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임신 전반기 여성의 철분 영양상태와 식사의 질 / 윤진숙 ; 박정아 ; 손숙미 인기도
발행사항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1230
수록지명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8권 제6호 (2003. 12) pp.803-81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4002248
원문
외부기관 원문
KISTI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ABSTRACT=803,6,1

서론=803,6,2

연구방법=804,7,1

1. 조사대상=804,7,1

2. 조사내용 및 방법=804,7,2

3. 자료처리 및 분석=805,8,1

연구결과=805,8,1

1. 임신 전반기 여성의 일반적인 특성=805,8,2

2. 생화학적 지표에 의한 철분 영양 상태=806,9,2

3. 임신 전반기 여성의 식습관과 영양상태=807,10,3

4. 체내 철분 결핍 여부에 따른 임신부의 특징 비교=809,12,2

5. 철분 영양상태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810,13,1

고찰=810,13,2

요약 및 결론=811,14,2

참고문헌=812,15,2

초록보기 더보기

임신 여성의 영양관리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임신 전반기 여성을 대상으로 철분 섭취 상태와 식생활을 질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혈액학적 지표들을 측정하여 임신 전반기 여성들의 철분 결핍정도와 철분 영양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1) 조사대상자들의 교육 정도는 대졸과 고졸이 각각 50.4%, 48.7%로서 교육수준이 상당히 높았으며 7.5%가 현재 영양제를 복용하지 않고 있었다. 임신 전 체중과 신장에 의한 BMI 평균치는 20.2이었으며 BMI 19 이하의 저체중에 속하는 여성이 31.3%나 차지하였다. 2) 임신부들의 헤모글로빈 평균값은 1.9 g/dl, 헤마토크리트 평균치는 35.1%이었다. WHO의 임신부 빈혈 판정기준인 헤모글로빈 < 1 g/dl인 사람은 13%, 혈청 페리틴 < 12 ng/ml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40%로 나타나 철분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대처가 매우 시급하였다. 3) 대상자들의 식습관은 과일 섭취만이 양호한 편이었으며 규칙적으로 아침 식사, 적정량의 식사, 식품배합 고려, 채소, 육류 및 생선류, 두류, 우유 및 유제품 섭취습관 등을 포함하는 그 이외의 항목에 대해서는 많은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812·임신 전반기 철분 영양상태 4)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열량이 1646 kcal로 권장량의 76.7%였고 단백질 섭취는 64.2 g으로 권장량의 91.8%였다. 철분 섭취량은 10.5 mg으로 권장량의 52.4%에 불과하여 철분섭취 수준이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타민 C 섭취는 권장량의 14.9%로 한국인 권장량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식품군별 섭취량은 채소와 과일군을 제외한 모든 식품군에서 권장 섭취량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 불량한 상태였다. 5) 혈청 페리틴 수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철분 결핍군과 정상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BMI는 정상군 20.6 ± 2.22, 철분 결핍군 19.7 ± 1.85로서 결핍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상군이 결핍군에 비해 철분을 유의하게(p < 0.05) 높게 섭취하였으나 식품군별 섭취량과 섭취식품가짓수는 철분 결핍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철분 섭취량은 철분섭취빈도 점수, 식품군 섭취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이었고, 철분 섭취 빈도 점수는 임신 전 식사량, 식품군 섭취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헤모글로빈은 임신 전 식사량과 r = 0.205 (p < 0.05)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임신 전반기 여성의 철분 영양상태와 식사의 질 윤진숙 ;박정아 ;손숙미 pp.803-81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임신말 모체·제대혈 및 태반의 아연 함량과 신생아 체중 배현숙 ;안홍석 pp.814-82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한국 여자 노인의 Carotenoid Bioavailability에 미치는 요인 조사 임재연 外著 pp.822-83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초등학교 비만아동 및 정상체중아동의 식행동과 어머니의 식행동 지도 이혜상 ;정운선 ;박응임 pp.831-83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식습관 및 섭식 행동 비교 김은경 外著 pp.840-85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서울지역 여고생의 배변 실태와 음료 섭취에 관한 연구 임은태 ;김영남 pp.856-86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대전 지역 여대생의 유제품 섭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 신은미 ;김경원 pp.867-87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익산지역 대학생의 주거형태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과 식사의 질, 식습관 및 식태도 비교 박성혜 pp.876-88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울산지역 중·장년 층의 식생활 특성과 건강식품 섭취 실태 유수연 ;김혜경 pp.889-9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대전의 대표음식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대전시가 선정한 '六味'에 대한 인지 및 수용성 조사 서윤석 ;정영진 pp.901-90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경로식당 급식서비스 운영관리 실태분석 정현영 外著 pp.919-92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오세인 外著 pp.927-93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도시 저소득층 여잔노인의 고지혈증과 관련된 우울정도와 식생활 요인에 관한 연구 손숙미 ;박진경 ;이홍섭 pp.938-95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인천지역 청소년 여자 운동선수의 식행동, 체형에 관한 인식 및 영양상태 평가 정선희 外著 pp.951-93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전북지역 일부 여대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유현희 ;남정은 ;김인숙 pp.964-97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일부 여대생의 체성분, 식이 섭취실태 및 혈액 임상조사 김정희 ;안혜준 ;이상은 pp.977-9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레반 Diet 섭취에 의한 한국 여성의 체지방 축적 억제와 혈중 지질의 개선 효과 강순아 外著 pp.986-99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Indirect Calorimetry를 이용한 한국 성인의 휴식대사랑 비교 연구 박정아 外著 pp.993-10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大學 給食所의 食水豫側모델 開發 정라나 ;양일선 ;백승희 pp.910-91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emoglobin as a predictor of response to iron therapy and its use in screening and prevalence estimates. 네이버 미소장
2 Untitled 미소장
3 A Survey on Iron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네이버 미소장
4 Iron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Kyungin Area 네이버 미소장
5 Nutritional Status of Rural pregnant Women in Relation to physical Condition of Offspring at Birth 네이버 미소장
6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Hematological Indices for Assessment of Iron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Pregnant Women(Ⅲ) 소장
7 A Cross-Sectional Study of Biochemic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Iron Deficiency by Gestational Age(Ⅱ) 네이버 미소장
8 Untitled 미소장
9 Assessment of the Intake and Availability of Dietary Iron and Nutrition Knowledge in Pregnant Women 소장
10 A Study on the Anemia Prevalence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11 Iron Nutriture and Related dietary Factors in Apparently Healthy Young Korean Women 네이버 미소장
12 Anthropometric and Body Compositional Measurements and Pregnancy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13 Untitled 미소장
14 Untitled 미소장
15 Assessment of Nutrients Intake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Adequacy of Adults Living in Kyungpook Area 소장
16 A Cross-Sectional Study of Nutrient Intakes by Gestational Age and Pregnancy Outcome(Ⅰ) 네이버 미소장
17 Untitled 미소장
18 Assessment of Dietary Iron Availiability and Analysis of Dietary Factors Affecting Hematological Indices in Iron Deficiency Anemic Female High Schoo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9 Correlation of Level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ith Nutritional Intakes and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of Pregnant Women among Low Income Group in Seoul Area 소장
20 Untitled 미소장
21 Untitled 미소장
22 Untitled 미소장
23 Dietary Intakes and Psychological Stress Pregnant Women in Taejon in Relation to Neonatal Birth Weigh 소장
24 Untitled 미소장
25 Changes of the food Preferences and the Practices of Pica of Women in the Latter Half of Pregnancy 소장
26 Interaction of vitamin C and iron. 네이버 미소장
27 Untitled 미소장
28 Iron Status in Pregnant Women and Their Newborn Infants 네이버 미소장
29 Hemoglobin, Hematocrit and Serum Ferritin as Markers of Iron Status 네이버 미소장
30 Common functional Problems during Pregnancy and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Status and Weight of Newborns 소장
31 Anemia and iron-deficiency anemia: compilation of data on pregnancy outcome. 네이버 미소장
32 Untitled 미소장
33 Untitled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