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Ⅰ. 서론 20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0
2. 연구 내용 및 방법 24
3. 선행연구 28
Ⅱ. 아카이브 담론으로 본 페미니즘 미술의 수정주의 시각 34
1. 아카이브가능성과 아카이브적 전환 34
2. 페미니즘의 수정주의 미술사와 아카이브 43
Ⅲ. 1980년대 페미니즘 미술 전시: 자생성과 다성성, 여성운동과의 접합을 향하여 54
1. 민주화 운동 속의 페미니즘 미술 다시 쓰기 54
1.1. 1980년대 미술계의 지형도와 페미니즘 미술 54
1.2. 1980년대 페미니즘 미술과 여성운동과의 교류 62
2. 페미니즘 미술 주체의 형성: 시월모임, 터그룹 72
2.1. 페미니즘 미술 그룹으로서의 시월모임 72
2.2. 터그룹, 《터전》(1985-1992) 103
3. 노동과 여성 현실의 문제, 서발턴의 발화: 여성미술연구회 114
3.1. 여성미술연구회 결성 과정과 페미니즘 스터디 114
3.2. 여성미술연구회, 《여성과 현실》(1987-1994) 126
3.3. 소그룹 활동과 커뮤니티 아트 158
4. 자생적 '여성미술'과 페미니즘 미술의 간극 메우기: 《우리 봇물을 트자》(1988) 169
Ⅳ. 1990년대 페미니즘 미술 전시: 다원화 문화운동과 포스트페미니즘으로의 확장 179
1. 1990년대 사회와 미술 현장의 지형도 179
1.1. 미술 현장의 거대서사와 미시사 179
1.2. 1990년대 여성운동과 여성문화예술 활동 190
2. 소그룹 미술운동으로서의 페미니즘: 30캐럿, 《30캐럿》(1993-2000) 197
2.1. 그룹의 결성 과정과 《30캐럿》 전반부 활동(1993-1994) 197
2.2. 《30캐럿》 후반부 전시(1995-2000) 212
2.3. 페미니즘 미술로서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221
3.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미술의 마중물: 《여성, 그 다름과 힘》(1994) 235
3.1. 전시의 실행과 의의 235
3.2. 《여성, 그 다름과 힘》을 둘러싼 여러 논쟁들 248
4. 사이 공간으로서의 페미니즘 미술 실천: 부산 253
4.1. 《페미니즘 아트, 세계 해석의 독자성》(1991) 254
4.2. 《여성·역사: 새롭게 보기 혹은 넘어서기》(1995) 263
5. 성 정치학으로서의 큐레토리얼 구축: 《'99 여성미술제: 팥쥐들의 행진》(1999) 271
5.1. 《'99 여성미술제: 팥쥐들의 행진》(1999) 시작과 진행 과정 272
5.2. 전시의 내용과 프로그램 275
5.3. 복수로서의 페미니즘즈와 큐레토리얼 실천 288
Ⅴ. 결론 294
참고문헌 301
ABSTRACT 329
〈표 1〉 1980년대 여성단체의 출판물과 여성미술 작가 68
〈표 2〉 제1회 《시월모임》(1985) 출품작 목록(일부) 84
〈표 3〉 제2회 《반에서 하나로》(1986) 출품작 목록(일부) 93
〈표 4〉 제2회 《반에서 하나로》(1986) 전시 부대행사 101
〈표 5〉 터그룹의 전시 내용(1985-1992) 112
〈표 6〉 제2회 《여성과 현실》을 위한 스터디 일정 1988.3.1.-8.31. 122
〈표 7〉 제3회 《여성과 현실》을 위한 토론 일정 1989.6.28.-8.30. 123
〈표 8〉 제4회 《여성과 현실》을 위한 토론 일정 1990.7.11.-8.22. 124
〈표 9〉 제1회 《30캐럿》(1993) 전시를 위한 스터디 목록 201
〈표 10〉 제2회 《30캐럿》(1993) 전시를 위한 스터디 목록 206
〈표 11〉 제3회 《30캐럿》(1994) 전시를 위한 스터디 목록 209
〈표 12〉 제4·5회 《30캐럿》(1995-1996) 전시를 위한 스터디 목록 215
〈표 13〉 《30캐럿》(1993-2000) 전시 현황 220
〈표 14〉 《'99 여성미술제: 팥쥐들의 행진》 전시 구성 283
〈표 15〉 《'99 여성미술제: 팥쥐들의 행진》 부대행사 프로그램 285
[도판 1] 캐슬린 길제, 〈마네의 폴리베르제 술 집 속의 린다 노클린〉, 2005, 린넨에 유채, 94x130cm. 43
[도판 2] 레드스타킹의 봉기를 다룬 기사, 『뉴욕타임즈(The New York Times)』 1969년 2월 14일 자. 47
[도판 3] 집회장에서의 걸개그림, 노동자대회·연세대 노천극장, 1988. 57
[도판 4] 두렁(주필 김봉준), 〈만상천하 I〉, 1982, 비단에 먹, 단청안료, 90x150cm. 57
[도판 5] 하민수, 〈'태초에' 시리즈〉, 1985, 《메타 복스 창립전》 전경. 59
[도판 6] 메타복스 보도 기사, 『중앙일보』, 1989년 8월 25일 자. 59
[도판 7] 가족법 개정을 촉구하며 시위하는 한국 여성단체연합 회원들, 1989년 10월 25일. 65
[도판 8] 한국여성단체연합 주관으로 치러진 3·8 세계여성의날기념 한국여성대회, 1988년 3월 6일. 65
[도판 9] 1980년대 또하나의문화에서 발행한 동인지 5권. 67
[도판 10] 『베틀』의 표지 이미지로 사용된 김인순의 작품, 『베틀』, 1987년 제23호. 69
[도판 11] 한국여성민우회 문화기획실(맨 우측이 이혜경), 1991년 2월 25일. 70
[도판 12] 1980년대 여성운동과 페미니즘 미술의 관계망 71
[도판 13, 14] 《김영, 김진숙, 윤석남 소묘전》(1980.12.6.-11.) 리플릿. 74
[도판 15] 시월모임(좌로부터 김인순, 김진숙, 윤석남), 1986. 76
[도판 16] 시월모임의 형성과 교류. 81
[도판 17] 전시장에서 시월모임 멤버(왼쪽부터 윤석남, 김진숙, 김인순), 1985. 82
[도판 18] 윤석남, 〈어머니〉, 1985, 종이에 연필, 200x405cm. 85
[도판 19] 김인순, 〈일터에서〉, 1985, 한지에 목탄, 120x181cm. 86
[도판 20] 김진숙, 〈연등놀이〉, 1985, 종이에 콘테, 목탄, 파스텔, 150x200cm. 86
[도판 21] 시월모임의 제2회 《반 에서 하나로》 보도 기사, 『동아일보』, 1986년 10월 24일 자. 90
[도판 22] 윤석남, 〈L부인〉, 1986, 천에 안료, 162x130cm. 94
[도판 23] 김인순, 〈색안경〉, 1986,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10cm. 94
[도판 24] 김인순, 〈음모〉, 1986, 천에 아크릴릭, 135x191cm. 95
[도판 25] 김진숙, 〈들국화〉, 1986, 캔버스에 유채, 90x130m. 95
[도판 26] 제2회 《반에서 하나로》의 부대행사. 100
[도판 27, 28] 제1회 《터전》 전시 리플릿(앞, 뒤). 105
[도판 29] 김민희, 〈다녀오세요〉, 연도 미상. 107
[도판 30] 제3회 《터전》(1988) 포스터. 109
[도판 31] 여성평우회의 기관지 『여성평우회』(1985년 4월) 보도 사진. 110
[도판 32] 정정엽, 〈올려보자〉, 1987, 목판화. 110
[도판 33] 최경숙, 〈시간쪼개기〉, 종이에 아크릴, 색연필, 43x58cm. 111
[도판 34] 여성평우회가 1984년 10월 27일에 개최한 《여성문화큰잔치》. 115
[도판 35] 『이화여대 학보』에 실린 문샘의 글, 『이화여대 학보』, 1988년 11월 23일 자. 117
[도판 36] 제1회 《여성과 현실》 홍보 현수막. 127
[도판 37] 제1회 《여성과 현실》 보도 기사, 『중앙일보』, 1987년 8월 31일 자. 129
[도판 38] 제1회 《여성과 현실》 보도 기사, 『동아일보』, 1987년 9월 7일 자. 129
[도판 39] 전시장에 설치된 공동작 〈평등을 향하여〉(1987). 130
[도판 40] 윤석남, 〈하오 두시〉, 1980년대. 131
[도판 41] 제2회 《여성과 현실》 (1988) 홍보물(1면). 134
[도판 42] 제2회 《여성과 현실》 (1988) 홍보물(3면). 134
[도판 43] 김인순, 〈그린힐화재에서 22명의 딸들이 죽다〉, 1988, 천에 아크릴릭, 150x190cm. 135
[도판 44] 제2회 《여성과 현실》 포스터. 137
[도판 45] 제2회 《여성과 현실》 초대장. 137
[도판 46] 윤석남, 〈수산시장〉, 1988. 139
[도판 47] 제3회 《여성과 현실》 순회전시를 보도한 기사, 『한겨레』, 1989년 5월 17일 자. 140
[도판 48] 제4회 《여성과 현실》 포스터. 141
[도판 49, 50] 노동미술위원회, 연작 〈우리는 일하고 싶다〉 22점 중 1·22, 1990. 142
[도판 51] 제5회 《여성과 현실》 포스터. 144
[도판 52] 류준화, 〈짐승을 죽였습니다〉, 1991, 혼합 재료, 60x80cm. 146
[도판 53] 정정엽, 〈집사람〉, 1992, 캔버스에 아크릴릭, 116x91cm. 146
[도판 54] 제6회 《여성과 현실》 포스터. 147
[도판 55] 박영숙, 윤석남, 〈자화상〉, 1992, 사진, 나무에 채색. 149
[도판 56] 서숙진, 〈서울 엠마 누엘〉, 1992, 만화에 사진 콜라주. 149
[도판 57, 58] 박영숙, 윤석남, 〈윤명숙의 하루〉, 1993, 혼합매체. 151
[도판 59] 제8회 《여성과 현실》 전시 도록 표지. 153
[도판 60] 김인순, 〈엄마의 대지〉, 1994, 천에 아크릴릭, 120x180cm. 154
[도판 61] 조경숙, 〈결핍과 망각의 염색체〉, 1994, 이화여자대학교 패션스토어 설치, 컴퓨터 합성 이미지. 155
[도판 62] 김인순, 윤석남, 김종례, 구선회, 정정엽, 최경숙, 〈해방의 햇새벽이 떠오를 때까지 하나되어 나아가세!〉, 1987, 천에 안료, 250x500cm. 160
[도판 63] 이동벽화를 스케치하는 모습. 왼쪽부터 정정엽, 윤석남, 김인순, 구선회. 160
[도판 64] 정정엽, 〈공동그림 그리기-여성 미술연구회〉, 1988, 캔버스에 유채, 91x117cm. 160
[도판 65] 한국여성민우회 창립대회의 초대회장 이효재, 1987년 9월 12일. 161
[도판 66] 한국여성민우회 창립대회에 전시한 둥지의 〈평등을 향하여〉(1987). 161
[도판 67] 둥지, 〈제국의 발톱이 할퀴고 간 이 산하에〉, 1988, 천에 아크릴릭, 160x500cm. 162
[도판 68, 69] 노동미술위원회의 주최로 울산현대중공업에서 진행된 《이동미술관-우리들의 만남》(1992). 164
[도판 70] 만화패 미얄에서 제작한 『여성 만화 신문』 창간호(1989년 3월 5일 자). 165
[도판 71] 여성미술연구회가 공동 참여한 『여성농민: 위대한 어머니』 (형성사, 1990) 표지. 167
[도판 72] 《우리 봇물을 트자》 시낭송회, 1988. 171
[도판 73] 전시 기간 개최된 동인지 제4호 『또 하나의 문화: 지배문화 남성문화』 출간회. 171
[도판 74] 정정엽, 〈감자꽃〉, 1988, 목판화. 173
[도판 75] 김진숙이 제작한 『여성신문』의 창간호 표지 그림. 175
[도판 76, 77] 또하나의문화 동인지 『또 하나의 문화』 표지 그림, 왼쪽부터 김진숙, 윤석남의 작품. 177
[도판 78, 79] 그룹 뮤지엄의 《썬데이 서울》에 참여한 이불의 작품 〈무제〉, 1990, 소나무갤러리, 서울. 183
[도판 80] 《태평양을 건너서: 오늘의 한국미술》(1993)에 출품한 민영순의 〈자동인형 신부의 의례적 노동 (Ritual Labor of a Mechanical Bride), 1993 184
[도판 81] 1995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NGO포럼. 191
[도판 82]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 창간호(1997) 표지. 193
[도판 83, 84] 여성문화예술기획에서 기획한 연극 〈아마조네스의 꿈〉(1995) 홍보물과 상영 장면. 195
[도판 85] 제3회 《30캐럿》(1994)에서의 30캐럿 멤버들. 198
[도판 86, 87] 박지숙 〈양성적 존재 Androgyne〉, 1993, 퀼팅 천에 유채, 195x390cm. 203
[도판 88] 30캐럿 보도 기사, 『동아일보』, 1993년 4월 7일 자. 204
[도판 89] 제2회 《30캐럿》(1993) 포스터. 205
[도판 90] 이현미, 〈결혼〉, 1993, 종이에 혼합기법, 260x300cm. 207
[도판 91] 임미령, 〈날개접은 우리의 아빠〉, 1993, 종이에 아크릴릭, 191x133cm. 207
[도판 92] 김미경, 〈알〉, 1994, 석고, 스티로폼, 안료, 230x140x85cm. 210
[도판 93] 박지숙, 〈나날의 단편〉, 1994, 천에 혼합기법. 211
[도판 94] 최은경, 〈징검다리〉,1994, 컴퓨터 모니터 설치, 150x210x200cm. 211
[도판 95] 제4회 《30캐럿》(1995) 포스터. 213
[도판 96] 제5회 《30캐럿》(1996) 리플릿. 213
[도판 97] 염주경, 〈지구人〉, 1996, 망사, 안료, 철사, 6ea 각 200x120x50cm. 214
[도판 98] 제6회 《30캐럿》(1998) 전시 광경. 216
[도판 99] 하민수, 〈만종 대 만종(晩鐘 對 晩鐘)〉, 1998, 천에 바느질과 혼합재료, 162x305cm. 217
[도판 100] 제7회 《30캐럿》(2000) 전시 현수막. 218
[도판 101] 제7회 《30캐럿》(2000) 전시 도록 표지. 218
[도판 102] 현실문화연구에서 발 행한 『결혼이라는 이데올로기』 (1993) 표지. 229
[도판 103] 전시부대 행사로 한국갤러리에서 진행된 토론회. 236
[도판 104] 《여성 그 힘과 다름》 전시 보도기사, 『중앙일보』, 1994년 3월 23일 자 237
[도판 105, 106] 김영, 박영숙, 윤석남, 한영애, 공동작 〈이제 크신 어머니께서 자고 깨니〉, 1994. 240
[도판 107] 박영숙, 윤석남, 〈이제 크신 어머니께서 자고 깨니〉를 위한 드로잉, 1994, 73x45cm. 241
[도판 108] 하민수, 〈날개-갖혀진 비상II〉, 1994, 천에 바느질, 261x169cm. 242
[도판 109] 조경숙, 〈진혼굿〉, 1994, 각 85x42cm. 244
[도판 110] 류준화, 〈정숙한 아내-매춘부〉, 1994. 247
[도판 111] 《여성, 그 다름과 힘》(1994) 전시 전경. 249
[도판 112] 《페미니즘 아트, 세계 해석의 독자성》 (1991) 전시에 참여한 작가와 기획자(왼쪽부터 노원희, 이정현, 박경인, 강선학, 김난영, 이혜주). 254
[도판 113] 《부산, 80년대의 형상미술》(1989) 전시도록 표지 256
[도판 114] 『항도일보』의 연재 기사 "80년대 형상미술 부산화단의 기수들" 『항도일보』 1989년 6월 23일 자 256
[도판 115] 김난영, 〈간단한 삶〉, 1991, 천에 아크릴릭, 116x91cm. 259
[도판 116] 노원희, 〈비〉, 1991, 천에 아크릴릭, 91x68cm. 261
[도판 117] 《여성·역사: 새롭게 보기 혹은 넘어서기》(1995) 전시 도록 표지. 265
[도판 118] 김종례, 〈왕비〉, 1994, 지점토, 한지, 나무, 130x60x15cm. 266
[도판 119] 김인순, 〈황혼〉, 1995, 한지에 아크릴, 85x142cm. 267
[도판 120] 방정아, 〈팔자센 여자〉, 1995, 캔버스에 아크릴릭, 91x116.7cm. 268
[도판 121, 122] 김진희, 방정아, 윤은숙 〈식식거린다, 조여든다, 움켜쥔다, 뒤집는다(그녀의 방)〉, 1995, 가변설치, 혼합재료(왼쪽: 설치를 위한 드로잉). 269
[도판 123] 여성미술제 운영 및 전시기획위원들 (왼쪽부터 김홍희, 이혜경, 백지숙, 임정희, 김인순, 김선희, 윤석남, 오혜주, 박영숙). 272
[도판 124] 《'99 여성미술제: 팥쥐들의 행진》 보도 기사, 『한국일보』, 1999년 9월 1일 자. 273
[도판 125] 참여작가 7인의 작품을 판화로 제작한 판화 세트. 274
[도판 126, 127] I부 역사전, 왼쪽은 《여성미술과 모더니즘》, 오른쪽은 《여성미술과 현실》. 276
[도판 128] 홍현숙, 〈은닉된 에너지 99-III〉, 1999, 흙과 옷들, 1207x457x300cm. 278
[도판 129] 박영숙, 〈미친년들〉, 1999, C 프린트, 각 240x103cm. 280
[도판 130, 131] 홍미선, 〈손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1999, 사진, 13x18x1.5cm 8권. 28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