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중국(中國)당대(唐代)시가(詩歌)인 한산시의 판본 연구는 한산시를 연구하는 기초 작업이다. 본문은 현존하는 한산시 14종의 판본을 선택하여 그 각각의 판본이 가지는 특징과 ,판본과 판본 사이에 존재하는 이문(異文)을 교감(校勘)했고,중국 역대(歷代)의 문헌(文獻) 목록(目錄)과 제발(題跋)등을참고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한산시 판본의 계통을 귀납하고 그 원류(源流)를 고찰하였다. 본문에서 사용한 자료는 문헌상의 기재와 현존하는 판본 이 두가지 측면에 근거한 것인데.문헌 자료로써 중요한 것으로는 중국 역대 목록과 제발등을 포함하고 있다. 판본 자료로는 각각의 한산시 판본에서 실제 볼 수 있는 서발(序跋) 패기(牌記) 판면(版面)의 특징, 수록된 시의 내용, 편권의 순서,문자의 특징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문에서는 비교적 많은 한국 자료들이 사용되었다.본문의 제이장(第二章)은 현존하는 한산시 판본에 관하여 교감하였으며 각 판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본문에서 사용한 14종 판본으로는 저본(底本) 궁내청본(宮內廳本) 택시거총서본(擇是居叢書本) 도전한본(島田翰本) 조선복각원본(朝鮮覆刻元本) 조선본(朝鮮本) 고려본(高麗本) 봉은사본(奉恩寺本) 보문본(普門本) 백구팔행본(白口八行本) 가정본(嘉靖本) 만력본(萬曆本) 주세장본(朱世 本) 사고본(四庫本)등이 있다. 제삼장(第三章)은 제이장은 第二章에 기초하여 역대 문헌 목록과 제발에 기재된 한산시 판본에 관하여 고찰하였다.여기에서 얻어진 네 개의 판본 계통은 , 1저본(北京圖書館所臧宋刊本)계 2국청사본(國淸寺本)계 3보우본(寶祐本)계 4동고본(東皐本)계로 나누어진다.
寒山詩版本研究是研究寒山詩的基礎工作。本文通過校勘現存之十四種寒山詩版本特點及異文情況,並參考歷代文獻目錄、題跋等材料,歸納寒山詩版本系統,考索其源流。本文材料來源於文獻記載與現存版本兩個方面:第一、文獻資料主要包括歷代目錄及題跋等,參考歷代目錄,為研究治學之必要途徑。《寒山詩》一書問世之後,至今已有一千多年,其間必有多種版本出現。但這些版本未必能保存至今。今天所能見到之版本,只是曾經存在之版本的一部分。僅對現存版本進行研究,顯然無法全面說明《寒山詩》版本源流的詳細情況。而對已佚失之版本,又無法具體考察,只能通過其他途徑進行研究,考察歷代書目的記載就成為其中的重要途徑。即對現存版本研究而言,歷代書目之記載亦可提供許多線索。歷代書目中對《寒山詩》多有說明,但在分類、書名、分卷、編刻等方面常有所不同,這種不同很可能是版本不同所致,因此,要考察《寒山詩》之版本源流,首先從歷代書目之著錄入手。今據唐代以降歷代史志目錄、官府藏書目錄、私人藏書目錄以及國外書目等,探討《寒山詩》的流傳經過。第二、版本資料指現存寒山詩各種實際版本的序跋、牌記、版式特徴、收錄內容、編卷次序、文字特徴等。歷代每一部書的版本,具有其特點。印刷術的發展過程中,依不同時代、刊印單位、地域,逐漸形成定式,而顯現出版本之間的差異。《寒山詩》一書,問世之後,宋、元、明、清、韓國、日本皆有其傳本,本文中所據的版本有數種,通過各版本外形的特點及文字異同的比較,歸納出版本源流。而且使用了較多的韓國資料。本文第二章對現存寒山詩版本進行了校勘,考察各本異同。本文所用十四種版本包括底本、宮內聽本、擇是居叢書本、島田翰本、朝鮮覆刻元本、朝鮮本高麗本、奉恩寺本、普文本、白口八行本、嘉靖本、萬曆本、朱世樁本和四庫本。第三章以第二章為基礎,對歷代文獻目錄題跋中記載的寒山詩版本進行考察,所得四個寒山詩版本系統如下:1底本(北京圖書館宋刊本)系統;2國清寺本系統;3寶祐本系統;4東臯寺本系統。*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