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은 계분의 가축 사료화의 일환으로 계분, 옥수수 및 타피오카를 50:30:20의 비율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한 계분사료(EPM)의 급여수준이 반추가축의 증체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평균체중이 10kg 내외의 한국재래산양 수컷 15두를 이용하여 EPM을 시험사료중에 각각 0, 10, 20, 30 및 40%씩 첨가 급여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Extrusion 가공처리 계분사료의 수분, 조지방 및 조섬유 함량는 extrusion 가공처리 전보다 각각 10.8, 0.2 및 0.5% 감소하였고, NFE는 1.7% 증가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의 596.1g/day에 비해 EPM 20 및 30% 첨가구에서 각각 620.6 및 698.5 g/day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0% 첨가구에서는 590.7g/day로 감소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에서 119.8g으로 EPM 10, 20 및 30% 첨가구의 96.8, 98.3 및 108.2g/day와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EPM 40% 첨가구에서는 78.3g/day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5.01)에 비하여 EPM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EPM 40%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은 각 처리간에 큰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조섬유 소화율은 대조구의 63.7%에 비해 EPM 10, 20, 3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65.3, 67,5, 70.4 및 71.8%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 소화율은 EPM 40% 첨가구에서 68.5%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다른 EMP 첨가구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도체율은 대조구의 49.7%에 비해 EPM 10, 20, 3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49.7, 48.3, 47.8 및 45.2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양고기중의 지방 함량은 대조구의 16.3%에 비해 EPM 첨가구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level of extruded poultry manure, corn and tapioca mixture (EPM)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ody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goats. Total 15 heads of Korean native goats (10 kg B.W.)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EPM 10, 20, 30, 40% and control.) and feeding trial was done for six weeks with ad libitum. Protein level of the extrudate with poultry manur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corn supplements rate. NFE and Ca content in EPM also were functional of the tapioca supplements levels. Daily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in EPM 40%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groups. Concentrate feed intake was high in EPM 10 to 30%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also was relatively higher in EPM groups than in the control. As EPM level in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proportionally decreased, but that of crude protein was enhanced. Dressed carcass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EPM level, showing control 49.7, EPM 10% 49.8, EPM 20% 48.3, EPM 30% 47.9 and EPM 40% 45.2,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