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2
국문초록 5
목차 7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문제 및 가설 17
가. 연구문제 17
나. 가설 18
3. 선행연구 분석 21
Ⅱ. 중국 대중음악의 발전 및 개념 24
1. 중국 근현대 대중음악의 발전 개황 24
가. 개혁개방 이전 중국 대중음악의 발전 개황 27
나. 개혁개방 이후 대중음악에 대한 탐구 30
다. 중국 대중음악의 서구화 탐색 51
2. 중국 대중음악의 기본 개념 57
3. 현대 대중음악의 분류 및 특징 63
4. 현대 대중음악에 나타난 '중국풍' 음악 72
Ⅲ. 대중음악의 음악적 요소 중 '음'의 단일 형태 분석 76
1. 음의 기본개념, 분류 및 발전 76
2. 중국 전통음악 속 단일 형태 '음'의 발전 및 활용 79
가. 직음 활용사례 분석 79
나. 억양음 및 작품 표현 81
다. 즉흥음의 활용 87
라. 다양한 소리의 활용 88
3. '중국풍' 음강의 '현대화' 92
가. 트릴 기법 활용 92
나. 자유 장단의 음(리듬의 자유화) 101
다. 자유 음고 (포르타멘토) 102
4. 민족악기 단음의 '현대화' 운율 표현 105
Ⅳ. 현대 대중음악에서 수평 음악 조직의 활용 108
1. 원생태 언어 및 음악 조직의 활용 109
가. 지역 방언 109
나. 민간 이야기와 전설 113
다. 원시에서의 발음과 수용 115
2. 민속 및 민간음악의 편곡과 활용 119
가. 오음음계 119
나. 민간 곡조 121
다. 소수민족음악 123
3. 희곡 발음의 장식적 활용 127
가. 경극(京劇) 인용 128
나. 기타 희곡 형식 인용 129
4. 민속 기악의 음색을 활용한 장식 132
가. 중국 한족(漢族) 악기의 선형 음색 132
Ⅴ. 현대 대중음악에서 수직 음악조직의 전통음악 요소 활용 136
1. 전통 기악 속 '화성적 사유'의 연주기법과 창의적인 음악 표현 136
가. 전통적인 표현과 연주 136
나. 새로운 기법의 등장 145
다. '비정상적' 기법의 추가 157
2. 다성부의 화음 작품에 활용된 전통음악 요소 168
가. 오케스트라 작품에 담긴 '중국식' 사유 168
나. 합창작품 속 민족적 요소 혁신 172
Ⅵ. 결론 177
참고 문헌 182
Abstract 194
악보예 1. 한홍(韓紅), 〈하늘의 길〉(天路), 1 - 15마디 80
악보예 2. 여자12악방(女子十ニ樂坊), 〈기적〉(奇蹟), 1-12마디 82
악보예 3. 여자12악방, 〈기적〉, 45-52마디 83
악보예 4. 황령(黃齡), 〈high의 노래〉, 1-8마디 84
악보예 5. 황령, 〈HIGH의 노래〉, 10마디 85
악보예 6. 황령, 〈high의 노래〉, 9-12마디 86
악보예 7. 황령, 〈high의 노래〉, 13-20마디 86
악보예 8. 〈재스민〉, 강소 민요, 1-2마디 87
악보예 9. 〈신편십면매복〉, 계명산소전(雞鳴山小戰), 66-73마디 88
악보예 10. 〈신편십면매복〉, 구리산대전(九裏山大戰), 93-96마디 89
악보예 11. 〈신편십면매복〉 구리산대전, 92마디 90
악보예 12. 〈남행〉(南行), 1-8마디 94
악보예 13. 〈천월죽림〉(芽越竹林), 1-14마디 95
악보예 14. 〈소삼설〉(蘇三說), 1-6마디 96
악보예 15. 〈소삼설〉, 23-44마디 97
악보예 16. 〈소삼설〉, 23-34마디 97
악보예 17. 〈권주렴〉(卷珠簾), 10-45마디 98
악보예 18. 〈권주렴〉, 18-20마디 99
악보예 19. 〈권주렴〉, 40-55마디 99
악보예 20. 〈권주렴〉, 24-39마디 100
악보예 21. 공림나, 〈주서구〉, 1-14마디 102
악보예 22. 공림나 희곡판 〈사랑은 불과 같다〉(愛如火, 2022), 1-4마디 104
악보예 23. 요십삼, 〈장님〉, 13-21마디 110
악보예 24. 요십삼, 〈장님〉, 70-101마디 111
악보예 25. 대만 민요, 〈천흑흑〉, 1-18마디 113
악보예 26. 손연자, 〈천흑흑〉, 10-18마디 114
악보예 27. 공림나, 〈여동생아 너는 대담하게 앞으로 나아가라〉(妹妹你大膽往前走), 13-24마디 115
악보예 28. 공림나, 〈작은 강물이 흐른다〉(小河淌水, 2022), 1-3마디 117
악보예 29. 유환(劉歡, 2008), 〈나와 너〉(我和你), 1-4마디 120
악보예 30. 황령, 〈High의 노래〉, 1-4마디 125
악보예 31. 황령, 〈High의 노래〉, 13-20마디 126
악보예 32. 〈탐창〉(探窗, 2021), 10-15마디 128
악보예 33. 대전(戴荃), 〈오공〉(悟空, 2017), 17-20마디 129
악보예 34. 서가옥, 〈흰 말을 타고〉, 1-12마디 130
악보예 35. 서가옥, 〈흰 말을 타고〉, 42-52마디 130
악보예 36. 주걸륜, 〈청화자〉, 1-11 마디 134
악보예 37. 〈패왕사갑〉 (霸王卸甲), 40마디 147
악보예 38. 〈춘잠〉(春蠶), 3마디 148
악보예 39. 〈요재고사II〉 (聊齋故事Ⅱ), 14마디 149
악보예 40. 〈요재고사〉 8마디 149
악보예 41. 〈고괴심근〉(古槐尋根), 52-56마디 153
악보예 42. 〈제2교향악-평화의 노래〉(第二交響樂一和平頌), 80-86마디 154
악보예 43. 〈수공산〉(愁空山). 100-101마디 159
악보예 44. 〈천문지문〉 (天問之問). 1-5마디 160
악보예 45. 〈경극인상〉 (京劇印象). 54마디 163
악보예 46. 〈공후인〉 (箜篌引). 1-4마디 163
악보예 47. 〈소II〉 (韶)II. 7마디 165
악보예 48. 〈사로월운〉(絲路粵韻) 첫 번째 악장 〈개해〉(開海), 45-48마디 169
악보예 49. 〈사로월운〉(絲路粵韻) 첫 번째 악장의 〈귀래〉(歸來), 67-68마디 170
악보예 50. 〈사로월운〉(絲路粵韻) 첫 번째 악장의 〈개해〉(開海), 125-128마디 171
지난 1세기 동안 중국 현대 대중음악의 창작은 세계 각국의 음악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중국의 음악 창작은 5음음계 및 7음음계 등 가장 기본적인 음악 요소를 활용한 음악 창작에서 외국 현대 음악의 창작 경험을 점차 흡수하고 통합하여 마침내 '중국 특색'의 현대 대중음악이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전통 음악은 점차 현대 대중음악에 통합되어 현재의 고풍스러운 음악, 즉 중국풍 음악을 형성하였다. 본문은 대량의 전통 음악 요소를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 대중음악을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목적은 중국 현대 대중음악에서 전통 요소의 혁신을 연구하는 데 있다.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음악 학자들은 다양한 중국 전통 음악의 특성을 중국 대중음악 분야에 도입했다. 이러한 전통 음악 요소들이 점차 축적되고 통합되면서, 중국 전통 음악 창작이 점점 더 많은 학자와 작곡가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본문은 중국 전통 음악기법을 사용한 현대 대중음악 작품을 분석하고, 작품에 나타나는 전통음악의 특징과 형성하게 된 배경을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음의 단일 형태, 전통 음악 조직의 인용, 연주 기법의 표현, 음악의 표현력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요소들이 교차하고 융합하는 배경에서 음악이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고, 중국 현대 대중음악 창작에 시사점 주었다. 게다가 분석과 비교를 통해 새로운 창작 방향을 제시했으며, 이처럼 크로스오버라는 거시적인 배경에서 중국 전통 기악(음악)이 대중음악 창작에서 새로운 특징을 형성하고 새로운 발전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