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국문초록 5

목차 7

Ⅰ.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2. 연구 방법 15

가. 대순사상의 윤리관에 대한 선행 연구 16

나. 대순사상의 덕윤리 연구 방법 20

Ⅱ. 덕윤리의 이론적 배경 24

1. 전통적 덕 개념 24

가. 동양의 덕 개념 25

나. 서양의 덕 개념 34

2. 덕윤리의 등장배경과 특징 48

가. 덕윤리의 등장배경 48

나. 덕윤리의 특징 52

다. 덕윤리에 대한 비판 55

3. 덕윤리의 종류 57

가.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 덕윤리 58

나. 행위자 기반(agent-based) 덕윤리 60

다. 대상 중심(target-centered) 덕윤리 64

라. 유교 덕윤리 65

4. 덕윤리의 구성요소 79

가. 덕윤리에서 본 덕의 정의 79

나. 덕이 지향하는 좋은 삶 85

다. 덕에 의한 옳은 행위 93

라. 덕의 합리성 108

Ⅲ. 대순사상의 덕윤리 128

1. 대순사상의 덕 개념 130

가. 상제의 덕화(德化) 131

나. 천지(天地)의 덕 135

다. 자기수행적 덕과 관계적 덕 138

라. 가치중립적 덕 141

2. 해원상생(解寃相生) 실현을 위해 갖추어야 할 덕 145

가. 대순사상의 덕윤리로 본 덕의 정의 145

나. 좋은 삶으로서의 해원상생 147

다. 해원상생 실현을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들 154

3. 옳은 행위의 세 가지 기준 169

가. 유덕(有德)한 행위자가 하는 행위 171

나. 남을 잘 되게 하는 마음에서 하는 행위 174

다. 해원상생에 적중한 덕으로서의 행위 178

4. 해원상생을 위한 덕의 합리성 181

가. 신도(神道)에 의한 자연주의적 합리성 181

나. 덕의 자기 합리성과 호혜적 합리성 186

다. 실천적 지혜로서의 합리성 193

Ⅳ. 대순사상 덕윤리의 특징 197

1. 신앙에 기반한 목적론적 특징 197

가. 인간완성으로써 보은하는 인간 197

나. 신인조화(神人調化)에 따른 인간의 도덕적 완성 200

다. 성경신(誠敬信)의 수도를 통한 지상천국 건설에 참여 203

2. 마음에 의한 덕의 관계성 206

가. 이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의 조화(調和) 207

나. 무자기(無自欺)에 의한 행위 동기 211

다. 해원상생을 위한 덕의 관계적 특징 212

3. 통합적 특징 215

가. 전통과 현대의 통합적 관점 215

나. 행위 지침의 통합성 221

다. 덕과 규범의 상호보완 225

4. 인존(人尊)사상에 따른 생태주의적 특징 229

가. 인간의 성품에 기반한 생태주의 덕윤리 230

나. 도덕공동체로서의 천지인(天地人)과 인존(人尊) 232

다. 호생(好生)의 덕과 대인대의(大仁大義)의 덕 237

Ⅴ. 결론 241

참고문헌 249

Abstract 258

〈표 1〉 세 가지 덕윤리의 옳은 행위 기준 107

〈표 2〉 대순사상의 마음 수행에서 나오는 덕 140

〈표 3〉 덕윤리의 유형별 특징 비교 223

〈표 4〉 옳은 행위의 통합적 지침 224

[그림 1]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과 덕 36

초록보기

 본 논문은 대순사상의 윤리관을 덕윤리로 설명하여 대순사상에 의한 성품 중심의 행위 규범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양의 덕윤리는 의무론과 공리주의와 함께 현대의 3대 규범윤리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이론에 기초하여 발전하였다. 덕윤리는 도덕적으로 탁월한 성품을 그 행위 지침과 행위 평가의 기준으로 삼으며 행위 중심의 의무론과 공리주의 윤리관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연구되어왔다. 한국의 신종교 사상인 대순사상은 도덕적 인격 완성을 위한 덕 수행이 중심이 되므로 덕윤리로 바라볼 수 있는 근거가 있다.

대순사상을 덕윤리로 설명하기 위해 서양 덕윤리 가운데 세 가지 전형적인 유형인 로잘린 허스트하우스의 에우다이모니아 덕윤리, 마이클 슬로트의 행위자 기반 덕윤리, 크리스틴 스완튼의 대상 중심 덕윤리를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이들 덕윤리의 공통적 구성 요소로서 1. 덕윤리에서 본 덕의 정의, 2. 덕이 지향하는 좋은 삶, 3. 덕에 의한 옳은 행위, 4. 덕의 합리성을 알아보았다. 이외에 유교 덕윤리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동양 사상에 덕윤리를 적용한 논의를 부수적으로 소개하였다.

덕윤리의 위 네 가지 요소를 대순사상에 적용하여 대순사상의 덕윤리에서 덕의 정의는 '해원상생(解冤相生)을 실현하기 위해 남을 잘 되게 하는 성품'이라고 보았다. 덕이 지향하는 좋은 삶으로서의 해원상생은 개인적 선과 공동체적 선이 조화되는 이상적 삶을 가리킨다. 덕에 의한 옳은 행위 기준은 '해원상생 실현을 위해 남을 잘 되게 하는 성품에서 하는 행위'인데 그에 따른 행위 지침은 앞의 세 가지 덕윤리에서 제시하는 행위 기준을 적용하여 보다 통합적이고 유연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덕을 왜 갖추어야 하는가의 정당성과 실천에 대한 합리성을 다루는 덕의 합리성은 허스트하우스가 언급한 도덕적 자연주의, 슬로트와 스완튼의 자기이해, 그리고 덕윤리가 공통적으로 다루는 실천적 지혜와 관련한 합리성과 비교하여 신도(神道)에 의한 자연주의적 합리성, 무자기에 의한 자기이해 및 남을 잘 되게 하라에 의한 호혜적 합리성, 그리고 지(智)와 관련한 실천적 지혜의 합리성으로 설명하였다.

대순사상의 덕윤리의 특징은 네 가지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신앙에 기반한 목적성, 마음에 의한 덕의 관계성, 윤리적 관점과 행위지침에 대한 통합적 특징, 그리고 인존(人尊) 사상에 의한 생태주의적 특징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최근 덕윤리가 유교와 같은 동양사상과 접목하여 확장하는 경향에서 대순사상이 해원상생의 이념에 따라 현대의 다양한 가치를 논의하여 덕윤리를 확장 발전할 수 있는 전망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