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1
제2절 연구 목적 15
제3절 용어의 정의 16
1.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16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16
3. 간호전문직관 17
4.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17
제2장 문헌고찰 18
제1절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18
제2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20
제3절 간호전문직관 21
제4절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23
제3장 연구방법 26
제1절 연구설계 26
제2절 연구대상 26
제3절 연구도구 27
1.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27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27
3. 간호전문직관 28
4.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28
제4절 자료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30
제5절 자료 분석 방법 30
제4장 연구 결과 31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1
제2절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간호전문직관 및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정도 33
제3절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 35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35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의 차이 37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39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차이 41
제4절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간호전문직관 및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간의 상관관계 43
제5절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4
제5장 논의 46
제6장 결론 및 제언 54
제1절 연구의 결론 54
제2절 연구의 제언 56
참고문헌 57
부록 10
〈부록 1〉 설문지 66
〈부록 2〉 생명윤리위원회 심의통보서 74
〈부록 3〉 도구 개발자 도구 사용 승인 75
Abstract 7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중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3년 10월 4일부터 2023년 10월 18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최종 24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도구로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은 Schwartz 등(2003)이 개발하고 정현숙(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도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박계선(2000)이 개발하고 변은경 등(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점수는 4점 만점에 3.06점,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점수는 9점 만점에 7.23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86점,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3.43점이었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학년(F=3.02, p=.031), 임상실습 경험(t=3.13,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예측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r=.37,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r=.13, p=.037), 간호전문직관(r=.28, p<.001)과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β=.33, p<.001), 임상 실습 경험(유)(β=.16, p=.001), 간호전문직관(β=.15, p=002)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0.0%였고, 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0.63, p<.001).
종합해보면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임상 실습 경험, 간호전문직관이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를 위해서는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더불어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의 연명의료와 좋은죽음에 대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