가지표를 예비선정하였다. 델파이법과 결합하여 이전 조사에서 60 개의 경관평가모델을 수정, 삭제, 채점 및 최종 확인을 세 번 수행했다. 우선 전문가 조사와 초청을 거쳐 전국적으로 강남 원림 수체에 익숙한 전문가 15 명을 최종 확인, 전 과정에 걸쳐 채점과 평가가 이루어졌다. 강남 원림 수경관 평가는 각각 3 차례 델파이로 이루어졌다.

일곱째, 1 차 델파이 결과는 예비모델에서 60 개 지표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중요하지 않은 지표 30 개를 삭제하고, 30 개 지표를 획득했으며, 2 차 델파이 결과는 1 차 개방형 조사에서 얻은 30 개 지표에 대해 전문가 폐쇄형 점수를 매겨 전문가들이 모든 지표의 중요도를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15 개 지표를 삭제하고 15 개 평가지표를 획득했다. 그런 다음 3 차에서 전문가가 15 개의 평가지표를 폐쇄적으로 채점하여 15 개의 평가모델 지표를 얻었다. 최종적으로 강남 원림 수경 평가모델을 결정하였으며, 3 차 지표는 15 개였다.

여덟째, SBE-SD 방법을 채택하여 경관미의 순위를 참고하여 경관의 전반적인 품질이 더 높은 30 개의 표본을 선택하였다.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관련 설계 전문가와 자문, 설계자를 인터뷰하여 수체 경관평가의 시각적 인식 요소와 경관 미학, 환경 심리적 요소를 분석하고 요약한 후 델파이법에 따라 선별된 15 개의 평가지표에 따라 선정된 연령대별 60 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표본을 채점 평가하여 문화맥락, 설계예술, 조화로운 질서, 자연운치와 심리 감각의 5 가지 관점에서 강남의 원림 수체 경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아홉째, 평가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탐색적 인자를 사용하여 응집 인자를 분석하고, 평가지표의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인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SPSS를 사용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고, 선형회귀 모델을 수립하고, 모델은 문화 맥락(22.387)>자연운치(22.245)>설계예술(11.948)>조화질서(7.562)>심리감각(4.472)을 보여준다. 회귀모형은 문화적 맥락이 수경에 대한 평가의 영향도가 가장 높으며, 다음에 자연운치이며, 설계예술과 조화질서가 있지만, 심리 감각의 영향은 비교적 적다.

열째, 요약하면, 경관미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강남 원림의 수경의 문화적 맥락, 자연운치, 설계 예술과 조화질서이며, 이로 인해 사람들은 보편적으로 경치가 있고 일정한 문화역사 속성을 지닌 수경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형태변화와 지형의 기복도(起伏度)가 너무 복잡하거나 조밀한 표현 형식은 사람들의 관상 감각에 분명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설계예술의 경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색채가 풍부하고 계층감(層次感)이 강하고 공간이 개방된 수체를 선호한다. 조화의 질서는 요소가 풍부하고 조화감(協調感)이 높은 수경일수록 선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