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국문초록 5

목차 8

Ⅰ. 서론 13

1. 연구 배경과 목적 13

2. 연구 절차 15

3. 선행 연구 18

Ⅱ. 송대(宋代) 화조화의 형성과 발전 21

1. 기원 21

2. 배경 23

3. 형성 30

가. 궁중 화원(画院)의 형성 30

나. 왕실 화가들의 적극적 추진 31

다. 경제의 영향 35

4. 발전 37

가. 궁궐·사원·도관의 건축과 회화 장식 37

나. 수집과 수장품 39

다. 화가의 지위 향상 40

Ⅲ. 송대(宋代) 화조화(花鳥畵)의 전개 43

1. 북송(北宋) 화조화의 전개 43

가. 전기 43

나. 중기 50

다. 후기 55

2. 남송(南宋) 화조화의 전개 66

가. 화원의 재건 66

나. 문인 화조화의 발흥 70

다. 남송 화조화의 양식 변화 77

라. 소폭(小幅) 화조화 80

Ⅳ. 송대(宋代) 화조화의 주요 화가와 작품 85

1. 북송(北宋)의 주요 화가와 작품 85

가. 최백(崔白) - 〈쌍희도(双喜图)〉[내용없음] 9

나. 송(宋)(徽宗) - 〈부용금계도(芙蓉锦鸡图)〉 88

다. 황거채(黃居寀) - 〈산자고극작도(山鹧棘雀图)〉 91

라. 조창(赵昌) - 〈생생자비도(写生蛱蝶图)〉 99

마. 문동(文同) - 〈묵죽도(墨竹图)〉 106

2. 남송(南宋)의 주요 화가와 작품 113

가. 이적(李迪) - 〈추계도(雏鸡图)〉 113

나. 이안충(李安忠) - 〈죽구도(竹鸠图)〉 121

다. 오병(吳炳) - 〈출수부용도(出水芙蓉图)〉 126

라. 임춘(林椿) - 〈과숙래금도(果熟来禽图)〉 131

Ⅴ. 송대(宋代) 화조화가 후대(後代) 화조화에 미친 영향 138

1. 원대(元대) 138

2. 명대(明대) 141

3. 청대(淸대) 144

4. 당대(当代) 148

Ⅵ. 송대(宋代) 화조화 특성과 영향 153

1. 당대(当代) 화조화에 미치는 영향 153

가. 주제 153

나. 기법, 기술 156

다. 색채 159

라. 화면 구성 162

마. 사실적 표현 165

바. 정서적 풍경 167

2. 화조화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169

가. 주제의 확장 169

나. 당대적 구성의 표현 172

다. 회화 기법, 기술의 확장 175

라. 색채의 다양성 178

마. 새로운 재료의 사용 181

바. 조형의 다양화 183

Ⅶ. 송대(宋代) 화조화에 대한 당대(当代)의 평가 186

1. 송대(宋代) 화조화의 평가 186

2. 당대(当代)의 송대 화조화 평가 188

Ⅷ. 결론 193

참고문헌 197

ABSTRACT 201

그림목차 11

[그림 1] 顾恺之, 낙신부도권(洛神赋图卷), 魏晋南北朝,... 22

[그림 2] 顾恺之,여사잠도(女史箴图), 魏晋南北朝, 견본 설색 24.8cm×348.2cm 26

[그림 3] 张择端, 청명상하도(淸明上河图), 宋, 견본수목, 25.5 cm ×525 cm 35

[그림 4] 黄荃, 사생진금도(写生珍禽图), 宋, 지본수목, 26.5cm × 50.5cm 45

[그림 5] 徐熙,설죽도(雪竹圖), 宋, 견본 설색,151.1cm×99.2cm 47

[그림 6] 徐熙, 콩꽃 잠자리도(豆花蜻蜓圖), 宋,... 50

[그림 7] 易元吉, 후묘도(猴描图), 宋, 견본 설색, 31.9cm×57.2cm 52

[그림 8] 崔白, 한작도(寒雀图), 宋, 지본수목, 103cm×35cm 55

[그림 9] 赵佶, 부영금계도(芙蓉錦鷄圖), 北宋,... 61

[그림 10] 苏轼, 고목괴석도(枯木怪石圖), 北宋, 견본 설색, 26.5cm×50.5cm 74

[그림 11] 马麟, 층첩빙소도(层叠冰绡图), 宋,... 78

[그림 12] 林椿, 과소래금도(果蔬来禽图), 宋,견본 설색, :98.3cm×51cm 84

[그림 13] (宋)崔白, 쌍희도(双喜图), 193.7cm, 103.4cm[내용없음] 11

[그림 14] (宋)崔白, 한작도(寒雀图), 25.5cm×101.4cm[내용없음] 11

[그림 15] 赵佶, 납매산금도(腊梅山禽图), ... 89

[그림 16] 黃居寀, 산자극작도(山鷓棘雀圖), 宋,... 94

[그림 17] 黃居寀, 두작도(斗雀图), 宋, 견본 설색, 24.2cm×25.2cm 98

[그림 18] 赵昌, 사생협접도(写生蛱蝶图), 宋,견본 설색, 27.7cm×91cm 101

[그림 19] 赵昌,세조도(岁朝图), 宋, 견본 설색, 104.5cm×46.3cm 106

[그림 20] 文同, 묵죽도(墨竹图), 宋,... 108

[그림 21] 李迪, 계추대사도(鸡雏待饲图), 宋,... 112

[그림 22] 李迪, 풍응치계도(枫鹰雉鸡图), 宋, 견본 설색, 189cm×209..5cm 114

[그림 23] 文同,부용도(芙蓉图), 宋,견본 설색, 38cm×38cm 117

[그림 24] 李忠安, 설안한아도(雪岸寒鸦图), 宋,견본 설색, 195cm×118cm 121

[그림 25] 李忠安,청춘접희도(晴春蝶戏图), 宋, 견본 설색, 23.7cm×25.3cm 125

[그림 26] 吴炳, 출수부용도(出水芙蓉圖), 宋, 견본 설색, 23.8cm×25cm 127

[그림 27] 吴炳, 죽작도(竹雀图), 宋, 견본 설색, 25cm×25cm 128

[그림 28] 林椿, 과숙래금도(果熟來禽圖), 宋, 견본 설색, 26.9cm×27.2cm 132

[그림 29] [내용없음] 12

[그림 30] 王渊, 화죽금계도(花竹锦鸡图),宋, 견본 설색, 33.5cm×53.36cm 140

[그림 31] 陈淳, 사의화조화(写意花鸟画), 明, 견본 설색, 36cm×56cm 142

[그림 32] 边景昭, 죽학도(竹鹤图),明, 견본 설색, 180cm×118cm 143

[그림 33] 恽南田, 화훼도책지십일(花卉图册之十ー), 清, 견본 설색, 58cm×78cm 146

[그림 34] 陈之佛, 송영학수(松龄鹤寿), 现代, 견본 설색, 120cm×60cm 149

[그림 35] 高剑父, 대표작 (代表作) 近代, 지본 설색, 60cm×60cm 151

[그림 36] 于非闇, 연(荷), 近代, 견본 설색, 83cm×46cm 154

[그림 37] 宋徽宗,서학도(瑞鹤图),宋代, 견본 설색, 51cm×183.2cm 157

[그림 38] 蒋釆萍,사월(筛月),当代, 견본 설색, 121.5cm×121.5cm 158

[그림 39] 蒋釆萍,억반나(忆版纳),当代, 견본 설색, 51cm×63.2cm 159

[그림 40] 林椿,비파산조도(枇杷山鸟图),当代, 견본 설색, 26.9cm×27.2cm 163

[그림 41] 吴泉棠,군작희춘(群雀嘻春),当代, 지본 설색, 129cm×67.2cm 164

[그림 42] 陈之佛,방송소작(仿宋小雀),当代, 지본 설색, 66cm×66cm 167

[그림 43] 赵少昂, 화조화 작품,当代, 지본 설색, 60cm×60cm 168

[그림 43] 雷甲寿,화조화 작품,当代, 지본 설색, 68cm×36cm 170

[그림 44] 苏百钧,원적(圆寂),当代, 지본 설색,78cm×68cm 173

[그림 45] 苏百钧,우제(雨霁),当代, 지본 설색,68cm×68cm 175

[그림 46] 耿起峰,사의화조화(写意花画), 当代, 지본 설색,60cm×60cm 177

[그림 47] 李长白,풍죽금계도(风竹图), 当代, 지본 설색,78cm×36cm 179

[그림 48] 풍림장(冯霖章), 대표작, 当代, 지본 설색,78cm×36cm 184

초록보기

 화조화는 전통적인 회화의 표현 가운데 하나로, 동물과 식물을 소재로 한다. 그리고 선을 주된 조형 수단으로 삼고, 색채와 독특한 회화 기법을 더하여 '사실성'을 목표로 하여 작가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다. 화조화는 중국화 중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났으나, 초기에는 독립적이지 않고 다른 화종의 배경으로 나타났다.

화조화의 기원을 보면 처음에는 원 시사회에서는 채도에 화조의 문양이 나타났다. 그 후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화조화가 점차 생겨나면서 당대(唐代)에는 화조화가 독립적인 그림으로 발전했으며, 송대(宋代) 시기에는 정점에 이르렀고, 계속 변화해 왔다.

최초의 송대 화조화는 금(金), 목(⽊), 수(⽔), 화(⽕), 토(⼟) 다섯 가지 원소의 색상에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발전 과정에서 그 색채와 선이 점차 풍부해졌다. 송대 이전에는 민간이나 황실 귀족 사회 모두 화조화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못했고, 작품도 적었다. 그러나 송대에 이르러 사회 경제, 문화 등이 번성함에 따라 화조화 작품은 시대의 정신과 내포를 통하여 새로운 생명력을 갖게 되었으며, 회화 창작을 위한 좋은 미술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그리고 많은 유명한 화가들이 등장했고, 우수한 작품도 늘어나 화조화 작품의 발전 과정을 가속화했다.

송대 화가들은 자연 속의 경치를 작품에 적용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도 관람객에게 전달하고, 여백을 남기는 등의 수법을 사용하여 관람자가 작품을 보고 나서 풍부한 상상의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게 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여 송대 화조화 발전의 좋은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그 독특한 양식으로 인해 황실 귀족들에게 사랑 받고 권세 있는 지지를 얻어 한층 더 발전하였다.

송대 화조화는 양식이 다양하고 심미적으로 독특하며 발전성과가 높았다. 이후 원(元), 명(明), 청(淸)나라 각 시기에도 그 영향은 다양하게 전해졌다. 당대(当代)에 이르러 변혁과 발전의 시기에 처해 있는 화조화는 그 표현 양식과 심미적 특성에서도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어 나타내고 있다. 당대(当代) 화가들은 송대 화조화를 계승하여 화조화의 요점을 이어받았으며, 송대 화조화의 우수한 심미적 특성을 당대의 새로운 기법, 소재, 주제와 결합하여 창작에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혁신하며 당대(当代)화조화의 탐색과 연구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는데 송대 화조화는 당대(当代)에 있어서도 기법, 기술뿐만 아니라 예술 정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당대 화가들이 회화 기법과 표현 양식에서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화조 작품을 창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송대 화조화의 형성과 특성 그리고 평가를 논하며 작가와 작품에 대해 알아보고 체계화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당대(当代) 화조화의 표현에서도 송대 화조화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절차는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크게 보면 제2장에서는 송대 화조화를 출발점으로 삼아, 송대 화조화의 역사적 흐름과 형성 그리고 발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송대 화조화의 전개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제 4장에서는 북송과 남송 시기 주요 화가들과 그들의 작품에 대해 논하였다. 제 5장에서는 송대 화조화가 후대 화조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리고 제 6장에서는 송대 화조화 특성의 영향에 대해 논하였고, 제7장에서는 송대 화조화에 대한 당대의 평가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논한 결과 송대 화조화는 북송과 남송이라는 두 개의 다른 시기로부터 각기 다른 심미성과 예술적 전개를 볼 수 있는데 배경의 차이로 인해 북송은 주로 화원과 화학의 제도, 선화체의 형성과 화법의 표현, 그리고 북송의 회화 문학화 등 여러 면을 볼 수 있다. 남송에서는 주로 화원의 재건, 문인화 이론의 발전이 당시 회화의 형성과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송대 화조화 연구'를 체계 있게 논하여 송대 화조화의 역사적 흐름과 전개 그리고 특성과 중요 작가와 작가들에 대해 논하고 그 위상과 평가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