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국문요지 5

목차 8

Ⅰ.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4

2. 선행 연구 18

3. 연구 방법과 범위 40

Ⅱ.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개념과 시기별 특징 분석 43

1.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개념 정리 43

2.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시기별 특징 57

가. '여성 주인공 드라마' 영화의 기원(2000년 이전) 57

나.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발전(2000년~2017년) 65

다.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현재(2017년~현재) 72

Ⅲ.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인기 원인 분석 86

1. 여성주의 운동의 영향 86

2. 여성 소비주의의 영향 91

3. 여성 영화인의 영향 93

4. 웹 소설 IP의 영향 95

Ⅳ.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서사 특징 97

1. 서사 시점 97

가. 관찰자 시점 98

나. 3인칭 시각 106

2. 서사 구조 113

가. 단일 선형 서사 구조 115

나. 다중 선형 서사 구조 120

3. 여성 캐릭터의 내-외재적 특징 125

가. 여성 캐릭터의 외재적 특징 126

나. 여성 캐릭터의 내재적 특징 134

4. 내러티브 설정 146

Ⅴ.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2012)〉분석 160

1. 창작 배경 162

2. 줄거리 163

3. 인물 173

가. 여성 캐릭터의 특징 173

나. 남성 캐릭터의 특징 180

4. 음향 186

5. 미술 188

가. 색채 188

나. 구도 194

다. 의상 196

Ⅵ. 결론 202

1. 연구 결과 및 가치 202

2. 시사점 203

3.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 212

참고문헌 228

ABSTRACT 232

〈표 1〉 선행 연구 39

〈표 2〉 2021년 Neflix 플랫폼 드라마/영화 재생량 상위 10편 74

〈표 3〉 2022 Neflix 플랫폼 한국 드라마 상위 10위 76

〈표 4〉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의 사운드트랙 187

[그림 1] 〈붉은 수수밭(紅高粱)〉 구아(九兒)와 유잠오(餘占鼇) 데이트 101

[그림 2] 〈붉은 수수밭(紅高粱)〉 숙현(淑賢)과 하인의 결혼 장면 101

[그림 3] 〈붉은 수수밭(紅高粱)〉 구아(九兒)와 숙현(淑賢) 102

[그림 4] 〈붉은 수수밭(紅高粱)〉 구아(九兒)의 자기희생 장면 103

[그림 5]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저항 104

[그림 6] 윤진아와 전 남자친구의 이별 장면 104

[그림 7]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윤진아의 이사 장면 105

[그림 8] 〈밀회〉 여주인공과 배달원 연하남의 불륜 장면 105

[그림 9] 〈낭도(娘道)〉 드라마 이미지 108

[그림 10] 〈겨우, 서른(三十而己)〉에서 '어머니'모습 109

[그림 11] 〈도정호 : 가족의 재발견(都珽好)〉의 여주인공의 모습 110

[그림 12] 〈미스티〉 여주인공 이미지 112

[그림 13] 〈퀸스 갬빗(The Queen's Gambit)〉의 여주인공 이미지 112

[그림 14] 〈세상을 가진 여인 미월전(羋月傳)〉여주인공의 어린시절 116

[그림 15] 〈세상을 가진 여인 미월전(羋月傳)〉여주인공의 소녀시절 116

[그림 16] 〈세상을 가진 여인 미월전(羋月傳)〉 장면 117

[그림 17] 〈세상을 가진 여인 미월전(羋月傳)〉 장면 117

[그림 18] 〈세상을 가진 여인 미월전(羋月傳)〉 장면 118

[그림 19] 〈세상을 가진 여인 미월전(羋月傳)〉 장면 118

[그림 20] 〈연희공략: 건륭황제의 여인(延禧攻略)〉 인물관계도 122

[그림 21] 〈연희공략: 건륭황제의 여인(延禧攻略)〉에서 메인플롯 123

[그림 22] 〈연희공략: 건륭황제의 여인(延禧攻略)〉에서 서브플롯 123

[그림 23] 〈연희공략 : 건륭황제의 여인(延禧攻略)〉 여성 캐릭터들 124

[그림 24] 초교(楚喬)의 이미지 128

[그림 25] 담윤현(譚允賢)의 병원 장면 130

[그림 26] 〈아적전반생(我的前半生)〉에서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132

[그림 27] 〈환락송(歡樂頌)〉에서 여주인공의 감정변화 137

[그림 28] 〈경경일상(卿卿日常)〉에서 여주인공의 감정변화 138

[그림 29] 〈애정이이: 오직, 사랑(愛情而己)〉에서 여주인공의 특징 138

[그림 30] 〈풍취반하: 반하에 부는 바람(風吹半夏)〉에서 독립적인 여주인공 모습 139

[그림 31] 〈월승창해 (月升滄海)〉에서 독립적인 여주인공의 모습 141

[그림 32]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에서 연상연하 연애의 공개 144

[그림 33] 〈퀸스 갬빗(The Queen's Gambit)〉포스터 148

[그림 34] 〈몽화록(夢華錄)〉 여성 캐릭터 153

[그림 35] 함께 창업하는 자오판얼, 송인장, 선산냥 154

[그림 36] 첸치엔(陳芊芊)의 모습 156

[그림 37] 신혼날 첸지엔(陳芊芊)을 위해 술을 따르는 신랑 157

[그림 38] 〈옹정황제의 여인(甄嬛傳, 2012)〉의 서사의 단서 166

[그림 39] 〈옹정황제의 여인(甄嬛傳, 2012)〉의 서사 구조 169

[그림 40]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에서 심미장(沈眉莊) 174

[그림 41]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에서 심미장(沈眉莊)과 견환(甄嬛) 175

[그림 42]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연장자를 돌보는 심미장(沈眉莊) 176

[그림 43]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의 황후 장면 177

[그림 44] 초기의 견환(甄嬛) 178

[그림 45] 능운봉의 견환(甄嬛) 179

[그림 46] 귀비가 된 견환(甄嬛) 179

[그림 47] 황제 장면 180

[그림 48] 여주인공을 구출하는 과군왕(果郡王) 182

[그림 49]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장면 189

[그림 50] 여주인공이 처음 입궁한 공간의 색채 190

[그림 51] 여주인공의 연애 기간 중의 공간 색채 190

[그림 52] 여주인공이 권력을 얻었을 때의 공간 색채 191

[그림 53]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1

[그림 54]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2

[그림 55]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2

[그림 56]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3

[그림 57]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3

[그림 58] 견환(甄嬛)이 궁으로 돌아가는 풀 숏 194

[그림 59] 순상(淳常)이 물속에 빠지는 장면 195

[그림 60] 화비(華妃)가 등장하는 장면 195

[그림 61] 안릉용(安陵容)이 등장하는 장면 196

[그림 62]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7

[그림 63]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색채무드 198

[그림 64]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 장면 199

초록보기

 최근 중국의 '여성 이미지'는 영화와 드라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서사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최근 중국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서 그 중요한 의미에 대해서 연구하는 데 있다.

먼저, 논문의 제1장에서 중국의 '여성 주인공 드라마'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린다.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는 여성 캐릭터를 서사의 핵심으로 하고, 주로 가정생활에 중점을 둘뿐만 아니라 여성 주인공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성장을 말한다. 여성이 이러한 분야에서 어려움에 직면한 도전과 성과를 강조하는 드라마를 가리킨다. 이러한 드라마는 여성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조하며 그들의 성격 형성과 가치관을 부각시킨다. 이에 따라 '여성 주인공 드라마'는 여성의 운명을 직장 환경에 놓음으로써 직장에서의 지혜와 능력을 강조하고 성 평등을 강조하고 시청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며 성별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촉진시켰다. 이어서 국제적으로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발전 과정을 되돌아보았으며, 특히 중국의 급격한 부상과 함께 여성주의와 성 평등 관념이 어떻게 이 장르의 부상을 촉진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대한 논의는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발전에 필요한 원인과 동력을 제공한다.

제2장은 사회 변혁이 여성 이미지 수요에 미친 영향, 광범위한 여성 시청자 시장의 부상, 드라마 산업의 끊임없는 확대와 여성 이미지 창작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성공 원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오늘날의 상업적 성공과 광범위한 인정을 얻도록 추진하였는지를 깊이 있게 분석하여 이 유형의 드라마의 발전에 대한 원인을 연구를 통해 제공한다.

제3장은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전체적인 서사 특성과 여성 이미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러한 드라마는 주로 여성 주인공의 성장 과정, 그들의 직업과 가정에서의 역할, 그리고 성별과 관련된 사회적 도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감정적 요소, 여성의 경력 발전과 관련된 주제 및 성별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이런 유형의 드라마들은 현대 중국 여성의 삶의 경험과 정서적 수요를 성공적으로 반영한다.

본 논문의 제4장에서는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대표작인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서사 과정의 시청각 응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이 드라마는 정교한 화면, 음향 디자인과 내러티브를 통해서 여성 이미지의 독특한 점을 부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옹정황제의 연인(甄嬛傳, 2012)〉의 사례를 통해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의 서사적 특성을 요약하고, 미장센, 화면과 음향의 조화로운 운용 및 흥미로운 줄거리 설정 등 이러한 유형의 드라마 제작을 위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는 일부 한계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비록 이러한 드라마들은 성별 문제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진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더욱 다원화된 서사적 시각을 통해 다양한 연령대와 사회적 배경을 가진 여성의 삶의 경험을 더욱 잘 반영하여야 한다. 이 밖에 여성 이미지 드라마는 성별 문제를 더욱 깊이 있게 토론하여 성 평등 관념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급하고 전파해야 한다.

요약하면,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는 여성주의 주제 드라마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당대 중국의 사회적,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성 평등 관념의 전파와 발전에 성과를 내었다. 향후 중국 '여성 주인공 드라마'가 지속해서 성장을 통하여 중국 여성 주제 영화와 드라마 작품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