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문화의 사회적 역할 : 음악, 과연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이만방 1
[본문] 1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음악교육 개혁의 진행과정과 우리의 과제 | 김춘미 | pp.14-34 |
|
보기 |
부산지역 대학 (서양)음악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 양종모 | pp.35-64 |
|
보기 |
부산지역 대학 전통음악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 김길운 | pp.65-84 |
|
보기 |
김진균박사의 학문세계를 되돌아보며 | 박종문 | pp.85-98 |
|
보기 |
주요 사건을 통해 본 '96 부산음악계 회고 | 김원명 | pp.99-124 |
|
보기 |
96 부산 연주문화 분석 및 정리 | 김창욱 | pp.125-143 |
|
보기 |
96년 부산 비평문화의 분석 | 이기정 | pp.144-158 |
|
보기 |
노동은의 '알고 싶다' : 기원 만년전 한국인들은 음악과 춤이 있었는가? | 노동은 | pp.166-170 |
|
보기 |
음악치료학의 이해 | 김미진 | pp.171-189 |
|
보기 |
문화의 사회적 역할 : 음악,과연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이만방 | pp.190-211 |
|
보기 |
일제 강점기의 음악교과서 연구 : 1931-1945년 관·공립학교를 중심으로 | 천영주 | pp.212-229 |
|
보기 |
1780년대와 1790년대 비인에서의 현악4중주의 유포와 수용 | 김지순 | pp.230-251 |
|
보기 |
바로크 음악의 장식음 적용에 관한 연구 : J.S.바하의 오르간 음악을 중심으로 | 김희성 | pp.252-275 |
|
보기 |
벨라 바르톡의 『미크로코스모스』 제5권 분석 연구 | 조치노 | pp.276-306 |
|
보기 |
프랑스 가곡 발전에 공헌한 폴 베를레느 | 김길원 | pp.307-313 |
|
보기 |
음악과 언어(Musik und Sprache) 2 | 게오르가아데스,T ;조선우·권오연 共譯 | pp.314-323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