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4

연구 배경 및 목적 14

Ⅱ. 국제전 진출 토대 19

1. 한국미술협회와 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

2. 상파울루 비엔날레 및 국제전 25

Ⅲ. 상파울루 비엔날레 한국 전시관 출범 34

1. 한국 전시관 작가선정 논란: 1963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34

2. 한국 전시관 자체 규정 등장: 1965년과 1967년 비엔날레 45

3. 한국 전시관 준비 미흡과 1969년 브라질 국내외 보이콧 53

Ⅳ. 한국 전시관과 상파울루 비엔날레 제도 변화 64

1. 한국 전시관의 일시적 변화와 브라질 《내셔널 비엔날레》 64

2. 한국 전시관의 폐지와 상파울루 비엔날레 주제 통합 82

Ⅴ. 결론 91

참고 문헌 94

ABSTRACT 103

표목차

[표 1] 1963-79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한국 참여작가 27

[표 2] 제8회 도록 캡션과 1965년 김환기 스케치 비교 48

도판목차

[도판 1] 한국미술협회, 〈쌍파울로 비엔날레 출품작품 국내전, 12회 리플릿〉 (기간:1973.3.12.-20. 장소:예총화랑), 1973, 잡지 3쪽,... 19

[도판 2] 제7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서 김환기와 마다라쪼회장(환기미술관 제공),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25

[도판 3] 제8회 비경쟁 부문 김환기 서문 및 작품, VIII Bienal de São Paulo, 1965, p. 187 28

[도판 4] 제13회 김환기 기사 일부,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p.92. 28

[도판 5] 좌) 제13회 미국관에 수록된 백남준의 〈TV 정원〉, 도록 캡션(Nam June Paik. Jardim de TV, 1974),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29

[도판 6] 좌) 제7회 도록에 실린 김환기의 〈여름달밤〉 (1961), 도록 캡션(Luar em Noite de Verao, 1961 - KIM WHANKI), VII Bienal de São Paulo, 1963, p.513, 우) 김환기, 〈여름달밤〉, 1961, 캔버스에 유화... 36

[도판 7] 김환기, 〈운월〉, 1963, 캔버스에 유화 물감, 193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36

[도판 8] 한용진, 〈작품3-2〉, 1963, 청동, 주조, 68x30x 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37

[도판 9] 제7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한국 서문 및 출품작 목록, VII Bienal de São Paulo, 1963, pp. 192-194. 37

[도판 10] 제8회 비경쟁 부분 김환기 출품작. 도록 캡션 (De Manhã Cedo, 1965 - KIM WHANKI), VIII Bienal de São Paulo, 1965. 46

[도판 11] 좌) 제8회 비경쟁 부분 김환기 출품작, 도록 캡션(Eco III, 1965 - KIM WHANKI), VIII Bienal de São Paulo, 1965.... 46

[도판 12] 제8회 경쟁 부문 김병기 커미셔너 서문 및 출품작 목록, VIII Bienal de São Paulo, 1965, pp. 188-190. 47

[도판 13] 제8회 권옥연 출품작, 도록 캡션(OK-YON KWON), VIII Bienal de São Paulo, 1965. 49

[도판 14] 제9회 김인승 커미셔너 서문 및 출품작 목록, IX Bienal de São Paulo, 1967. 50

[도판 15] 제9회 류경채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YUNG-CHAI YOO / Estação, 1967), IX Bienal... 51

[도판 16] 제10회 김세중 커미셔너 서문 및 출품작 목록. X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 parte 1, 1969, pp.64-66. 56

[도판 17] 좌) 제10회 안동숙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DONG-SUK AN - "Hwan A", 1969), X Bienal de São Paulo -... 58

[도판 18] 좌) 제10회 최명영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MYOUNG -YOUNG CHOI -"Pen 69-K", 1969), X Bienal de São Paulo - 58

[도판 19] 상) 제10회 이우환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WOOFAN REE - Vaidade, 1969), X Bienal de São... 60

[도판 20] 좌) 제10회 천경자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Kyong-Ja Chun - Sol, 1969), X Bienal de São Paulo -... 61

[도판 21] 1971년 파리 비엔날레 이우환 서문 및 하종현, 이우환, 김구림 출품작 이미지, 「파리비엔날레출품공동작품」, 『공간』, 1971.7, p.67. 65

[도판 22] 제11회 이일 커미셔너 서문 및 출품작 목록. XI Bienal de São Paulo, 1971, pp. 73-75. 66

[도판 23] 제11회 김차섭 출품작, 도록 캡션 (Coréia - TCHAH SOP KIM - Situação 71, 1971), XI Bienal de São Paulo, 1971. 68

[도판 24] 제11회 곽덕준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DUK-JUNE KWAK - Produção II, 1971), XI Bienal de São Paulo, 1971. 68

[도판 25] 상) 제11회 이승택의 출품작, 도록 캡션 (Coréia - SEUNG TAEK LEE - Amor e paz A, 1971), XI Bienal de São... 68

[도판 26] 제12회 이세득 커미셔너 영문 서문 및 출품작 목록. XII Bienal de São Paulo, 1973, pp. 86-88. 69

[도판 27] 제12회 정건모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KUN-MO CHUNG - Zen.). XII Bienal de São Paulo, 1973. 71

[도판 28] 제12회 김종학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CONG-HAK KIM - Lamp 1.). XII Bienal de São Paulo, 1973. 71

[도판 29] 제12회 강태성 출품작. 도록 캡션(Coréia - TA1-SUNG KANG - The Rhythm of the Ring Shape.). XII Bienal de... 71

[도판 30] 제13회 참가작가 소개,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pp. 88-89. 75

[도판 31] 제13회 출품작 목록,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pp. 90-91. 75

[도판 32] 1974년에 작고한 김환기를 위한 글 및 작품 50점 목록,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pp.93-94. 75

[도판 33] 김환기, 〈27-IX-70〉, 1970. 유채, 232.5x170cm,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7

[도판 34] 김환기, 〈16-IX-73〉, 1973. 유채, 260x205cm,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7

[도판 35] 김환기, 〈16-IX-73 #318〉, 1973, 코튼에 유채, 265x209cm, 환기미술관 소장. 77

[도판 36] 김환기, 〈27-IV-72〉, 1972, 유채, 260x205cm,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7

[도판 37] 김환기, Cem mil pintas, 1973.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7

[도판 38] 김환기, 〈10만 개의 점(04-VI-73 #316)〉, 1973, 코튼에 유채, 263x205cm, 서울미술관 소장. 77

[도판 39] 제13회 한영섭과 이옥련 출품작, 좌 도록 캡션(Young-Sup HAN, Relação 21), 우 도록 캡션(Oc-Ryun LEE, Série vento IV),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8

[도판 40] 제13회 김홍석의 출품작, 도록 캡션 (Hong -Seok KIM, Abrir e fechando n.o 21-75.),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8

[도판 41] 제13회 심문섭의 출품작, 도록 캡션 (Moon-Seup SHIM, Explorando.),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8

[도판 42] 제13회 김광우의 출품작, 도록 캡션 (Kwang-Woo Kim),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78

[도판 43] 제13회 김종학 출품작, 도록 캡션 (Chong-Hak KIM, Sem titulo.), XIII... 79

[도판 44] 제13회 송정기와 정찬승 출품작, 상)Jeng-Gi SONG, Declínio II, 하)Chang-Seung CHUNG, Madeira 5, XIII Bienal de São... 79

[도판 45] 제13회 윤형근과 박서보 출품작, 상) Hyung-Kuen YOON, Algodão azul ferrugem, 1974, 하) Seo-Bo PARK, Escrita n.o 9, 1973,... 79

[도판 46] 제13회 김용익 출품작, 도록 캡션 (Yong-Ik KIM, Lugar objeto I .)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80

[도판 47] 제13회 김한과 김종근 출품작, 좌) Han KIM, Louvor ao oriente, 120x120cm, 우) Jong-Kun KIM, Produto, 162x130cm,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80

[도판 48] 제13회 이성자와 박종배 출품작, 좌) Seund Ja RHEE, Cidade de janeiro, 1974, 우) Chong-Bae PARK, Sem título),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81

[도판 49] 제13회 한묵 출품작, 도록 캡션(Mook HAN, Espirais n.o 13), XIII Bienal de São Paulo, 1975. 81

[도판 50] 제14회 이강소와 이승조 출품작, 좌) Kang-So Lee (CORÉIA DO SUL), 우) Seung-Jio Lee (CORÉIA DO SUL),... 85

[도판 51] 상) 제15회 이건용 출품작, 도록캡션 (Guen-yong Lee(Coréia do Sul)), 15ª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1979.... 87

[도판 52] 제15회 김용민과 박현기 출품작, 좌) Yong-Min Kim(Coréia do Sul), 우) Hyun-Ki Park(Coréia do Sul), 15ª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1979. 87

[도판 53] 제15회 진옥선 출품작 추정, 도록 캡션(un Chin(Coréia do Sul)), 15ª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1979. 88

[도판 54] 제15회 최병소 출품작, 도록 캡션 (Byong-So Choi(Coréia do Sul)), 15ª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1979. 88

[도판 55] 제15회 이상남 출품작, 도록 캡션(Sang-Nam Lee(Coréia do Sul)), 15ª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1979. 88

[도판 56] 제15회 김기린 출품작 추정, 도록 캡션(ui-Line Kim(Coréia do Sul)), 15ª Bienal de São Paulo - Catálogo, 1979. 88

초록보기

 본 논문은 1963년부터 1979년까지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선보인 한국 현대미술에 관한 연구이다. 1951년부터 이어온 상파울루 비엔날레는 구미(歐美), 중남미(中南美), 아시아 작품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위상을 지닌 비엔날레이다. 1960년대 초 구상 작품으로 이뤄진 국전에서 배제된 작가들은 국제전 참가에 열을 올린다. 1963년에 처음으로 한국 전시관이 출범하여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지속해서 한국 작가들이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참여하지만, 이 기간 출품작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상이다.

본 논문에서 전시 도록과 국내 사료를 근거로 1963년부터 1979년까지 연구 범위를 확장한다. 선행연구에서 1970년대에 국내에서 국제전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하여, 상파울루 비엔날레 연구를 1960년대로 한정하였다. 다만, 도록에서는 1970년대 중반까지 매회 10명의 이상의 작가들이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참여하였고 1977년부터 참가 인원수는 절반 이하로 줄어들지만, 상파울루 비엔날레의 국가 전시관 제도 폐지와 통합 주제 제도로 변경으로 야기된 상황이다. 오히려 이 변화로 인해 한국 출품작도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자 1970년대까지 연구를 확장한다.

II장에서 먼저 국제전 준비를 담당한 한국미술협회와 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의 설립 목적과 배경을 확인하며 국제전에 대한 국내의 인식을 다룬다. 나아가 상파울루 비엔날레의 주요 비교 대상이었던 파리 비엔날레가 35세 미만 작가의 4년 이내 제작한 작품들로 출품작을 제한하여 전위 예술의 장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한 면모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상파울루 비엔날레 작가선정을 조율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1963년에 상파울루 비엔날레 추상계열 한국 출품작은 주체성이 부족하지만, 국제 맥락만 고려하여 선정되었다고 비판받은 '108인 연서 사건'이 일어난다. 1960년대 커미셔너들은 서문에서 출품작을 '조용한 목소리'에 비유하여 전통을 드러내는 작품이기에 선정하였다고 반복적으로 주장한다. IV장에서는 상파울루 비엔날레 체제가 변화하는 1970년대에 한국 출품작 경향이 변화한 양상을 다룬다. 1960년대 한국 참가작품은 회화·조각 위주라면, 1970년대는 설치·입체 그리고 1979년에 처음으로 비디오와 이벤트 작업도 등장한다.

본 논문은 이처럼 파리 비엔날레에 가려져 국제전 진출 연구에서 자세히 다뤄지지 않은 상파울루 비엔날레를 살펴본다. 9회에 걸쳐 한국 작가들이 참가하는 동안 상파울루 비엔날레 준비를 위한 커미셔너들의 작품 선정 기준과 이에 따른 출품작 변화 양상을 재조명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