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 개요
목차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5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20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22
제1절 연구의 토대이론 22
1. 자기결정이론 22
2. 연구의 이론적 틀과 개념적 틀 34
제2절 주요 연구변수의 개념 고찰 40
1. 부모의 자율성 지지 40
2. 부모의 구조 제공 42
3. 부모의 따스함 45
4. 그릿 46
5. 주관적 복리 48
제3절 선행연구 고찰 55
1.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자녀의 삶의 만족도, 그릿,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55
2. 부모의 구조 제공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 그릿,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58
3. 부모의 따스함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 그릿,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64
4. 청소년의 그릿이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71
5.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 77
6. 주요 연구변수 간의 순차적 관계 80
7. 개인특성 변수가 연구변수에 미치는 영향 85
제3장 연구방법 88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88
1. 연구모형 88
2. 연구가설 89
제2절 조사대상자 및 분석 자료 92
1. 조사대상자 92
2. 분석 자료 92
제3절 측정도구 93
1. 부모의 자율성 지지, 부모의 구조 제공 및 부모의 따스함 93
2. 그릿 94
3. 삶의 만족도 95
4. 행복감 96
5. 통제변수 97
제4절 자료의 점검 및 분석 98
1. 자료 점검과 분석의 내용 및 절차 98
2. 변수의 타당도 점검 결과 100
3. 변수의 신뢰도 점검 결과 102
4. 자료분포의 정규성 점검 결과 103
5. 최종 연구모형의 확정 105
제4장 분석 결과 108
제1절 조사대상자의 개인 특성 108
제2절 잠재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109
제3절 집단 간 차이분석 110
1. 부모의 자율성 지지 111
2. 부모의 구조 제공 112
3. 부모의 따스함 114
4. 그릿 115
5. 삶의 만족도 116
6. 행복감 118
제4절 상관관계분석 결과 120
제5절 연구모형의 검증 122
1. 측정모형의 검증 122
2. 구조회귀모형의 검증 131
제5장 논의 및 결론 141
제1절 가설검증 결과에 대한 논의 141
1. 직접효과 연구가설 141
2. 매개효과 연구가설 150
제2절 연구의 함의 157
1. 이론적 함의 157
2. 실천적 시사점 161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제언 165
참고문헌 167
ABSTRACT 194
[그림 2-1] 연구의 이론적 틀 34
[그림 2-2] 연구의 개념적 틀 39
[그림 3-1] 연구모형 89
[그림 3-2] 최종 연구모형 107
[그림 4-1] 검증 대상 측정모형 123
[그림 4-2] 구조회귀모형의 검증 결과 135
[그림 4-3] 팬텀변수를 설정한 매개효과 검증 모형 137
[그림 4-4] 유의한 매개효과 경로 140
국민의 일원으로서의 청소년은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갖고 있으나, '과연 우리나라 청소년이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문제는 다수의 국내외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감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점차 하락 추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의 관점에서 전국의 고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 따스함이 그릿과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검증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행복감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등 주관적 복리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 결과에 근거하여 12개의 직접효과 연구가설과 9개의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검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국의 고등학생 집단이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의 중1패널 제4차 연도 자료이다. 원래의 표본 크기는 2,590명이었으나 연구변수(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만족도, 삶의 만족도)와 통제변수(성별, 건강상태)의 결측치를 처리한 결과, 최종 표본 크기는 2,238명으로 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2.0과 AMOS 22.0이다. 자료의 점검 단계에서는 자료 생성, 결측치 처리, 문항의 역코딩, 타당도와 신뢰도 점검, 변수의 정규성 검증, 기술통계, 잠재변수의 평균 계산 등을 차례로 실행하였다. 또한 자료의 분석 단계에서는 변수의 집단 간 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측정모형의 검증, 연구모형의 검증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였다.
측정모형의 검증 결과, 측정모형을 통해 재생된 자료와 실제 모집단 자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이 기각되었으나(χ²=1,085.329, p<0.001), 다른 적합도 지수들이 모두 통계학적 기준을 충족하였으므로(RMR=0.015, GFI=0.959, TLI=0.957, CFI=0.963, RMSEA=0.040) 측정모형이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판정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모형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변수의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잠재변수의 집중타당도와 잠재변수 간의 판별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연구모형(구조회귀모형)의 검증 결과, 본 연구모형을 통해 재생된 자료와 실제 모집단 자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이 기각되었으나(χ²=1,195.754, p<0.001), 다른 적합도 지수들이 모두 통계학적 기준을 충족하였다(RMR=0.014, GFI=0.958, TLI=0.953, CFI=0.961, RMSEA=0.039). 따라서 연구모형이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결론지었다.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를 근거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12개의 직접효과 연구가설 중 7개는 채택되고 5개는 기각되었다. 또한 9개의 매개효과 연구가설 중 3개는 채택되고 6개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직접효과 검증 결과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채택된 7개의 연구가설은 자기결정이론이 자율성 지지, 구조 제공, 따스함, 그릿, 삶의 만족도, 행복감 가운데 특정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적절한 이론적 렌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즉,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자기결정이론의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을 재확인한 것으로써, 자기결정이론의 설명력 강화에 이바지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기각된 6개의 직접효과 가설검증 결과를 보면, 자기결정이론의 틀로서 해당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 또한 이론적 기여이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와 관련하여, 자기결정이론의 적용 범위를 첫째, 자율성 지지, 삶의 만족도, 행복감 간의 순차적 관계, 둘째, 부모의 구조 제공, 자녀의 삶의 만족도, 행복감 간의 순차적 관계, 셋째, 부모의 따스함, 자녀의 그릿, 삶의 만족도, 행복감 간의 순차적 관계로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자기결정이론의 적용 범위 확대에 이바지하였다.
본 연구의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 부모의 구조제공, 부모의 따스함은 본 연구가 검증한 연구모형의 출발선에 위치하는 중요한 변수이며, 그릿과 삶의 만족도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적극적 개입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부처와 정부 기관별로 다양한 교육대상자와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으로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그릿을 향상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교육 당국에서는 교육대상자의 발달 단계와 욕구를 고려한 그릿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유의성을 확인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체적인 삶의 만족도 증진 프로그램이 설계되고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행복감의 영향 요인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