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헨델과 (1685-1759) 그의 동시대에 활발히 활동한 영국작곡가들의 조곡에는 풍부한 건반음악 어법으로 채워져 있다. 여기서 논의될 건반어법은 다양한 음악적 테크닉을 말하는데 음계 활용, 펼친 화음과 거기서 파생된 테크닉, 펼친 음정, 화음, 반복음 등의 다채로운 건반음악 작곡 스타일을 말한다.

위의 작곡가들의 조곡에 나타난 건반어법은 대부분 조곡(suites) 이라는 장르의 테크닉을 많이 담고 있으며 동시에 토카타, 소나타, 판타지아, 샤콘느 등의 다른 장르의 음악에서 보여지는 건반 테크닉 역시 포함한다. 또한 즉흥곡이나 푸가등 기교적으로 높은 건반음악 어법과의 연관성도 나타난다. 그 외에도 영국작곡가 스타일 뿐 아니라 서부 유럽에서 활발히 활동한 작곡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훌륭한 건반음악 어법도 나타난다. 이렇듯, 헨델과 그의 동시대의 영국작곡가들의 조곡엔 바로크 시대에 우세했던 장르의 음악들을 총 망라하는 건반테크닉을 담고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특정 건반어법은 (예: 즉흥적 테크닉의 처리, 높은 수준의 기교, 현저하게 독특한 대위법, 비범한 종지형태, 불규칙적인 조성전개 등) 달라서 헨델과 그의 동시대의 영국작곡가들은 서부 유럽 작곡가들과 다르게 구분 되어짐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건반어법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헨델과 그의 동시대의 영국작곡가들은 바로크 시대에서 하나의 특징적 악파를 이루며 건반음악의 레퍼토리에 또 다른 빛을 밝혀준다고 본다.

The Keyboard Idioms in the Suites ofHandel and his British Contemporaries, 1710-1740

bySo-Young Lee

Adviser: Professor L. Poundie Burstein

The harpsichord suites of George Frederic Handel (1685-1759) and his British contemporaries, including William Babell (c.1690-1723), Thomas Chilcot (1700-1766), Richard Jones (b.? -1744), Thomas Roseingrave (1690-1766), and John Christopher Smith (1712-1795), demonstrate a rich array of keyboard idioms, that is, techniques that are characteristic to keyboard music.These keyboard idioms include various devices involving scales, broken chords and their derivatives, broken intervals, chords, repeated notes, and devices involving specific intervals.

Some of these idioms share involve techniques specifically characteristic of suites, as well as thosemore commonly associate with other genres such as the sonata, toccata, fantasia, and chaconne. A number of these idioms further relate to techniques associated with improvisation, virtuosity, the fugue. The blending of these techniques in these suites thereby synthesizes a range of keyboard techniques of the late Baroque period. The idioms found in their suites do involve various techniques that are also found in keyboard works of continental composers. Nevertheless, certain facets of the keyboard techniques do distinguish the works of these British composers. Examining these keyboard idioms found in the suites of Handel and his British contemporaries within their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can shed much light on this reperto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