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시험은 계분의 가축 사료화의 일환으로 계분, 옥수수 및 타피오카를 50:30:20의 비율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한 계분사료(EPM)의 급여수준이 반추가축의 증체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평균체중이 10kg 내외의 한국재래산양 수컷 15두를 이용하여 EPM을 시험사료중에 각각 0, 10, 20, 30 및 40%씩 첨가 급여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Extrusion 가공처리 계분사료의 수분, 조지방 및 조섬유 함량는 extrusion 가공처리 전보다 각각 10.8, 0.2 및 0.5% 감소하였고, NFE는 1.7% 증가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의 596.1g/day에 비해 EPM 20 및 30% 첨가구에서 각각 620.6 및 698.5 g/day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0% 첨가구에서는 590.7g/day로 감소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에서 119.8g으로 EPM 10, 20 및 30% 첨가구의 96.8, 98.3 및 108.2g/day와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EPM 40% 첨가구에서는 78.3g/day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5.01)에 비하여 EPM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EPM 40%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은 각 처리간에 큰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조섬유 소화율은 대조구의 63.7%에 비해 EPM 10, 20, 3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65.3, 67,5, 70.4 및 71.8%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 소화율은 EPM 40% 첨가구에서 68.5%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다른 EMP 첨가구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도체율은 대조구의 49.7%에 비해 EPM 10, 20, 3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49.7, 48.3, 47.8 및 45.2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양고기중의 지방 함량은 대조구의 16.3%에 비해 EPM 첨가구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level of extruded poultry manure, corn and tapioca mixture (EPM)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ody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goats. Total 15 heads of Korean native goats (10 kg B.W.)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EPM 10, 20, 30, 40% and control.) and feeding trial was done for six weeks with ad libitum. Protein level of the extrudate with poultry manur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corn supplements rate. NFE and Ca content in EPM also were functional of the tapioca supplements levels. Daily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in EPM 40%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groups. Concentrate feed intake was high in EPM 10 to 30%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also was relatively higher in EPM groups than in the control. As EPM level in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proportionally decreased, but that of crude protein was enhanced. Dressed carcass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EPM level, showing control 49.7, EPM 10% 49.8, EPM 20% 48.3, EPM 30% 47.9 and EPM 40% 45.2, respective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거세한우의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하동우 外著 pp.643-652

소 c-KIT Receptor 유전자의 다형성에 관한 연구 장요순 外著 pp.653-660

분만년도 계절 및 산차가 한우의 비유곡선에 미치는 영향 황정미 外著 pp.661-668

Efficiency of Marker Assisted Selection(MAS) over The Phenotypic Selection for Economic Traits in Economic Animals 전광주 pp.669-676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의 발현양상 분석 장요순 外著 pp.677-684

한우의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상관 추정 박철진 ;박영일 pp.685-692

한우 종모우의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 다형과 정액성상과의 관계 이성수 外著 pp.693-700

Microdrop과 Straw 방법으로 초자화 동결한 소 난자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양병철 外著 pp.701-710

지엽류 급여가 임신중인 흑염소에 있어서 유산 발생에 미치는 영향 최순호 外著 pp.711-718

Changes in Serum Vitamin E and Trace Mineral Levels and Other Blood Parameters in Growing Thoroughbred Horses During the Period of Pasture Grazing and Stable Feeding 이종언 外著 pp.719-726

필수아미노산 결핍에 의한 섭식반응과 Methionine 결핍이 흰쥐의 뇌내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 pp.727-738

무화과 발효물의 급여가 한우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국 길 ;김광현 pp.739-746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급여비율이 한우 거세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안병홍 ;송성철 ;류재숙 pp.747-756

통옥수수 및 Steam-flaked 옥수수 기초사료가 반추위미생물 발효성상과 한국재래산양 반추위대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배귀석 外著 pp.757-768

청초와 볏짚을 이용한 완전배합발효사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조성분의 변화 이현준 外著 pp.769-782

Extrusion 가공처리 계분사료의 첨가수준이 재래산양의 육성능력, 영양소 소화율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 外著 pp.783-792

비육돈 생산단계에 따른 도체 및 부분육 생산 특성 김진형 外著 pp.793-800

상업적 응유효소의 탈지유에 대한 단백질 분해 작용 신현수 ;김상범 ;임종우 pp.801-808

키토올리고당과 수용성 키토산의 열처리가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와 항 로타바이러스성에 미치는 영향 박범석 外著 pp.809-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