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문제점 / 최민숙 인기도
발행사항
한국 아동심리재활학회
수록지명
놀이치료연구. 제6권 제2호 (2002. 12) pp.1-1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303186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문제점 / 최민숙 1

[요약] 1

I. 서론 1

II. 연구문제 3

III.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 3

2. 조사도구 3

3. 연구절차 3

IV. 연구결과 4

1. 통합교육의 준비정도 4

2. 특수학급 준비가 미미한 점 4

3. 3~5세의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통합교육유형 4

4. 장학사가 지적하는 특수학급의 문제점 5

5. 유치원 원감, 교사가 지적하는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운영상 어려운 점 6

V. 논의 7

1. 통합교육의 준비정도 7

2. 특수학급의 준비가 미비한 점 7

3.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통합교육의 유형 7

4. 장학사가 지적하는 특수학급의 문제점 8

5. 유치원 원감, 교사가 지적하는 특수학급 운영상 어려운 점 8

참고문헌 8

[요약] 10

초록보기 더보기

유아특수교육에 있어서 통합교육은 공교육차원에서 양적. 질적으로 확대발전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 우리 나라의 실정으로 공교육차원의 통합교육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특수학급 형태를 근간으로 미약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형태인 유치원 특수학급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각 시도 교육청의 특수교육장학사 196명과 유치부 특수학급의 원감 36명, 유아특수교사 36명 그리고 교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유치원 특수학급은 통합교육을 실시하기에 준비가 부족하거나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실시하기에 가장 준비가 미약한 부분이 유치원의 여건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유형으로 장학사들은 특수학급이라고 생각한 반면, 유치부의 원감들과 유아특수교사들은 특별지도실이라고 생각하였다.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tor,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as part of public education.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n't yet remarkable progress in integrated public education, as just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offer it through special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what problems there were with integrated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96 special education supervisors from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s of education, 36 kindergarten directors in charge of special class, 36 pre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9 vice principals. And it's found that they thought there were little or no due preparations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it's required to take most urgent step to improve the given conditions of kindergarten. The supervisors viewed special class as the best way to conduct integrated education, whereas the kindergarten directo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avored a special guidance room.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