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배경과 목적 12
2) 연구 방법과 방향 13
Ⅱ. 이론적 배경 16
1. 미셀 푸코와 조르지오 아감벤의 장치(Dispositifs) 16
2. 피에르 브르디외의 아비투스(Habitus) 19
3. 들뢰즈의 동물-되기(Devenir) 22
Ⅲ. 선행작가 연구 28
1. 앤디 워홀 ; 〈Skulls〉의 반복과 소멸 그리고 바니타스 28
2. 필립 콜버트 ; 〈Hunt hands〉의 '유머러스' 31
3. 제프 쿤스 ; 〈Robster〉의 '연출성' 35
Ⅳ. 연구자의 작품 분석 40
1. 〈Boney〉 시리즈 40
1) 그로테스크적 표현과 유머러스함 40
2) 희화화된 조형성의 표현 44
2. 〈Meatboy〉시리즈 51
1) 스토리와 연출의 장치적 성향 51
2) 잔혹극과 놀이의 연극성 63
Ⅴ. 결론 68
Ⅵ. 참고문헌 70
ABSTRACT 73
도판 1. Andy Warhol, Orange Car Crash(5 Deaths 11 Times in Orange)(Orange Disaster), screen printing on acrylic on canvas,... 29
도판 2. Andy Warhol, Skulls, acrylic and silkscreen on 6 canvases, 383x483x18mm each, 1976. 30
도판 3. Philip Colbert, Hunt hands, oil on canvas, 270x195, 2022. 33
도판 4. Peter Paul Rubens, Hippopotamus and Crocodile hunt, oil on canvas, 321x248cm, 1615~1616. 34
도판 5. Jeff Koons, Robster, Mirror-polished stainless steel with transparent color coating, 147x47.9x94cm, 2007~2012. 37
도판 6. Salvador Dali, Robster Telephone, telepgone, plaster, 15x30x17cm, 1936. 37
도판 7. 이주환, Boney-Forever Young-k01, acrylic, oil, black pigment on canvas, 45.5x37.5cm, 2022. 42
도판 8. 이주환, Boney-Forever Young-k01.1, acrylic, oil, black pigment on canvas, 60x50cm, 2022. 43
도판 9. 이주환, Boney-Forever Young -wow-k06, acrylic, oil, mineral pigment, black pigment on canvas, 53x45cm, 2022. 45
도판 10. 이주환, Boney-Forever Young -what?-k05, acrylic, oil, mineral pigment, black pigment on canvas, 60x50cm, 2022. 45
도판 11. 이주환, Boney-forever young-very happy, happy, hmm happy-k02, 03, 04, acrylic, oil, black pigment on canvas, 53X45cm each, 2022. 46
도판 12. 평면 : 이주환, Boney-Out of body-2231. oil... 47
도판 13. 이주환, Skin & Bones, mixed media on canvas, 60x50cm, 2022. 49
도판 14. 이주환, The birth of meatboy, ink on paper, 24x33cm, 2022. 51
도판 15. 이주환, The birth of meatboy, mixed media, flexible installation ex)100x60x40cm, 2022. 53
도판 15-1. 이주환, 미트보이 인 더 키친. 54
도판 15-2. 이주환, 미트보이와 컨베이어 오션. 54
도판 15-3. 이주환, 미트보이와 전단지. 54
도판 16. 이주환, Meatboys love story, acrylic on canvas, 97x130cm, 2022. 55
도판 17. 이주환, Mbs 01~50, lenoleum cut, ink on cotton paper, 10x7.5cm each, 2023. 57
도판 17-1. 이주환, Mbs 01~50, Displayed on wall. 57
도판 18. 이주환, Delivery(close up), mixed media, flexible installation ex)40x30x30cm, 2023. 57
도판 18-1. 이주환, Delivery. 57
도판 19. 이주환, Meatboy reach the final, mixed media, flexible installation, 2023. 58
도판 19-1. 이주환, Meatboy reach the final, 영상과 함께 설치된 모습. 59
도판 20. 이주환, Fat bone, mixed media, 115x50x40cm, 2023. 61
도판 21. 이주환, Becoming Meatgirl, acrylic on canvas, 50x40cm, 2023. 61
도판 22. 이주환, Meal, acrylic on canvas, 100x80.3cm, 2023. 62
본고는 카툰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캐릭터를 조형화해 스토리를 구성하고 배치하여 연출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캐릭터의 차용과 변용은 이미 만들어져있는 이미지가 가지는 사회적 권위를 박탈하여 새로운 것으로 이용하는 것인데, 주지하다시피 현대사회에서는 이미지의 힘이 더욱 커져 가면서도 이미지의 폐기는 빨라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동안 살아남은 이미지의 특징이 연구자의 작품에서 전략적인 배치와 맥락을 통해 진행되는 바를 본고에서 밝혔다. 이와 함께 관람 주체의 행동과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힘에 대해 미셀 푸코와 조르지오 아감벤의 권력개념으로부터 생체권력과 장치에 관한 담론, 그리고 피에르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에 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이미지가사회와 인간의 의식을 조작하는 방식이 연구자의 작품의 전제 사유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질 들뢰즈의 반복을 통한 차이의 생성이 '-되기(Devenir-)'를 중점으로 연구자의 작품요소와 관계하고 있다는 것을 기술했다. 앤디워홀의 〈Skulls〉와 필립 콜버트의 〈Hunt hands〉, 그리고 제프쿤스의 〈Robster〉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작품과 조형적 유사성, 표현된 캐릭터의 희화화된 측면과 연출에 관해 비교하였고, 그들의 작품에서 표현된 사회적 측면을 분석하여 연구자의 작품이 갖는 메시지의 맥락을 밝혔다. 또한 연구자가 희화화한 캐릭터가 갖는 잔혹성이 앙토네 아르토의 잔혹연극론과 관계하며 연구자의 작품이 연출되는 양상에 대해서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표현한 그로테스크적이고 야만적인 캐릭터의 연극적 요소와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이미지가 전시장에서 연출된 상황을 통해 관람객의 의식을 조작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고를 통해 연구자의 작품이 이미지적 힘과 메시지의 확장성을 효과적으로 담는 방법임을 검증하였으며, 본인의 작업이 갖춘 현재적 가치를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창작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