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2
국문초록 5
목차 8
Ⅰ. 서론 14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4
가. 현대 의학에서의 인간적 배려 강조 14
나. 현대 간호교육의 인간적 배려 가치 지향 16
다. 간호사와 환자 간의 조화로운 관계 구축의 필요성 18
라. 고품질 인간적 배려 간호 서비스의 필요성 19
2. 연구목적 및 기대효과 21
가. 연구목적 21
나. 연구의 기대효과 22
3. 연구 방법 및 범위 23
4. 선행연구의 검토 25
가. 구미(歐美) 학자들의 연구 25
나. 중국 학자들의 연구 30
Ⅱ. 이론적 배경 33
1.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 이론 33
가. 본질론: 인성 간호 이론 33
나. 인식론: 인간적 배려 성향의 구조 41
다. 가치론: 인본주의 교육학 사상 46
2.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의 논거 48
가. 인본주의 49
나. 인간적 배려 성향의 내재화 52
다. 상황학습이론 59
3. 인간적 배려 교육 체계 62
가. 교수목표시스템 구축 63
나. 교육 체계 구축 64
다. 교수 조건시스템 구축 65
라. 교수 평가시스템 구축 66
Ⅲ.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 체계의 설계 68
1. 목표설정 68
가. 간호사 인간적 배려 성향의 판단 기준 68
나. 인간적 배려 성향 4개 차원 69
다. 왓슨의 10대 배려 요소 70
2. 교육방법 71
가. 교원 배려행위 규범의 제정 72
나. 인성 배려 이념 교육 내용의 구성 75
다. 인간적 배려 교육활동 계획 수립 79
라. 인간적 배려 인재 교육 여건 조성 83
마. 인간적 배려 실습 계획수립 85
3. 교육과정 87
가. 인간적 배려 교육의 원칙 87
나. 인간적 배려 교육의 전략과 방법 89
4. 평가체계 92
가. 정량 평가 도구 93
나. 정성 평가 시스템의 설계 95
Ⅳ.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 효과의 실증 분석 96
1. 개념적 준거 틀 96
가. 인간적 배려 간호의 개념 96
나. 간호사의 인간적 배려의 구조 98
다.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 체계의 개념 99
2. 연구가설 104
3. 조사방법 105
가. 정성평가 : 인터뷰 106
나. 정량평가 114
4. 분석 결과 118
가. 응답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118
나. 실험전 실험군의 인간적 배려 능력 국제비교 119
다. 실험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간적 배려 능력 차이 120
라. 실험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간적 배려 능력 국제비교 121
마. 실험 후 대조군의 인간적 배려 능력 국제비교 122
바. 실험 후 그룹 간 비교 122
사. 실험 전후 그룹 내 비교 123
5. 해석 및 시사점 125
가. 대학생 간호의 인간적 배려 능력 분석 125
나. 교육의 인간적 배려 간호능력 향상 효과 127
Ⅴ. 결론 130
1. 제언 및 시사점 130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132
참고 문헌 134
부록 149
부록 A. 간호학과 학생 인간적 배려 능력 조사표 149
附录 A. 护生人文关怀能力调査表 153
부록 B. 알 권리 동의서 156
附录 B. 知情同意书 158
Abstract 160
〈표 3-1〉 10대 배려 요소를 틀로 한 분류 목표 시스템 70
〈표 3-2〉 인간적 배려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 76
〈표 4-1〉 간호사 인간적 배려 성향 구조 이론 모델 98
〈표 4-2〉 인터뷰 대상(n=5) 106
〈표 4-3〉 응답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n=200) 118
〈표 4-4〉 실험 전 실험군의 국제 표준샘플 비교(점, x±s) 120
〈표 4-5〉 실험 전 대조군의 국제 표준샘플 비교(점, x±s) 120
〈표 4-6〉 두 그룹의 인간적 배려 능력 평점 비교(점, x±s) 121
〈표 4-7〉 실험 후 실험군의 국제 표준샘플 비교(점, x±s) 121
〈표 4-8〉 실험 후 대조군의 국제 표준샘플 비교(점, x±s) 122
〈표 4-9〉 실험 후 인간적 배려능력 비교(점, x±s) 123
〈표 4-10〉 실험군의 실험전후 인간적 배려 능력 평점 비교(점, x±s) 123
〈표 4-11〉 대조군의 실험전후 인간적 배려 능력 평점 비교(점, x±s) 124
중국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에 대해 비교적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이론 연구와 실천 연구가 부족하다. 외국의 인간적 배려 교육은 간호학과 과정의 교육 체계에 대한 연구 현황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사 인간적 배려 성향 구조 이론 모델을 바탕으로 인간적 배려 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중국 외 인간적 배려교육의 깊이 있는 전개를 위하여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절차와 평가체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와 이론 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중국외 인간적 배려 교육의 연구 현황을 고찰하고 간호사의 인간적 배려 성향구조를 바탕으로 관련 교육학 이론, 교육 심리학 이론과 간호학의 인성 간호 이론을 활용하여 인간적 배려 교육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인간적 배려 성향의 교육 목표 설계, 인간적 배려 교육 체계의 디자인, 인간적 배려 성향의 내재화를 촉진하는 교육 조건 디자인, 인간적 배려 성향의 특징에 부합되는 교육 평가 시스템이다.
둘째, 실험 연구방법으로 모 간호전문학교 2021학년 간호 전문대생을 실험 대상으로 뽑아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 체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작위로 이를 실험군 100명, 대조군 100명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적인 배양 모델을 적용하였다. 실험군은 인간적 배려 교육 체계방안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구조 인터뷰를 통해 실습생들이 환자의 인간적 배려교육내용에 대한 4대 주제를 추출해냈는데 여기에는 인간적 배려이념, 인간적 배려 지식, 인간적 배려능력, 인간적 배려 감지가 포함된다. 둘째, 인간적 배려 교육체계의 적용 결과, 교육 전 두 그룹의 간호 대학생 배려 능력 점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P〉 0.05), 배려 능력 총점 및 인지, 인내심, 용기 세 차원은 모두 국제 표준화 샘플 평균보다 낮고,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교육 후, 실험군이 대학생을 간호하는 배려 능력의 총점은 국제 표준화 샘플 평균수보다 낮지만, 인지 차원은 이미 국제 표준화 샘플 평균수 수준에 도달했고, 인내심 차원은 이미 국제 표준화 샘플 평균수 수준에 도달했으며, 용기 차원은 여전히 국제 표준화 샘플 평균수 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조군의 배려능력 총점 및 인지, 인내심, 용기 등 3개 차원은 모두 국제표준화 그룹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결론적으로 제안한 인간적 배려 간호교육 체계의 구축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을 간호하는 인간적 배려 능력이 시급히 향상되어야 한다. 둘째, 인간적 배려교육 체계는 학생을 간호하는 인간적 배려능력을 제고 하는데 유리하다. 특히 인지, 인내심 두 차원에서 효과가 뚜렷하다. 셋째,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에서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인간적 배려 교육 체계를 구축하였고 간호 대학생의 인간적 배려 성향 교육에 운영 가능한 교육 체계와 평가 체계를 제공하여 의학 인문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