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2
국문초록 5
목차 8
Ⅰ. 서론 10
1. 연구 목적 10
2. 연구의 절차 11
Ⅱ. 트라우마의 개념 예술표현 13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13
2. 트라우마(Trauma)와 불안 15
3. 트라우마(Trauma)의 예술적 표현 18
Ⅲ. 현대미술에서 트라우마(Trauma)의 표현 21
1. 표현주의의 트라우마 표현 21
가.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 22
나. 에곤 쉴레(Egon Schiele) 24
3. 초현실주의의 트라우마 표현 28
가.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30
나.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 34
Ⅳ. 팝아트에서의 트라우마 표현 37
1. 팝아트의 개념 37
2.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의 작품에 있어 트라우마 표현 41
3. 키스 해링(Keith Haring)의 작품에 있어 트라우마 표현 44
4. 장 미쉘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의 작품에 있어 트라우마 표현 49
Ⅴ. 연구자 작품의 트라우마 표현 55
1. 트라우마 표현의 접근 55
2. 작품의 특성과 기법 56
가. 소녀 캐릭터 등장 56
나. 형광 색채와 그라데이션 표현 기법 59
다. 만화적 기법의 차용 60
3. 주요 작품 분석 64
가. 작품 1 64
나. 작품 2 70
다. 작품 3 75
라. 작품 4 80
마. 작품 5 84
바. 작품 6 89
사. 작품 7 94
아. 작품 8 98
Ⅵ. 결론 102
참고문헌 105
ABSTRACT 110
인간이 탄생하며 먼저 맺게 되는 사회적 관계는 '가족' 이다. 성장하며 관계의 영역은 점차 넓혀지며 죽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계와 집단을 마주한다. 많은 경험을 통해 내면적 성장과 함께 아픔도 느끼지만 이 과정에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정신적 외상을 겪게 되었을 때 이는 트라우마로 발현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된다. 즉, 정신분석학에서 의미하는 트라우마는 '정신적 외상' , '충격적인 경험' 을 의미하며 이 같은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행동을 취하게 된다. 내면적 상처를 치유하지 않으면 이는 트라우마로 전이되어 인간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자는 트라우마를 낙인(烙印)에 비유하였고, 이를 내면에 정착한 족쇄로 표현하였다. 트라우마로 인한 심리적 불안은 일상 속에 부정적인 경험을 쌓으며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킨다. 이처럼 심리적 외상의 경험은 내면적 상처가 깊게 곯으면서 트라우마로 발현되어 인간에게 고통을 겪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연구자는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이론을 기반으로 내면적 불안과 트라우마의 연관성 그리고 무의식이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팝아트 작가들의 다양한 사례 작품을 통해 트라우마적 표현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한 예술가들의 예술적 승화 시도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프로이트의 무의식 발견은 당시 예술가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제시하였는데, 연구자는 선행 작가 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예술 표현을 통한 트라우마 승화를 시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유년기 시절 경험에 의한 심리적 불안과 공포감 및 좌절감을 살펴보았고 예술 표현을 통해 트라우마를 승화시키려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작품 분석을 통해 유년기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를 설명하고 이를 시각화하며 내면적 치유를 위한 예술적 승화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트라우마에 대한 팝아트 표현을 연구하며 애정적 욕구의 거세와 억압 및 트라우마를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이는 연구자의 주요 작품 〈백귀야행(百鬼夜行)〉, 〈안아줄게〉, 〈와글와글!〉, 〈행복한 하루(HAPPY DAY)1〉, 〈행복한 하루(HAPPY DAY)2〉, 〈행복한 하루(HAPPY DAY)3〉, 〈고백(告白)〉, 〈행복한 하루(HAPPY DAY)4〉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녀'에 투영하여 성장 과정에서 겪었던 심리적 좌절과 애정적 욕구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만화적 기법을 차용하였다. 특히 일본 망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왜곡적 표현을 활용하였으며 채도가 높은 형광 색채를 통해 정신적 외상에 대한 감정을 강렬하게 표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가 추구하는 팝아트 표현에 대하여 강조하고자 하였으며 작품의 산만함을 방지하고자 그라데이션 기법을 통해 중화하며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미술은 사람의 아픔을 치유해주는 역할을 하며 카타르시스를 경험해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트라우마가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에 접근하며 심리적 위안을 받고자 하였으며 이는 자신에게 주는 내면적 구원을 의미한다. 억압된 욕구를 단계적으로 표출하는 과정을 통해 '창작'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무의식의 영향 아래에서 불안과 트라우마는 필연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예술적 표현과 내면적 불안, 트라우마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고, 이를 무의식적 승화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를 기반으로 트라우마적 표현에 대한 작품을 통해 내면적 세계를 확장하며 이를 독창적으로 표출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발전하는 방향성을 찾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