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청소년들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초등학교 6학년 145명, 고등학교 2학년 140명, 총 28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를 설문 및 식이섭취조사 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은 칼슘과 우유의 기능, 골다공증과 칼슘과의 관계는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칼슘의 흡수와 관련이 있는 영양소에 대해서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여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초등학교 남학생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칼슘식품에 대한 기호도는 아이스크림, 김, 요구르트 순으로 높았으나 콩 및 뱅어포 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좋아하는 정도가 달랐다. 청소년들의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은 여학생에서 491.5∼530.5 mg, 남학생이 554.5∼636.7 mg이었으며 이는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각각 61.4∼66.3%, 69.3∼70.7%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칼슘 섭취량이 RDA 66.7% 미만의 경우가 고등학교 여학생에서 64.9%로 다른 집단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lcium intake and cognition on calcium of adolescents in Busan area. Questionnaires including dietary habit, cognition on calcium, preference of calcium rich foods and diet record were developed. The questionnaires surveyed 285 adolescents consisted of 145 6th grade students (younger adolescents group, male: 72, female: 73) and 140 11th grade students (older adolescents group, male: 66, female: 74). Adolescents appeared high cognition for function of calcium and milk but low cognition for nutrients related to absorption of calcium. Younger boy adolescents among them appeared the lowest score of cognition on calcium. The most preferred calcium rich foods in adolescents were ice cream, laver and then yogurt whereas soybean and icefish dried appeared the lowest preference. Calcium intake of adolescents was 491.5∼530.5 mg, 61.4∼66.3% of RDA for Koreans, in female and 554.5∼636.7 mg, 69.3∼70.7% of RDA for Koreans, in male. 64.9% of older girl adolescents showed calcium intakes under 66.7% of RDA for Koreans and this group also appeared less frequency of exercise than other group. Calcium intake of adolescents consisted of 44.6∼53.3% from animal foods and 42.4∼51.4% from plant foods. The adolescents consumed milk and milk products most, then vegetables and fishes as calcium source foods.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calcium intake was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on on calcium of adolesc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GC Olfactometry를 이용한 새우의 휘발성성분 특성평가 이미정 外著 pp.953-957

P&T법에 의한 닭고기의 방사선 유래 휘발성 조사물질 구명 김 훈 外著 pp.958-964

급식기구 표면의 위생상태 및 대장균 소독효과 김이선 ;전영수 ;한지숙 pp.965-970
저장온도와 포장방법에 따른 깍두기의 발효특성 김영애 外著 pp.971-976

다시마와 키토산을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권영미 ;김동한 pp.977-985

항암성과 향미가 개선된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의 제조 김영숙 外著 pp.986-993

열처리 대두로 재배한 콩나물 특성 윤혜현 ;신민자 ;김동만 pp.994-998

염지액의 식염농도와 염지기간이 돼지고기의 염용성단백질의 추출성, 소편화, 보수력, 식염함량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문윤희 外著 pp.999-1004

Maltodextrin이 첨가된 저열량 레이어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송은승 外著 pp.1005-1010

소아비만 치료의 임상영양 교육 효과 김영숙 ;이순영 ;김영옥 pp.1011-1017

한국성인의 체중조절 관련 행위와 식이 섭취 양상 김영옥 pp.1018-1025

부산지역 청소년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 한지숙 ;김정희 pp.1026-1034

단기간의 나트륨 섭취수준이 정상 성인 여성의 혈청 지질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 이영근 外著 pp.1035-1042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공급에 따른 소변 중 이소플라본 배설량 변화에 관한 연구 승정자 pp.1043-1047

식이섬유함량이 다른 쌀이 정상인의 혈당과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 이 찬 ;신재수 pp.1048-1051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식이 베타글루칸이 체지방 형성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강순아 外著 pp.1052-1057

녹차가 유산소 운동 후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 작용 및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미지 ;이순재 pp.1058-1064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유수경 ;이순재 pp.1065-1070

YK-209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소장의 이당류분해 효소 활성과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유수경 外著 pp.1071-1077

키토산 두부가 고지질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노홍균 ;백경연 ;김석중 pp.1078-1083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이승교 ;강희윤 ;박영주 pp.1084-1091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 정하열 ;윤수정 pp.1092-1096

복령(Poria cocos)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김대곤 外著 pp.1097-1101

오미자 추출물이 카드뮴을 급여한 흰쥐의 대사와 신장내 카드뮴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성희 ;신미경 ;정영희 pp.1102-1106

배에서 추출한 Phenolic Compound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김정상 ;나창수 pp.1107-1111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박지윤 外著 pp.1112-1118

Clostridium perfringens KCTC 5014의 성장 억제를 위한 항산화 천연산물의 효과 김종덕 pp.1119-1125

인간 전립선 암세포인 TSU-Pr1에서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과 Bcl-2 단백질의 발현억제 오윤신 外著 pp.1126-1133

종양괴사인자에 의하여 유도된 혈관내피세포의 Cell Adhesion Molecules 발현을 억제시키는 플라보노이드 선별 최정숙 外著 pp.1134-1141

부산향토음식 아귀찜의 표준조리방법 및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김상애 pp.1142-1149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에서 영양성분의 함량 분석 김은정 ;이경임 ;박건영 pp.1150-1154

부산지역 초등학생들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김소희 ;류은순 pp.1155-1162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은 이온의 항균효과 김현진 ;이승철 pp.1163-1166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소장
2 A Syste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agnosis of Dietary Intakes through Internet 소장
3 Relations of Perception of Obesity and Experiences of Weight Control and Body Image in High School Students 소장
4 Korean J Medical Assoc, Vol. 31, pp. 1350 미소장
5 식이 단백질 수준이 어린쥐와 나이든 쥐의 Bone Metabolism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미소장
6 Adv Nutr Res, Vol. 9, pp. 1 미소장
7 Nutritional factors in osteoporosis. 네이버 미소장
8 DIETARY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네이버 미소장
9 Calcium supplement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olescent girls. 네이버 미소장
10 J Bone Miner Res, Vol. 5, pp. 675 미소장
11 Korean J Nutr, Vol. 27, pp. 629 미소장
12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Students in the Sixth Grade Attending a Rural Primary School 소장
13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