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4

국문초록 19

Ⅰ. 서론 23

1. 연구배경 23

2. 연구 목적 25

3. 연구과정 26

Ⅱ. 연구 범위 및 방법 28

1. 연구 대상 28

2. 용어 정의 30

가.경관풍모(風貌) 30

나. 도시풍모 31

다. 문화유산 33

3. 연구 범위 34

4. 연구 내용 35

가. 조주고성 경관풍모 평가 지표의 확정 36

나. 조주고성 경관풍모 평가 체계의 구축 36

다. 조주고성 경관풍모 보호와 향상 전략의 제시 36

5. 연구방법 36

가. 조사방법 36

나. 분석 방법 41

Ⅲ. 연구 동향 52

1. 서양 연구 53

2. 중국 관련 정책 및 규정 55

3. 조주 현지 연구 57

4. 조주고성 경관풍모 연구 분야의 문헌분석 58

가. 조주고성 경관풍모 연구 관련분야 발표량 동향분석 59

나. 고성 문화경관 관련분야 연구의 발문기관 분석 59

다. 조주고성 경관풍모 연구 관련분야 키워드 분석 62

라. 한국 경관 풍모 관련 연구 분야 문헌 67

마. 조주고성 경관풍모에 관한 문헌분석의 시사점 68

Ⅳ. 결과 및 고찰 70

1. 조주고성의 자연경관 70

가. 지리적 위치 70

나. 산체 환경 71

다. 수계 풍모 75

2. 조주고성의 역사 발전 79

가. 역사의 발전 79

나. 문화적 연원 81

3. 조주고성의 문화경관 84

가. 조주고성의 공간 구도 84

나. 조주고성 건축형태 92

다. 조주고성 팔경문화 108

라. 조주고성 서호원림 118

4. 조주고성 경관 풍모 평가지표 설정 121

가. 조주고성 경관풍모 평가지표체계 구축원칙 121

나. 고급 평가지표의 추출 123

다. 초급 평가지표 추출 129

5. 경관풍모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수립 131

가. 평가지표체계의 선별 131

나. AHP에 의한 조주고성 경관풍모 평가지표 가중치 결정 149

다. DEMATEL 가중치 부여법 166

라. AHP와 DEMATEL 가중치 비교 및 병합 189

마. 조주고성 경관풍모의 모호종합평가(FCE) 192

바. 조주고성 경관풍모의 IPA 평가 205

6. 조주고성 풍모 문맥 유산경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224

1. '수(守)' 의 끈질김 225

2. '척(拓)' 의 범위 225

3. '수(修)' 의 정도 226

4. '제(提)' 의 효과 226

5. '공(控')'의 조화 227

Ⅴ. 결론 228

참고 문헌 234

부록 241

부록 1 241

부록 2 246

부록 3 249

부록 4 254

부록 5 258

표목차

〈표 1〉 조조주고성 내 시급(市級) 이상 문화유산 37

〈표 2〉 조사연구의 주요 내용 40

〈표 3〉 국내외 조주고성 경관풍모 관련 연구 분야의 키워드 현황 63

〈표 4〉 조주고성 발전 단계 80

〈표 5〉 조주 무형문화 81

〈표 6〉 조주고성 패방 거리 패방 현황 102

〈표 7〉 조주 청대 외팔경의 경관요소 109

〈표 8〉 조주 청대 외팔경 및 관련 식물 110

〈표 9〉 서호원림의 부분 경관 120

〈표 10〉 국제 보호법 및 규정 123

〈표 11〉 1급과 2급 평가지표 추출 근거 125

〈표 12〉 1급 평가지표 분류기준 127

〈표 13〉 1급과 2급 평가지표 추출 출처 127

〈표 14〉 초급 지표 분류 기준과 지표 추출 원칙 129

〈표 15〉 기설정된 평가지표 130

〈표 16〉 델파이 설문 조사 참여 전문가 기본 현황 134

〈표 17〉 전문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표 135

〈표 18〉 전문가 긍정계수 136

〈표 19〉 전문가 판단기준표 137

〈표 20〉 전문가 친숙도 137

〈표 21〉 전문가의 권위 정도 137

〈표 22〉 전문가 의견의 조정 정도 139

〈표 23〉 1차 전문가 상담 중요성 점수 140

〈표 24〉 2차 전문가 상담 중요도 점수 및 조언 143

〈표 25〉 3차 전문가 자문 결과 146

〈표 26〉 지표의 구체적인 의미 148

〈표 27〉 상대척도표 153

〈표 28〉 RI 값표 155

〈표 29〉 준칙층의 판단행렬 156

〈표 30〉 준칙 층 지표 가중치 계산 157

〈표 31〉 A1 지역성: 하위 준칙층의 판단 행렬 157

〈표 32〉 A1 지역성: 하위 준칙층의 가중치 계산 157

〈표 33〉 A2 인문성: 하위 준칙층의 판단 행렬 157

〈표 34〉 A2 인문성: 하위 준칙층의 가중치 계산 158

〈표 35〉 A3 연속성: 하위 준칙층의 판단 행렬 158

〈표 36〉 A3 연속성: 하위 준칙층의 가중치 계산 158

〈표 37〉 B1 식별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58

〈표 38〉 B1 식별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59

〈표 39〉 B2 심미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59

〈표 40〉 B2 심미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0

〈표 41〉 가치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0

〈표 42〉 가치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0

〈표 43〉 B4 역사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1

〈표 44〉 역사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1

〈표 45〉 장소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1

〈표 46〉 장소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1

〈표 47〉 B6 전승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2

〈표 48〉 B6 전승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2

〈표 49〉 B7 다양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2

〈표 50〉 B7 다양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2

〈표 51〉 B8 조화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3

〈표 52〉 B8 조화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3

〈표 53〉 B9 갱신성: 조작층의 판단 행렬 163

〈표 54〉 B9 갱신성: 조작층의 가중치 계산 164

〈표 55〉 조주고성 경관 풍모 평가지표 체계의 가중치 165

〈표 56〉 척도 의미 167

〈표 57〉 1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69

〈표 58〉 A1 하위 2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0

〈표 59〉 A2 하위 2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0

〈표 60〉 A3 하위 2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0

〈표 61〉 B1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0

〈표 62〉 B2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1

〈표 63〉 B3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1

〈표 64〉 B4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1

〈표 65〉 B5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2

〈표 66〉 B6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2

〈표 67〉 B7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2

〈표 68〉 B8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2

〈표 69〉 B9 하위 3급 지표의 직접 영향 행렬 173

〈표 70〉 1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3

〈표 71〉 A1 하위 2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3

〈표 72〉 A2 하위 2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4

〈표 73〉 A3 하위 2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4

〈표 74〉 B1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4

〈표 75〉 B2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4

〈표 76〉 B3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5

〈표 77〉 B4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5

〈표 78〉 B5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5

〈표 79〉 B6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6

〈표 80〉 B7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6

〈표 81〉 B8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6

〈표 82〉 B9 하위 3급 지표의 종합 영향 행렬 176

〈표 83〉 DEMATEL 지표 계산표 180

〈표 84〉 DEMATEL 계층별 지수 가중치 187

〈표 85〉 AHP 및 DEMATEL 1급 지표의 종합 가중치 189

〈표 86〉 AHP 및 DEMATEL 2급 지표의 종합 가중치 189

〈표 87〉 AHP 및 DEMATEL 3급 지표의 종합 가중치 190

〈표 88〉 AHP 및 DEMATEL 3급 지표 표준화 가중치 종합 결과 191

〈표 89〉 모호종합평가 단일 요소 점수표 193

〈표 90〉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06

〈표 91〉 설문 조사에 따른 지표 기술통계 207

〈표 92〉 신뢰도 분석 212

〈표 93〉 KMO 및 Bartlett's 검정 212

〈표 94〉 1급 지표의 만족도-중요도 평균 분석 213

〈표 95〉 2급 지표의 만족도-중요도 평균 분석 214

〈표 96〉 3급 지표의 만족도-중요도 평균 분석 216

〈표 97〉 지표별 중요도와 만족도의 상관분석 220

〈표 98〉 지표 중요도 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221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흐름도 (study flow) 27

[그림 2] 조주고성 위치도 28

[그림 3] 조주고성 내의 고대 건축 상황 29

[그림 4] 조주고성연구 범위 35

[그림 5] 문헌 출처 37

[그림 6] Delphi 작업 흐름도 43

[그림 7] IPA행렬그림 50

[그림 8] 조주고성 경관 풍모 종합 평가분석 절차 51

[그림 9] 경관풍모 관련 학술 연구의 진행 수준 52

[그림 10] 경관풍모 관련 중국 연구문헌의 발표 경향 59

[그림 11] 국고성 문화경관 관련분야 연구의 발문기관 수량 분포도 60

[그림 12] 국외 경관풍모 관련 연구 분야의 핵심기관 논문 발행 수 분포도 61

[그림 13] 중국 조주고성 경관풍모 연구 분야 키워드 공현 도보 64

[그림 14] 문헌 출처 국제 경관풍모 관련 키워드 공현 도보 65

[그림 15] 중국 조주고성의 경관 풍모 연구 분야의 키워드 클러스터링 맵 66

[그림 16] 국제 경관풍모 관련 연구 분야의 키워드 클러스터링 맵 67

[그림 17] 한국 경관풍모 관련 연구 분야 키워드 공현 도보 68

[그림 18] 송나라 〈조주고성도〉 72

[그림 19] 고성의 자연환경 72

[그림 20] 금산 누각 73

[그림 21] 서호산 누각 74

[그림 22] 고성도 속의 산수 지형의 풍모 75

[그림 23] 삼산(三山) 개황[그림없음] 75

[그림 24] 조주고성 수계도 76

[그림 25] 조주시의 산수경관 79

[그림 26] 조주고성의 공간 배치도(清代古城) 85

[그림 27] 고성의 도시 자연환경 86

[그림 28] 조주고성의 기능 분구도 87

[그림 29] 조주고성 골목의 형성 및 분포도 89

[그림 30] 조주고성 주요 거리도 89

[그림 31] 조주의 복도 경계 90

[그림 32] 조주의 광지교(广济桥) 역사 자료 92

[그림 33] 광제교의 현황 92

[그림 34] 조주 개원사(開元寺) 평면 93

[그림 35] 조주 개원사 현황 93

[그림 36] 조주 개원사 천왕전 94

[그림 37] 지뢰황궁사(己略黃公祠)평면도 96

[그림 38] 지뢰황궁사 석각도 96

[그림 39] 쉬푸마 맨션 평면도(許駙馬府平面圖) 97

[그림 40] "하산호" 평면도 98

[그림 41] "사점금" 평면도 99

[그림 42] "오간과" 평면도 99

[그림 43] "사마타차" 평면도 및 주택 현황도 100

[그림 44] "백조조봉" 평면도 및 민가 현황도 101

[그림 45] 패방의 역사 102

[그림 46] 패방의 현황 102

[그림 47] 조주고성 기루 104

[그림 48] 오행산장 (인터넷) 105

[그림 49] 도자기 장식 106

[그림 50] 목조 장식 107

[그림 51] 청대 조주 외팔경의 현황 분포 위치 109

[그림 52] 조주 서호 원림 평면도 120

[그림 53] 서호의 수경 120

[그림 54] 조주고성 경관풍모 평가를 위한 계층구조 모형 156

[그림 55] 1급 지표(A1-A3)의 원인 결과도 182

[그림 56] 2급 지표(B1-B9)의 원인 결과도 182

[그림 57] 3급 지표(C1-C39)의 원인 결과도 183

[그림 58] 1급 지표(A1-A3) 영향도-피영향도 그래프 184

[그림 59] 2급 지표(B1-B9) 영향도-피영향도 그래프 184

[그림 60] 3급 지표(C1-C39) 영향도-피영향도 그래프 185

[그림 61] 지표 인과네트워크 관계도 186

[그림 62] 지표별 모호 종합 평가 점수 194

[그림 63] 1급 지표 IPA사분면도 214

[그림 64] 2급 지표 IPA 사분면도 216

[그림 65] 3급 지표 IPA 사분면도 219

[그림 66] 전문가, 주민, 관광객의 중요도 평가 비교 223

[그림 67] 고성 주변 경관의 풍모 보호범위의 확장 226

초록보기

 중국의 급속한 도시화와 함께 조주(潮州)고성도 도시 발전의 변화를 겪고 있다. 조주고성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 광둥성(广东省)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 경관은 조주 지역의 문화와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매개체이자 단서다. 고성이 위치하는 도시 '조주'는 바다에 인접해 조수가 왕래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1986년 조주시는 제2차 국가역사문화명성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경관 자원이 풍부한 조주고성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목적은 조주고성의 경관자원을 유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성경관의 현재현황과 문제점을 분석 · 해석하고, 어떻게 하면 고성 본래의 경관풍모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시발전에 훼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문헌 및 각종 자료 분석과 전문가 설문조사, 조주고성 경관 풍모 가치에 대한 종합평가를 통해 고성경관의 지속적인 발전에서의 운용, 보호, 향상 전략을 객관적으로 도출하는 동시에 조주 도시문화유산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서론으로, 주로 연구 배경, 연구 목적, 연구 의의로 구성된다. 두 번째 부분은 연구 범위와 방법이며, 연구 대상, 정의 용어, 연구 범위 및 조사 방법을 포함한다. 연구 방법에는 주로 문헌 분석, 현장 조사, Delphi Method, AHP, DEMATEL, FCE 및 IPA가 포함된다.세 번째 부분은 연구 동향, 네 번째 부분은 결과와 고찰이다. 우선 국내외 관련 성행연구를 찾아보고 동시에 국내외 연구 상황을 분석하며 본 연구의 연구 중점과 연구 방향을 확정한다. 둘째, 조주고성에 대한 현장 조사를 수행하고 조주고성의 기본 상황, 개발 역사 및 문화 기원을 조사 및 분석하며 조주고성의 자원과 역사 발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 논문의 기초 연구로 조주고성 경관의 평가 지표를 추출한다. 조주고성의 경관 풍모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는 문헌 연구와 델파이 방법의 전문가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평가 지표 시스템을 구축한다. 가중치의 과학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AHP 및 DEMATEL의 포괄적인 가중치 부여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수준의 지표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여 후속 모호종합평가의 토대를 마련한다. 모호종합평가 결과는 조주고성의 일련의 지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제공한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주변 주민과 관광객이 다양한 지표에 대한 인식을 깊이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종합 평가 지표 시스템의 구축, 종합 가중치 부여 및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조주고성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보호 전략 및 개발 방향을 제공한다. 다섯 번째 부분은 이 연구의 결론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문헌연구를 통해 조주고성의 경관자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고성의 역사적 발전과 문화적 기원을 조사 · 분석하고, 고성이 보유하고 있는 경관풍모에 대한 지표를 추출하고, 조주고성의 경관풍모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조주고성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적 제안이 적절하고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현장조사와 문헌검토를 통해 Delphi Method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조주고성의 경관평가를 위해 목표층을 형성하였으며, 1급 지표 3개, 2급 지표 9개, 이에 적합한 총 39개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모형을 설정하였다.

2. AHP 및 DEMATEL의 종합 가중치 부여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수준의 지표를 심층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합 가중치는 A1 지역성, B3 가치성, C15 건축 예술이 지표 시스템 전반에 걸쳐 상당한 중요성을 가지며 해당 가중치 및 정규화 순위를 획득했음을 보여주었다. 그 중 '지역성'이 0.54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여 경관 지역 식별이 현재 도시 이미지 개발과 겹치는 것이 평가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결과는 조주고성의 '지역성'이 경관의 풍모를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는 역사의 연속임을 보여준다.

3. 모호종합평가 결과는 조주고성의 일련의 지표에 대한 추가 평가를 제공하였다. C1 공간 배치, C3 건축 형태, C7 팔경 조성 등의 지표는 관광지의 강점 요소로 명확히 밝혀져 관광객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동시에 C11 사계절 색체, C12 생태 공생 및 기타 지표도 개선해야 할 단점 요소로 식별되어 목표 경관 개선 방향을 제공하였다.

4. 설문조사를 통해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주변 주민과 관광객이 다양한 지표에 대한 인식을 깊이 조사하였다. 그 결과 A1 지역성, B3 가치성, C1 공간 배치, C3 건축 형태, C5 패방 및 골목, C6 상업기로(骑楼) 등 조주고성의 경관 풍모가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명승지의 미래 발전 방향을 뒷받침하고 있다. 동시에 C9 수계 경관, C24 민속 활동 및 C26 고성 정신은 육성 및 발전 잠재력이 큰 것으로 간주되어 향후 개선 및 계획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5. 조주고성의 경관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조주고성의 경관을 "유지본위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의 급속한 발전에 있어서 고성의 문화유산이 원래의 경관을 지속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역사의 지역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조주고성의 핵심지역의 경관풍모 유지체계를 구축하고, 조주고성의 도시발전에 기존의 문화유산을 보호, 통제, 고도화, 핵심지역 주변의 경관기능을 최적화하고, 고성의 상업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도시의 동질화를 피하며, 대중참여의 원칙하에 인문환경은 여전히 고성의 멋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