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머리말 8

Ⅱ. 17세기 로마의 분수 주제 판화집 17

1. 로마의 분수 주제 판화집의 출판과 전개 양상 17

2. 로마의 수로 복원과 분수 22

Ⅲ.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의 『로마의 광장, 그리고 로마의 공공장소 앞 분수들』(c. 1675) 27

1. 판테티의 권두 삽화 27

2. 분수와 광장 묘사 33

1) 과장된 분수 33

2) 분수를 바라보는 시점 36

3) 분수와 광장에 있는 스타파주 39

4) 분수 너머로 보이는 도시 풍경 41

Ⅳ. 판화집 『로마의 광장, 그리고 로마의 공공장소 앞 분수들』의 기능 45

1. 조반니 자코모 데 로시의 출판사업 45

2. 로마 방문객의 증가와 로마의 출판 사업 변화 51

3. 교황 알렉산데르 7세와 로마 테아트로 54

Ⅴ. 맺음말 60

참고문헌 62

도판 76

Abstract 91

도판목차

도 1)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로마의 새로운 지도〉, c. 1675, 에칭, 157x155㎝,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국립 미술관 76

도 2) 체사례 판테티, 〈로마의 알레고리〉,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6

도 3)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첨탑 옆 광장의 이중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6

도 4)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바티칸 궁의 큰 안뜰에 있는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6

도 5)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바티칸 궁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6

도 6)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몬테 카발로의 교황 궁 앞의 광장에 있는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6

도 7)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팔레스트리나 왕자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7

도 8)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몬테 비미날레 앞의 분수와 성〉,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7

도 9)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 앞의 광장에 있는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7

도 10)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첩탑 아래 산 조반니 라테라노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7

도 11)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아쿠아 파올라 분수와 성〉,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7

도 12)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아쿠아 파올라 분수와 성의 다른 풍경〉,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7

도 13)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산 피에트로 몬토리오 성당 앞 몬테 지안니콜로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8

도 14)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첨탑 아래 포르타 델 포폴로 광장의 분수〉, c. 1675,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8

도 15)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트리니티아 데 몬티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8

도 16)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바르베리니 광장의 팔레스트리나 왕자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8

도 17)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캄피돌리오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8

도 18)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캄피돌리오 아래의 무티 궁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8

도 19)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나보나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9

도 20)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나보나 광장의 또 다른 풍경〉,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9

도 21)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나보나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9

도 22)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캄포 스트라다 줄리아의 폰테 시스토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9

도 23)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마테이 궁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9

도 24)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콜론나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79

도 25)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로톤다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0

도 26)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파르네세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0

도 27)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두카 디 브라차노 궁 안뜰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0

도 28)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주데아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0

도 29)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몬테 치토리오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0

도 30)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산 자코모 스코나카발로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0

도 31)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마데 몬티 광장의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1

도 32)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트라스테베레의 산타 마리아 대성당 광장에 있는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1

도 33)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유명한 아쿠아 아체토사 분수〉, c. 1675, 에칭, 28x43㎝,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1

도 34) 조반니 마기, 〈바티칸의 성 피에트로 광장의 분수〉, c. 1618, 에칭, 19x14.9㎝, 하이델베르그, 하이델베르그 대학교 도서관 81

도 35) 조반니 마기, 〈무제〉, c. 1618, 에칭, 19x14.9㎝, 하이델베르그, 하이델베르그 대학교 도서관 81

도 36) 프란체스코 코르두바, 〈로마 폰테 시스토의 분수〉, c. 1600-1649, 22.9x15㎝, 로마, 인스티토 첸트랄레 페르 라 그라피카 81

도 37) 도메니코 파라사키, 〈피에트로 몬토리오의 분수〉, 1637, 에칭, 19x14.6㎝,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82

도 38) 페트뤼스 미오트, 〈바르베리니 궁의 분수〉, 1637, 에칭, 19x14.6㎝,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82

도 39) 페트뤼스 미오트, 〈바티칸 안티코 아파트의 캄포 코리토레의 분수〉, 1637, 에칭, 19x14.6㎝,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82

도 40) 페트뤼스 미오트, 〈캄 피돌리오에 있는 궁 내부의 분수〉, 1637, 에칭, 19x14.6㎝,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82

도 41) 프란체스코 코르두바, 〈로마의 성 피에트로 광장의 분수〉, 1650-1750, 에칭, 14.6x23.3㎝, 캘리포니아, 스탠토프 대학교 82

도 42) 도메니코 파라사키, 〈바티칸의 성 피에트로 광장의 분수〉,1637, 에칭, 19x14.6㎝,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 튜트 82

도 43) 페트뤼스 미오트, 〈산타 마리아 마조라 기둥의 분수〉, 1637, 에칭, 19x14.6㎝,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83

도 44) 도 2의 세부 (각 구역 별 구분. 맨 앞의 지면(노란색), 강(파란색), 강의 신들과 네레이드 딸들 그리고 로물루스, 레무스(주황색), 도시의 풍경(보라색), 자연의 풍경(초록색) 83

도 45) 도 2의 세부 (후경의 도시와 분수) 83

도 46) 도 2의 세부 (화면 중앙의 받침대) 83

도 47) 도 2의 세부 (티베르 강의 신, 늑대 그리고 로물루스와 레무스) 84

도 48) 마테우스 그뢰터, 〈근대 로마의 새로운 디세뇨〉의 세부, 1618, 에칭 그리고 인그레이빙, 130x214.7㎝, 1618, 로마, 로마 국립 중앙 도서관 84

도 49)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최근 로마의 이코노그레피아와 힙소 그라피아〉의 세부, 1667, 에칭, 75x94㎝, 애틀랜타, 에모리 대학교 84

도 50) 도 2, 도 48, 도 49 (물 항아리의 개수 비교) 84

도 51) 도 2의 세부 (우측 님프) 85

도 52) 조반니 프란체스코 벤투리니, 〈무녀 티베르티나의 분수, 분수로 알려진 오베로 알부네아〉, c. 1676-1700, 에칭, 23.3x34.4㎝, 런던, 영국박물관 85

도 53)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프라스카티의 루도비시 정원에 있는 이전 장의 분수 테아트로의 프로필 및 측면 도〉, c. 1675, 에칭, 21.1x34 ㎝,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5

도 54) 조반니 프란체스코 벤투리니, 〈아니에네 강 폭포의 베두테와 프로스페티〉, c. 1676-1700, 에칭, 21x28.5㎝, 런던, 영국박물관 85

도 55) 조반니 프란체스코 벤투리니, 〈고대 로마의 분수와 조망〉, c. 1676-1700, 에칭, 22.1x24.1㎝, 로마, 인스티토 첸트 랄레 페르 라 그라피카 85

도 56) 『광장과 궁전, 프라스카티, 티볼리 및 정원의 로마 분수의 전경』과 『로마인의 분수, 또는 가장 세련되고 영원한 분수, 로마 도시의 내부와 외부, 분수의 진실하고 다양하며 정확한 묘사』의 권두 삽화, 1685,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5

도 57)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아쿠아 아체토사의 분수와 성〉, 1665, 에칭, 17.1x29.2 ㎝,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6

도 58) 조반니 바티스타 데 로시, 〈로마의 새로운 파브리케, 전망 그리고 광장 디세뇨〉, c. 1663, 에칭, 48x36㎝, 캘리포니아, 스탠 포드 대학교 86

도 59) 도 33, 도 57의 세부 (도 57(왼쪽)와 도 33(오른쪽)의 스타파주의 비교) 86

도 60) 주세페 티부르티노 베르겔리, 〈첨탑 옆 포폴로 광장의 분수〉, 1690, 에칭,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6

도 61) 주세페 티부르티노 베르겔리, 〈성 베드로 대성당 앞 광장의 분수〉, 1690, 에칭,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6

도 62) 주세페 티부르티노 베르겔리, 〈바티칸 궁전 큰 안뜰의 분수〉, 1690, 에칭,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7

도 63) 주세페 티부르티노 베르겔리, 〈벨 베데레에 들어서는 문 앞 광장에 있는 분수〉, 1690, 에칭,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7

도 64) 주세페 티부르티노 베르겔리, 〈산 자코모 스코사카발로 광장의 분수〉, 1690, 에칭,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7

도 65) 도 1의 세부 (도 25를 보는 관람객의 위치) 87

도 66) 도 1의 세부 (도 7을 보는 관람객의 위치) 87

도 67) 도 1의 세부 (도 26을 보는 관람객의 위치(검정색), 스웨덴의 성 비르지타 성당의 위치(노란색), 산 지롤라모 델라 카리타 성당의 위치(하늘 색)) 87

도 68) 도 1의 세부 (도 23을 보는 관람객의 위치(검정색), 산 암브로조 델라 마시마 수도원 위치(노란색)) 88

도 69) 도 19, 도 20, 도 21의 세부 (가장 전면의 어두운 스타파주들 비교, 도 19 세부(귀족들과 구걸하는 사람), 도 20 세부(마차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 도 21 (돌팔이와 구경꾼들)) 88

도 70) 주세페 티부르티노 베르겔리, 〈스트라다 율리아 방향의 카포 폰테 시스토 분수〉, 1690, 에칭, 뮌헨,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88

도 71) 주세페 마리아 테스타나, 〈알렉산데르 7세 초상화〉, 1658, 에칭, 31㎝, 로스엔젤러스, 게티 리서치 인스티튜트 88

도 72) 서튼 니콜스, 〈피프스의 도서관, 요크 빌딩〉, 1694, 회색으로 염색된 종이와 잉크, 33.3x48.6㎝, 캠브릿지, 피프스 도서관 89

도 73) 『광장과 궁전, 프라스카티, 티볼리 및 정원의 로마 분수의 전경』의 독자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있는 이미지, 프라하, 체코 국립 도서관 89

도 74) 『로마인의 분수, 또는 가장 세련되고 영원한 분수, 로마 도시의 내부와 외부, 분수의 진실하고 다양하며 정확한 묘사』의 독자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있는 이미지,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89

도 75) 리빈 크루일, 조반니 바티스타 데 로시, 〈포르타 플라 미니아와 일반적으로 포르타 델 포폴로로 알려진 로마의 전망〉, 1704, 에칭, 227x330㎝, 로마, 막스 플랑크 미술사 연구소 도서관 90

도 76)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 〈트라스테베레의 산타 마리아 성당 광장〉, 1665, 에칭, 17.1x29.2㎝, 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 90

초록보기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Giovanni Battista Falda, 1643-1678)의 『로마의 광장, 그리고 로마의 공공장소 앞 분수들 Le Fontane di Roma nelle Piazze, e Luoghi Publici della Città』(c. 1675)은 17세기 로마의 광장과 공공장소 앞 분수들을 그린 판화집이며 총 4권에 해당하는 《로마의 분수들 Le Fontane di Roma》(1691년 혹은 이후) 시리즈 중 1권에 해당한다. 2권 이후의 《로마의 분수들》 판화집들은 개인의 빌라와 궁 안의 분수를 다루는 반면에 1권은 로마 공공장소의 분수들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 주제의 작품은 기존의 연구에서는 분수가 있는 도시 풍경 판화로 분류할 뿐 그 이상의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품의 목적과 기능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수 주제의 판화집은 17세기부터 단독 주제의 판화집으로 판매되었고 여러 명의 작가가 제작한 작품들을 묶어 제공하기도 했다. 초기 분수 주제의 판화집 분수는 배경 없이 화면 안에 단독으로 그려졌고 이후 점진적으로 스타파주가 추가되었다. 팔다와 그 이전의 분수 주제의 판화집과의 차이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그 첫 번째는 팔다가 물의 역동성을 더 강조한 것이고 두 번째로는 분수 배경에 근대 로마의 풍경을 결합한 것이다. 15세기 이후 교황들의 기획으로 고대 수로를 복원하고 로마 전역으로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수력 공학의 발전으로 대규모의 분수 설치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수로 복원은 로마 위생 상태를 개선했고 식수 및 생활용수를 티베르 강 이외의 장소에서 구할 수 있게 했다. 분수의 발전은 사람들의 주요 생활 반경을 티베르 강에서 광장으로 이동시켰다.

체사레 판테티(Cesare Fantetti, 1660?-1740)가 작업한 『로마의 광장, 그리고 로마의 공공장소 앞 분수들』의 권두 삽화에서 관람자가 이상적인 로마를 방문하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 주제의 판화집에서 과장되게 묘사된 분수, 관람자 눈높이의 시점으로 그려진 풍경과 스타파주로 조성되는 풍경의 현실성, 분수 너머로 보이는 로마 도시 풍경의 요소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분수를 그 주인공으로 하여 테아트로로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시각적 특징으로 유명한 건축물들은 생략된 풍경을 배경으로 연출한 점인데 이는 분수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주게 되며 관람자가 서 있을 그 위치와 눈높이로 그려진 시점과 결부하여 방문객들이 그 건축물에서 나올 때나 광장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마주칠 수 있는 풍경을 그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판화집을 출판한 조반니 자코모 데 로시(Giovanni Giacomo de Rossi, 1627-1691)는 『인물 판화』와 『새로운 극장』을 통해 교황 알렉산데르 7세(Alexander VII Chigi, 재임: 1655-1667)에게 저작권 보호 특권을 얻었고 이는 17세기 중 후반 로마에서 데 로시가 성공한 출판업자로 거듭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종교 개혁 이후로 로마가 이전에 비해 전 세계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한 상황에서 교황들은 문화적 이점을 이용하여 예전의 로마의 영광을 되찾고자 했다. 고대 로마 유적에 대한 관심은 종교적 이유가 아닌 학문 탐구의 목적으로 로마를 찾아오는 방문객 수 증가로 이어졌고 이들은 새롭게 유입된 판화 구매자들이었다. 교황 알렉산데르 7세는 방문객들이 보는 도시의 모습에 관심이 많았고 특히 도보로 이동하면서 보이는 도시의 모습을 중요시 하여 도시 개발 계획으로 테아트로적 요소를 구현하였다. 이 때 분수는 구심점이자 기준점의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팔다의 판화집 『로마의 광장, 그리고 로마의 공공장소 앞 분수들』에는 가톨릭 교황의 업적을 과시하는 선전 효과가 담겨 있고 구매 계층 중 로마 방문객들에게 여행을 돕는 방문 가이드북과 기념품 회화의 수집 대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판화라는 것을 증명하며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도시경관화의 초창기 화가인 팔다와 그의 분수 주제의 판화집을 재조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