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Ⅰ. 서론 9

1. 연구배경 9

2. 연구목적 12

Ⅱ. 연구 방법 13

1. 연구 자료 수집 및 방법 13

1.1. 한국자료 - KNHANES 13

1.2. 미국자료 - NHANES 13

1.3. 자료수집원 14

2. 연구 대상 14

3. 연구 모형 15

3.1. 연구의 틀 15

3.2. 연구 분석 모형 15

4. 변수 선정 16

4.1. 독립변수 16

4.2. 종속변수 18

5. 통계 분석 방법 21

Ⅲ. 연구 결과 22

1.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2

2. 한국과 미국의 전신건강 24

3. 한국과 미국의 구강건강상태 25

4. 한국과 미국의 구강관리행태 및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26

5.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 상태 28

5.1. 임플란트 유무 28

5.2. 현존치아 수 31

5.3.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34

5.4. 우식영구치지수(DT index) 37

5.5. 충전영구치지수(FT index) 40

5.6. 상실영구치지수(MT index) 43

6.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관리행태 46

6.1. 1년 이내 치과 미치료 여부 46

6.2. 잇몸질환 치료 여부 49

6.3. 구강관리용품 사용 여부 52

7. 한국과 미국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55

8. 한국과 미국의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59

8.1. 1년 이내 치과 미치료 여부 59

8.2. 잇몸질환 치료 여부 61

8.3. 구강관리용품 사용 여부 63

9.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65

9.1. 한국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 요인 65

9.2. 미국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 요인 68

Ⅴ. 고찰 71

Ⅵ. 결론 75

참고문헌 77

Abstract 80

표목차

〈표 1〉 선정된 공통 변수와 분류기준 19

〈표 2〉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3

〈표 3〉 한국과 미국의 전신건강 24

〈표 4〉 한국과 미국의 구강건강상태 25

〈표 5〉 한국과 미국의 구강관리행태 및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27

〈표 6〉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플란트 유무 29

〈표 7〉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현존치아 수 32

〈표 8〉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35

〈표 9〉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식영구치지수(DT index) 38

〈표 10〉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충전영구치지수(FT index) 41

〈표 11〉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상실영구치지수(MT index) 44

〈표 12〉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1년 이내 치과 미치료 여부 47

〈표 13〉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잇몸 질환 치료 여부 50

〈표 14〉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관리용품 사용 여부 53

〈표 15〉 한국과 미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수준 56

〈표 16〉 한국과 미국의 1년 이내 치과 미치료 여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60

〈표 17〉 한국과 미국의 잇몸 질환 치료 여부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62

〈표 18〉 한국과 미국의 구강관리용품 사용여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 64

〈표 19〉 한국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6

〈표 20〉 미국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