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1. 서론 12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5
1.3. 선행연구 16
2. 드라마 OST 19
2.1. 드라마 OST(Original Sound Track) 19
2.2. 한국 드라마 OST의 발전과 현황 20
2.3. 드라마 OST의 장르적 특수성 26
3. 노랫말과 영어표현 29
3.1. 노랫말의 개념과 역할 29
3.2. 노랫말의 영어 혼용 30
3.3. 코드 믹싱(Code-Mixing)과 코드 스위칭(Code-Switching) 31
4. OTT 플랫폼과 넷플릭스 37
4.1. OTT(Over The Top) 플랫폼 37
4.2. 넷플릭스(Netflix) 39
4.3. 한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현황 41
5. 한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OST의 영어 혼용 사례 분석 45
5.1. 분석방법 및 작품선정 45
5.2. 영어 비율 분석 47
5.3. 영어표현 형태에 따른 사례 분석 51
5.3.1. 코드 믹싱의 경우 51
5.3.2. 코드 스위칭의 경우 53
5.2.3. 전체가 영어인 경우 57
5.4. 분석 결과 60
6. 드라마 OST 노랫말의 영어 혼용 연구 62
6.1. 연구설계 62
6.2. 심층 인터뷰 64
6.2.1. 드라마 OST 작업과 제작 환경에 관한 질의 65
6.2.2. 드라마 OST 노랫말과 영어표현에 관한 질의 69
6.3. 연구결과 76
7. 드라마 OST 노랫말의 영어 혼용 요인 분석 80
7.1. 드라마 OST의 장르적 특수성 80
7.2. 해외 유통을 전제한 드라마 기획 81
7.3. 레퍼런스 및 데모 음원의 영향 82
7.4. 드라마 OST 제작 환경 83
7.5. 드라마 OST 노랫말의 영어 혼용에 관한 제언 84
8. 결론 87
참고문헌 92
부록 97
ABSTRACT 100
[그림 1] 영화 [미션]·[시네마천국] 포스터 21
[그림 2] [여명의 눈동자] OST 앨범 표지 22
[그림 3] 안재욱 - 〈Forever〉 앨범 표지 23
[그림 4] 드라마 [겨울연가]·[대장금] 포스터 24
[그림 5] 폴킴 - 〈모든 날 모든 순간〉 앨범 표지 25
[그림 6]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포스터 38
[그림 7] Netflix 로고 39
[그림 8] [하우스 오브 카드] 포스터 41
[그림 9] [D.P], [소년심판] 포스터 42
[그림 10] [오징어게임] 포스터 43
근래의 국내 가요를 비롯한 대중문화 전반에서 영어표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추임새나 한정된 영어표현을 반복하는 형태를 넘어, 문장 단위의 영어표현으로 적극 혼용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 주요 음원 콘텐츠로서 부상한 국내 드라마 OST의 노랫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한국 드라마 OST 노랫말의 영어 혼용 사례 분석과 그 실무적 요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드라마 시장을 선도하며 국내 드라마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넷플릭스(Netflix)의 국내 오리지널 드라마 OST를 선정해 영어표현이 쓰인 비율을 파이썬 스크립트를 활용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드라마 OST 노랫말에 영어표현이 이중언어 사용자들의 것처럼 적극적으로 쓰였고, 단어 단위의 코드 믹싱보다 문장 이상 단위의 코드 스위칭의 형태가 더 빈번하게 쓰였으며, 한국식 영어표현과 번역체 어투가 쓰이는 사례 역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드라마 OST 노랫말에 영어를 쓰게 되는 실무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작곡가와 음악감독, 제작사 대표와 A&R 등 국내 드라마 OST 업계에 종사하는 다양한 실무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드라마 OST 노랫말의 영어 혼용 요인으로 영상을 보조하는 드라마 OST의 장르적 특수성, 해외 유통을 전제한 OST 제작 기획, 레퍼런스 및 데모 음원의 영향과 마지막으로 곡 결정권자의 요구 및 스케줄의 제약 등 제작 환경을 실무적인 요인으로 꼽을 수 있었다. 이에 드라마 OST 노랫말의 영어 혼용에 관한 제언으로 먼저 영어표현에 비해 한글 노랫말이 가지는 이점 역시 고려되어야 하고, 한국식 영어 혹은 문화소를 고려하지 않은 번역체 영어를 지양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작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노랫말 작업 역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중가요 노랫말에 나타나는 영어표현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드라마 OST의 장르적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라는 점과, 사회문화적 혹은 기능적 측면에 국한된 기존 연구와 달리 드라마 OST에 종사하는 제작진 및 창작자들의 관점에서 보다 실무적인 요인들을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드라마 OST의 장르적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 및 음악 산업의 실무적 영역을 다루는 여러 연구의 방향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드라마 OST 노랫말에 영어 혼용에 관한 제언이 향후 국내 드라마 실무자의 OST 제작과 창작자의 작업에 있어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해볼 수 있겠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