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ABSTRACT 5

목차 7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 목적 16

3. 연구 문제 16

4. 용어 정의 17

1) 입시체육 17

2) 사교육 17

3) 공교육 18

4) 방과 후 학교 18

5) 체육중점학교 18

6) 체육거점학교 19

7) 체육교과 교육과정 클러스터 19

5. 연구의 제한점 21

Ⅱ. 이론적 배경 22

1. 교사 직무 22

1) 교사 직무 22

2) 교사 직무 유형 23

2. 체육교사 직무 24

3. 공교육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27

1) 방과 후 체대입시 27

2) 체육중점학교 및 체육거점학교 28

3) 체육교과 교육과정 클러스터 31

4. 질적 메타분석 개관 32

1) 질적 메타분석 정의 32

2) 질적 메타분석 절차 34

5. 선행 연구 검토 37

1) 체육 관련 질적 메타분석 선행연구 37

2) 교육학 관련 질적 메타분석 선행연구분석 40

Ⅲ. 연구 방법 43

1. 질적 메타분석 43

2. 연구 과정 및 절차 43

1) 전반부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분석 대상 연구물 선정 44

2) 후반부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연구물 분석 및 종합 48

3. 연구 진실성 및 윤리성 49

Ⅳ. 연구 결과 50

1. 연구결과 50

1) 대상 연구물의 일반적 특성 분석·결과 51

2) 대상 연구물의 주요 범주화 분석 결과 59

3) 대상 연구물의 분석 및 결과해석 64

2. 프로그램 운영의 방해요소 75

1) 제도적 문제 75

2) 수업의 비활성화 요인 78

3) 부정적 관계 요인 80

4) 비체계적 운영 83

3. 프로그램 운영의 긍정적 요소 85

1) 제도적 지원 85

2) 수업의 활성화 요인 87

3) 긍정적 관계 요인 90

4) 체계적 운영 92

4. 공교육의 차별성 96

1) 진로 탐색 및 진학 준비 96

2) 긍정적 상호작용 98

3) 효율성 100

5. 체육교사의 역할 102

1) 교사 전문성 102

2) 안정적 운영 105

Ⅴ. 논의 108

1.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가능성 탐색 108

1) 학생들의 학교생활 관리 109

2) 학교에서의 체육계열 진학지도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한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과 효율성 증가 110

3) 진로 탐색의 경험을 통한 진로 결정 112

2.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 114

1) 체육계열 진학지도에 대한 학교 관계자의 인식 개선 114

2) 체육계열 진학프로그램 운영교사의 과도한 업무 개선 115

3) 안정적인 예산과 교사 수당 확보 117

Ⅵ. 결론 및 제언 119

1. 요약 및 결론 119

2. 제언 123

참고문헌 125

국문초록 131

표목차 11

표Ⅱ-1. 우리나라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직무영역 및 직무내용 24

표Ⅱ-2. Walsh & Downe(2005)의 질적 메타분석 실행절차와 나장함(2008)의 질적 메타분석 실행절차 34

표Ⅲ-1. 연구 절차 44

표Ⅲ-2. 대상 연구물 목록 47

표Ⅳ-1. 대상 연구물의 개별 주요 내용 분석 51

표Ⅳ-2. 연구 참여자 인구통계학적 분석 58

표Ⅳ-3. 공교육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 대상 연구물별 범주화 59

표Ⅳ-4.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 관련 요소별 분석틀(1차 코드) 65

표Ⅳ-5.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 코딩 결과표 68

표Ⅳ-6. 분석 대상 연구물의 주요 경험 코딩 결과표 73

표Ⅳ-7. 공교육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 주제 분석표 74

그림목차 12

그림1. 경기도 교육청〈교육과정 클러스터 연계 방법〉 20

그림2. 체육중점학교(송곡고등학교)의 스포츠 진로교육_다양한 체육교과 수업운영(2017학년도 체육중점학교 교육과정표) 29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와 관련된 연구를 종합 및 분석하여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 학교는 체육계열 진학지도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지도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와 관련된 질적 연구물 11편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연구물은 공교육 내에서 체육계열 진학지도를 목적으로 학술지에 등록된 질적 연구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 연구물은 나장함(2008)의 연구 절차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각 연구물에서 나타난 경험과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의 변화나 영향을 주는 주요 내용 요소에 대한 범주화 작업을 수행하고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에 대한 주요 내용 요소에 범주화한 내용과 대상 연구물을 재분석하여 '긍정', '부정', '시사점' 으로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틀을 정리하였다. 분석틀과 대상 연구물을 비교하며 재분석하고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프로그램 운영의 방해요소', '프로그램 운영의 긍정적요소', '공교육의 차별성', '체육교사의 역할', '프로그램 운영방안' 5가지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경험주제를 분석한 결과 '공교육의 차별성' 에 대한 주제가 뚜렷하게 나타나 소범주인 '진로 탐색 및 진학준비', '긍정적 상호작용', '효율성' 으로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의 방해요소' 의 소범주 '제도적 문제 요인' 과 '부정적 관계 요인' 이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 이를 바탕으로 공교육 내 체육계열 진학지도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