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

목차 5

논문요약 9

Ⅰ. 머리말 14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2. 선행 연구 검토 17

2.1. 감정 표현 개념 및 지도에 관한 연구 17

2.2. 배려적 말하기에 관한 연구 20

3. 연구 내용 및 방법 22

Ⅱ. 이론적 배경 23

1. 비쾌 감정 및 비쾌 감정 표현 23

1.1. 감정 및 감정 표현의 개념과 특징 23

1.2. 감정의 유형 26

1.3. 비쾌 감정 표현 범주 선정 32

2. 관계 지향적 말하기의 개념과 특징 40

2.1. 관계 지향적 말하기의 개념 40

2.2. 관계 지향적 감정 표현의 특징 46

3. 관계 지향적 비쾌 감정 표현 전략 47

3.1. 언어적 표현 전략 48

3.2. 준언어적 표현 전략 66

3.3. 비언어적 표현 전략 69

Ⅲ. 비쾌 감정 표현 교육 실태 분석 75

1. 교육과정 및 교과서 실태 분석 75

2. 학습자 실태 분석 96

Ⅳ. 비쾌 감정 표현 지도 방안과 적용 100

1. 비쾌 감정 표현 지도의 원리 100

2. 비쾌 감정 표현 교수·학습 전개 과정 104

3. 교수·학습의 실제 107

4. 결과 분석 115

Ⅴ. 맺음말 143

참고문헌 150

ABSTRACT 154

부록 159

〈부록 1〉 1차시 교재 159

〈부록 2〉 2~4차시 교재 161

〈부록 3〉 5~7차시 교재 167

〈부록 4〉 8~9차시 교재 173

〈부록 5〉 교수·학습 프로그램 적용 사후 설문지 174

표목차 7

〈표 1〉 차경미(2013)의 '감정'과 관련된 용어의 의미 구분 23

〈표 2〉 학자에 따른 기본 감정군 분류 26

〈표 3〉 신은주(2008)의 쾌, 불쾌에 따른 감정 용언 분류 29

〈표 4〉 차경미(2013)의 기본 감정군 분류 30

〈표 5〉 김건구(2019)의 기본 감정군 분류 30

〈표 6〉 학자별 기본 감정군 분류 기반 비쾌 감정 범주 재구성 33

〈표 7〉 안찬원(2014)의 초등학생 일기문에 나타난 심리 형용사의 빈도 34

〈표 8〉 본고에서의 감정군 범주 39

〈표 9〉 '나 전달법' 관련 국어과 성취기준 43

〈표 10〉 로젠버그의 NVC 모델 세부 내용 44

〈표 11〉 김건구(2019)의 감정 유형 분류표 49

〈표 12〉 감정 표현의 유형화 분류 50

〈표 13〉 비쾌 감정 관련 자신의 생각, 요구 등을 나타낼 때 활용할 수 있는 형식적 요소 52

〈표 14〉 관계 지향적 비쾌 감정 준언어적 표현 전략 67

〈표 15〉 관계 지향적 비쾌 감정 비언어적 표현 전략 70

〈표 16〉 국어 감정 표현과 관련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75

〈표 17〉 국어 감정 표현과 관련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80

〈표 18〉 배려적 말하기와 관련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84

〈표 19〉 배려적 말하기와 관련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86

〈표 20〉 비쾌 감정 표현 교수·학습의 구성 105

〈표 21〉 비쾌 감정 표현 지도 1차시 교수·학습 과정 108

〈표 22〉 비쾌 감정 표현 지도 2~4차시 교수·학습 과정 109

〈표 23〉 비쾌 감정 표현 지도 5~7차시 교수·학습 과정 111

〈표 24〉 비쾌 감정 표현 지도 8~9차시 교수·학습 과정 113

〈표 25〉 비쾌 감정 표현 교수·학습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객관식 설문 답안 분석 116

〈표 26〉 비쾌 감정 표현 교수·학습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식 설문 답안 분석 118

〈표 27〉 수업 후의 변화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122

〈표 28〉 상 수준 학생 집단의 객관식 설문 답안 124

〈표 29〉 상 수준 학생 집단의 주관식 설문 답안 125

〈표 30〉 상 수준 학생 집단의 수업 후 변화에 대한 응답 128

〈표 31〉 중 수준 학생 집단의 객관식 설문 답안 129

〈표 32〉 중 수준 학생 집단의 주관식 설문 답안 131

〈표 33〉 중 수준 학생 집단의 수업 후 변화에 대한 응답 134

〈표 34〉 하 수준 학생 집단의 객관식 설문 답안 135

〈표 35〉 하 수준 학생 집단의 주관식 설문 답안 136

〈표 36〉 하 수준 학생 집단의 수업 후 변화에 대한 응답 139

그림목차 8

[그림 1] 기본 감정군 분류 체계 32

[그림 2] 최가진(2017)의 감정 표현 유형 48

[그림 3] 감정군 유형별 사용할 수 있는 관계 지향적 비쾌 감정 표현 전략 73

[그림 4] 2022 개정 2-1-5. 3차시 학습 활동 (1) 88

[그림 5] 2022 개정 2-1-5. 3차시 학습 활동 (2) 89

[그림 6] 2015 개정 3-1-4. 1차시 학습 활동 90

[그림 7] 2015 개정 3-1-4. 2차시 학습 활동 (1) 90

[그림 8] 2015 개정 3-1-4. 2차시 학습 활동 (2) 91

[그림 9] 2015 개정 3-1-4. 7차시 학습 활동 91

[그림 10] 2015 개정 3-1-3. 7차시 학습 활동 92

[그림 11] 2015 개정 3-2-6. 8차시 학습 활동 93

[그림 12] 2015 개정 6-1-9. 4차시 학습 활동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