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0

1. 연구 목적 10

2. 연구내용 및 방법 12

1) 연구내용 12

2) 연구방법 13

Ⅱ. 인상주의의 발생 배경과 계기 14

1.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상과 문예사조 14

2. 광학과학의 새로운 돌파구와 사진기의 출현 17

1) 광학기술의 새로운 돌파구가 인상주의에 미친 영향 17

2) 카메라의 등장이 인상주의에 미친 영향 18

3. 동양 예술의 계발 20

Ⅲ. 에두아르 마네의 회화 특징 23

1. 제재(題材) 선택 23

1) 허구의 소재를 버리고 진실한 소재를 제창하다(提倡) 23

2) 전통적인 소재를 버리고 현실적인 소재를 제창하다(提倡) 25

3) 실내 소재를 버리고 실외 그림을 제창하다(提倡) 29

2. 회화(繪畫) 방식 31

1) 평면적(平面性)인 회화 방식 31

2) 은유와 상징 회화 방식 35

3. 마네 구도의 기법 40

4. 필치(筆致)의 활용 46

5. 색채의 활용 53

1) 원색의 활용 53

2) 검정색(Black)의 활용 56

3) 오버레이 색채의 활용 57

Ⅳ. 마네 회화예술이 인상파에 미친 영향 61

1. 마네와 클로드 모네 61

2. 마네와 베르테 모리소 64

3. 마네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67

4. 마네와 에드가르 데가 69

Ⅴ. 결론 71

참고문헌 73

ABSTRACT 80

그림목차

〈그림 3-1〉 '단테의 배' 들라크루아 129X246cm 1822 15

〈그림 3-2〉 '가메토우메야'(龜戶梅屋)... 21

〈그림 3-3〉 '후다케 36경" 우키요에 판화 부분 22

〈그림 3-4〉 '전원 음악회' 조르조네(Pastoral Concert) 110X138cm 1508-1509 24

〈그림 3-5〉 '풀밭 위의 점심'(The Picnic) 에두아르 마네 208X264cm 1862-1863 24

〈그림 3-6〉 '자유가 인민을 인도한다'(La Liberte guidant le peuple) 외젠 들라크루아... 25

〈그림 3-7〉 '막시밀리안 황제의 처형'(The Execution of Emperor... 27

〈그림 3-8〉 '키르세호와 앨라배마호의 해상 대결'(The Battle of the Kearsarge and the Alabama) 에두아르 마네 134X127cm 1864[내용없음] 76

〈그림 3-9〉 '융샹 경주마'(Races at Longchamp) 에두아르마네 84X43cm 1866 28

〈그림 3-10〉 '철도'(The Railway) 에두아르 마네 93X111cm 1873 29

〈그림 3-11〉 '제국의 쇠약 속의 로마인'(The Romans in their Decadence) 토마 쿠튀르 472X772cm 1847 30

〈그림 3-12〉 '뒤를리 궁전의 정원음악회'(La Musique aux Tuileries) 에두아르 마네 118.1X76.2cm 1862 30

〈그림 3-13〉 '피리 부는 소년'(Le Joueur de fifre) 에두아르 마네 160X98cm 1866 32

〈그림 3-14〉 '우키요에 판화의 인물상'(浮世絵人物版畫) 32

〈그림 3-15〉 '발코니'(The Balcony) 에두아르 마네 170X124cm 1869 33

〈그림 3-16〉 '올랭피아'(Olympia) 에두아르 마네 191X130cm1863 34

〈그림 3-17〉 '누워있는 비너스'(Sleeping Venus) 티치아노 108.5X175cm 1508 34

〈그림 3-18〉 '올림피아' 국부 고양이 38

〈그림 3-19〉 '풀밭 위의 점심' 국부개구리 37

〈그림 3-20〉 '풀밭 위의 점심' 국부 작은 새 37

〈그림 3-21〉 '나나' 국부 선학 38

〈그림 3-22〉 '풀밭 위의 점심' 국부 39

〈그림 3-23〉 '풀밭 위의 점심' 국부 39

〈그림 3-24〉 '막시밀리안 황제의 처형'(The Execution of Emperor Maximilian) 에두아르 마네 252X305cm 1867-1869 41

〈그림 3-25〉 '오페라 극장의 가면 무도회' 에두아르 마네 59X72.5cm 1873 41

〈그림 3-26〉 '폴리 베르제르의 바'(Un bar aux Folies Bergère) 에두아르 마네 96X130cm 1882 41

〈그림 3-27〉 '스페인 가수'(TheSpanish Singer) 에두아르 마네 147.3X114.3cm 1860 42

〈그림 3-28〉 '천사와 함께 있는 죽은 그리스도'(The Dead Christ with Angels) 에두아르 마네 179.4X149.9cm 1864 42

〈그림 3-29〉 '풀밭 위의 점심'(The Picnic) 에두아르 마네 208X264cm 1862-1863 44

〈그림 3-30〉 '넝마주이'(The Ragpicker) 에두아르 마네 194.9X130.8cm 1865-1870 44

〈그림 3-31〉 '압생트를 마시는 자'(The Absinthe Drinker) 에두아르 마네 180X105.6cm 46

〈그림 3-32〉 '스페인 가수'(The Spanish Singer) 에두아르 마네 147.3X114.3cm 1860 46

〈그림 3-33〉 '풀밭 위의 점심' (The Picnic) 에두아르 마네 208X264cm 1862-1863 48

〈그림 3-34〉 '올랭피아'(Olympia) 에두아르 마네 191X130cm 1863 48

〈그림 3-35〉 '죽은 투우사'(The Dead Man) 에두아르 마네 75.9X153.3cm 1864 48

〈그림 3-36〉 '비극적 배우'(The Tragic Actor) 에두아르 마네 187.2cmX108.1cm 1866 50

〈그림 3-37〉 '투우사의 예'(A Matador) 에두아르 마네 171.1X113cm 1867 50

〈그림 3-38〉 '좋은 맥주 한잔'(A Good Glass of Beer) 에두아르 마네 94X73cm 1873 51

〈그림 3-39〉 '온실 안에서'(In the Conservatory) 에두아르 마네 115X150cm1879 51

〈그림 3-40〉 '교황 인노첸시오 10세'(Pope Innocent X) 디에고 벨라스케스 140X120cm 1650 54

〈그림 3-41〉 '베네치아 대운하'(Grand Canal) 에두아르 마네 58X71cm 1875 54

〈그림 3-42〉 '국기가 꽂힌 모리에의 거리'(La rue Mosnier aux drapeaux) 에두아르 마네 65.4X80cm 1878 55

〈그림 3-43〉 '1808년 5월 총살'(El 3 de mayo en Madrid o "Los fusilamientos) 프란시스코 호세 데 고야이 루시엔테스 268X347 1814 57

〈그림 3-44〉 '오페라 극장의 가면무도회' 에두아르 마네 59X72.5cm 1873 57

〈그림 3-45〉 '베르테모리소'(Berthe Morisot) 에두아르 마네 39X55cm 1872 57

〈그림 3-46〉 '뒤를리 궁전의 정원 음악회'(La Musique aux Tuileries) 에두아르 마네 118.1X76.2cm 1862 59

〈그림 3-47〉 '카페에서' 에두아르 마네 51.68X64.44cm 1879 59

〈그림 3-48〉 '그의 스튜디오에 있는 클로드 모네 그림'(Monet Painting on His Studio Boat) 에두아르 마네82X100cm 1874 59

〈그림 3-49〉 '일출 인상'(Impression, soleil levant) 클로드 모네 48X63cm 1872 61

〈그림 3-50〉 '건초더미" 부분(Les Meules) 클로드 모네 62

〈그림 3-51〉 에드워드 마네와 클로드 모네의 '풀밭 위의 점심' 비교 63

〈그림 3-52〉 '트로카에서 바라본 파리'(View of Paris from the heights of the Trocadero. Painting by Berthe Morisot) 베르테 모리소 46.1X81.5cm 1872 65

〈그림 3-53〉 '파리 세계 박람회 풍경'(Fra Verdensutstillingen i Paris i 1867) 에드워드 마네 108X196cm 1867 65

〈그림 3-54〉 '창가의 두 여인'(The Mother and Sister of the Artist) 베르테 모리소 101X81cm 1869 66

〈그림 3-55〉 '요람'(Le berceau) 베르테 모리소 56X46cm 1872 66

〈그림 3-56〉 '룸'(The Theater Box)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80X63.5cm 1874 68

〈그림 3-57〉 '물랑 루즈 가의 무도회'(Le Bal au Moulin de la Galette)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131X175cm 1876 68

〈그림 3-58〉 '마네 부부'(Manet et sa femme) 에드가르데가 73X92cm 1868-1869 70

〈그림 3-59〉 '압생트를 마시는 자'(The Absinthe Drinker) 에드가르데가 92X68cm 1873 70

초록보기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는 회화사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으며 혁신이 그의 예술 창작 일생에 함께했다. 인상주의 화파(畫派)의 선구자 그는 19세기 서양미술 발전사에서 신예술 유파(流派)의 전환점이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화풍은 참신하다. 그는 회화적 소재를 신화 이야기에서 일상적인 풍경과 사건, 일반인물에 대한 표현으로 확장했다. 그는 캔버스에 빛의 집합적 분산을 과감히 시도하여 현실의 빛 색채를 회화적 장면에 도입하였고, 이를 통해 그림이 강렬한 색채 민감성과 패러다임(paradigms)을 갖게 하였다. 본 논문은 19세기 예술가 에두아르 마네 작품의 혁신성을 정리 분석하고, 그의 회화 개념과 회화 특성의 구체적인 내용이 인상주의 화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에두아르 마네는 예술의 계승자이면서 예술의 반역자였고, 그의 예술 양식은 혁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19세기에는 프랑스 사회의 몇 차례의 중대한 혁명에 따라 정치가 서서히 민주화를 향해 나아갔고, 게다가 산업혁명의 발전으로 증기기관이 등장하여 공장의 제도를 바꾸어, 대부분의 수공업 기술을 기초로 하는 공업 모식이 기계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런 변혁은 사회 경제의 발전을 이끌었는데, 기계가 수작업을 대신하여 사람들에게 더 많은 여가 시간을 가지게 했다. 또한 기차의 출현은, 사람들이 기차 안에서 경물의 순간적인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하고, 시간과 경치의 연계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인간적인 각성을 촉진시킨다. 사람들은 그 시대에 '행복'의 존재를 느낄 수 있었고, '행복'을 심는 것을 당시의 일부 화가들에 의해 포착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인상주의 화가이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자유, 개성, 행복을 추구하며 아카데미파(Academic Art)의 전통적인 규범과 권위에 반대하고 자연과 사회를 자신의 눈과 마음으로 관찰하고 표현할 것을 주장하며 보통 사람들의 일상에 관심을 둔다. 인상주의 회화는 가장 역사적인 의의를 지닌 회화이다. 그것은 당시 사회의 사회상을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가들의 자기 혁신도 반영할 수 있다. 이 특별한 혁명 속에서 인상주의 화가들은 자신의 붓으로 자신의 사상과 동경을 해석하였는데, 그들의 혁신 정신은 우리가 알아보고 배울 가치가 있다.

혁신은 시대의 진보와 사회 발전의 영원한 화두이다. 예술은 생활에서 비롯되고 생활보다 높다. 예술의 혁신은 전승과 혁신 속에서 얽히고 겨루고 타협한다. 예술 분야의 모든 혁신은 화가들의 자기돌파를 의미한다. 에두아르 마네는 이러한 예술적 혁신에서 자기 돌파의 대표적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아카데미아에 의해 교육받고 영향을 받은 반면, 아카데미아에 의해 전해지는 천편일률적인 회화 기법을 무시하고, 그의 그림은 고전적 기질과 화려하고 명쾌한 인상파 색채 속에서 끊임없이 융합되고 혁신되었다.

당시 전통 화가들은 에두아르 마네가 그림의 전통을 훼손하고 전통 그림의 규범을 위반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는 대부분의 화가들이 그의 그림 사상과 혁신 정신에 찬탄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림의 형식이 더욱 다원화되는 것은 에두아르 마네처럼 그림에 집착하고 창의적인 정신을 가진 수많은 화가들이 함께 노력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우리는 에두아르 마네의 그림과 그의 그림 정신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인상주의의 리더 중 한 명인 에두아르 마네의 회화 발전에 대한 의의와 긍정적인 영향을 종합적으로 서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