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의 목적 14
Ⅱ. 이론적 배경 15
1. 건강과 건강상태 15
1) 건강의 개념 및 정의 15
2) 건강상태의 개념 및 정의 15
3) 구성요소 16
4) 선행연구 19
2. 직무만족도 23
1) 개념 23
2) 구성요소 26
3) 선행연구 28
3. 간호사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30
4.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32
1) 개념 32
2) 야간전담 근무제 도입 33
Ⅲ. 연구설계 34
1.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34
1) 연구모형 34
2) 연구가설 36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8
1) 연구 대상 38
2) 자료 수집 방법 38
3. 연구도구 39
1) 건강상태 39
2) 직무만족도 40
4. 자료 분석방법 42
5. 연구의 윤리적 측면 43
Ⅳ. 연구결과 44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4
2. 가설검증을 위한 도구분석 46
1)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46
2)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성, 신뢰도 검사 49
3. 각 변수의 기술적 통계 분석 57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58
1) 연령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58
2) 성별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59
3) 결혼 상태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0
4) 자녀유무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1
5)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2
6) 총 근무기간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3
7) 월 급여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4
8) 현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6
9) 야간근무태도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 67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69
1)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69
2)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0
3) 결혼 상태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1
4) 자녀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2
5) 교육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3
6) 총 근무기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4
7) 월 급여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5
8) 현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7
9) 야간근무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78
6.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9
1) 외재적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79
2) 내재적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80
7. 가설검증결과 81
Ⅴ. 고찰 85
1. 연구도구에 대한 고찰 85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86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 86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90
3) 건강상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4
Ⅵ. 결론 97
1. 결론 97
2.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 98
참고문헌 100
ABSTRACT 110
설문지 113
〈그림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모형 개념도 32
〈그림2〉 야간전담 간호사 운영여부(2022) 33
〈그림3〉 초기 연구모형 34
〈그림4〉 최종 연구모형 35
〈그림5〉 비 표준화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1
〈그림6〉 표준화된 확인적 요인분석 52
본 연구는 부·울·경에 위치한 2, 3차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운영의 효율성 증대, 병원에서 교대근무하고 있는 다양한 직종에도 확대 시행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5월 25일부터~7월 31일까지였으며, 부·울·경에 소재지를 둔 2, 3차병원 6곳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9문항, 건강상태 30문항, 직무만족도 10문항으로 총 4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총 137부의 설문지는 설문 안내문(원내 게시용)에 설문지가 포함된 QR코드를 넣어 배포하였으며, 137부가 회수되어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35부의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9.0 for windows, AMOS 20.0로 분석하였다.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 도구를 통계적으로 검증 후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는 연령, 월 급여수준, 현 근무형태는 모두 건강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 하였고, 교육수준, 총 근무기간, 야간근무에 대한 태도는 일부만 건강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연령, 총 근무기간, 월 급여 수준, 현 근무형태, 야간근무태도는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상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건강상태는 외재적 직무만족도, 내재적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건강상태는 외재적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건강상태의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을 나타내고, 직무만족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외재적 직무만족도는 낮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건강상태는 내재적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건강상태의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을 나타내고, 직무만족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회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내재적 직무만족도는 낮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건강상태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증진하여 직무에 둘러싼 불필요한 환경적 요인들을 제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외재적 직무만족도를 적절히 높일 수 있도록 조직적인 측면에서 지원을 해야 할 것이고, 간호사의 직업적 긍지, 자아성취성향등 사회적 건강상태를 높여 직무수행에 만족도가 높은 자아성취감 등 내재적 직무만족도를 높이도록 해 간호사의 건강증진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운영의 효율성 증대에 힘써야 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병원에서 많은 인원이 배치된 간호직종 외에도 다른 보건직 등 교대근무를 시행하는 부서는 많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대한 다양한 근무형태 연구가 이루어져 보건직 등 교대근무를 시행하는 부서에도 적용하여 교대근무 직원의 더 나은 근무형태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