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국문 초록 5

목차 6

Ⅰ. 서론 10

Ⅱ. 이론적 배경 12

1. 조직시민행동 12

2. 직무 요구-자원 모델 14

3. 개인 자원 범주 16

4. 직무 요구 범주 18

5. 직무 자원 범주 19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0

2. 측정 도구 23

1) 조직시민행동 25

2) 개인 자원 범주 26

3) 직무 요구 범주 27

4) 직무 자원 범주 28

5) 인구통계학적 특성 30

3. 분석 방법 30

Ⅳ. 연구 결과 31

1. 요인 분석 31

1) 탐색적 요인 분석 31

2) 확인적 요인 분석 33

2. 기술 통계 및 상관 분석 37

3. 다중 회귀 분석 40

1) 개인 자원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40

2) 직무 요구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44

3) 직무 자원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48

Ⅴ. 논의 53

참고 문헌 60

부록 66

영문 초록 74

표목차 8

〈표 1〉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1

〈표 2〉 설문 문항의 구성 24

〈표 3〉 교사 조직시민행동의 탐색적 요인 분석 32

〈표 4〉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및 상관 분석 38

〈표 5〉 개인 자원이 OCB-I에 미치는 영향 41

〈표 6〉 개인 자원이 OCB-O에 미치는 영향 42

〈표 7〉 개인 자원이 OCB-CH에 미치는 영향 43

〈표 8〉 직무 요구가 OCB-I에 미치는 영향 45

〈표 9〉 직무 요구가 OCB-O에 미치는 영향 46

〈표 10〉 직무 요구가 OCB-CH에 미치는 영향 47

〈표 11〉 직무 자원이 OCB-I에 미치는 영향 49

〈표 12〉 직무 자원이 OCB-O에 미치는 영향 50

〈표 13〉 직무 자원이 OCB-CH에 미치는 영향 51

〈표 14〉 다중 회귀 분석의 개별회귀계수 t값 요약 52

그림목차 9

〈그림 1〉 개인 자원과 조직시민행동의 확인적 요인 분석 34

〈그림 2〉 직무 요구와 조직시민행동의 확인적 요인 분석 35

〈그림 3〉 직무 자원과 조직시민행동의 확인적 요인 분석 36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선행 변인을 찾고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은 선행 척도를 재구성하여 개인 지향, 조직 지향, 변화 지향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차원으로 나누었다. 선행 변인은 직무 요구-자원 이론에 따라 개인 자원, 직무 요구, 직무 자원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개인 자원에는 소명, 수행목표 지향성, 숙달목표 지향성, 주도적 성격이 속하며, 직무 요구에는 업무량 및 시간 압력, 역할 갈등, 표면 행위, 내면 행위가 속하며, 직무 자원에는 직무 통제, 상사 공정성,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속한다. 국내 중등학교 교과 교사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일 방법 편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롯한 개인 자원, 직무 요구, 직무 자원 범주를 측정하고, 일주일 후 2차로 조직 시민행동을 측정하였다. 이후 범주별 변인의 순수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차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범주 내에서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차원에 따라 유의한 변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선행 변인의 설명력은 개인 지향 조직시민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며, 변화 지향 조직시민행동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술적 및 실무적 의의, 한계와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