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바른 옛지명 '싸전병문''샌전병문' : '샘전병문'은 말의 形態意味素 성립되지 않고,역사에서 버림받은 표기 아닐까 / 민기 1
[머리글] 1
국어사전·소설엔 나오는데 지명사전에선 왜 빠져? 2
땅이름에는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역사가 묻어 있다! 4
종로1가의 옛병문, 스며있는 의미 새겨 후련 5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남북 언어의 통일 방안 | 최호철 | pp.10-23 |
|
보기 |
우리에게 미국말이란 무엇인가? | 김영환 | pp.24-31 |
|
보기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절대로 안된다 | 최기호 | pp.32-39 |
|
보기 |
법률 한글화작업 어떻게 이루어지나 | 이상희 | pp.40-51 |
|
보기 |
김유정의 우리말 사랑 | 전신재 | pp.52-65 |
|
보기 |
우리는 ‘시’라는 ‘숲’을 어떻게 이해할까 : 김남조의 ‘설일’ | 전한성 | pp.66-83 |
|
보기 |
한말(우리국어)사전 바로잡기 14 | 정재도 | pp.84-112 |
|
보기 |
바른 옛지명 ‘싸전병문’‘샌전병문’ : ‘샘전병문’은 말의 形態意味素 성립되지 않고,역사에서 버림받은 표기 아닐까 | 민 기 | pp.113-118 |
|
보기 |
벌판 끝으로 은유되는 생의 극지의식 : 洪允淑 시인의 시집<마지막 공부> | 박진환 | pp.119-125 |
|
보기 |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1,800자 調整의 基本方向 | 金相洪 | pp.136-145 |
|
보기 |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학교급별 구분’에 대하여 | 진재교 | pp.146-163 |
|
보기 |
교육용 한자의 학교급별 구분 : 한문교육의 학교급별 타당성 문제와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학교급별 문제 | 박붕배 | pp.164-178 |
|
보기 |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글자 수는 많을수록 좋은가? | 이형재 | pp.179-185 |
|
보기 |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의 지정에 대하여 | 고성욱 | pp.186-191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