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 머리말=21,23,2
2. 시문학의 전개와 특성=22,24,1
1) 광복 후 1960년까지의 개관=22,24,7
2) 1970년대 이후 시문학=28,30,8
3. 시문학의 현황과 전망=35,37,1
1) 동인지 중심에서 다원화메체로의 전환=35,37,4
2)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지역문화의 정체성=38,40,3
3) 문학단체의 혁신과 대중문화의 질적 제고=40,42,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지역민속문화 활성화에 관한 제언 :대전지역 마을신앙을 대상으로 | 설동호 | pp.9-18 |
|
보기 |
대전 시문학의 회고와 전망 | 손종호 | pp.21-42 |
|
보기 |
문제작 '대전소설'을 기다리며 | 표언복 | pp.43-54 |
|
보기 |
대전 현대 희곡의 회고와 전망 | 김용관 | pp.55-68 |
|
보기 |
대전 수필문학사 | 임관수 | pp.69-84 |
|
보기 |
비평문학의 회고와 전망 | 정순진 | pp.85-94 |
|
보기 |
대전지방의 절의정신 :조선전기 인물을 중심으로 | 김문준 | pp.97-111 |
|
보기 |
송준길의 예설(禮說)과 예사상 :서간문(書簡文)의 예설 분석 | 한기범 | pp.113-138 |
|
보기 |
경주김씨의 회덕 입향과 전개 | 성봉현 | pp.139-154 |
|
보기 |
운평 송능상의 철학과 현실인식 | 송인창 | pp.155-174 |
|
보기 |
대전지방 2002년도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 | 이강승 | pp.177-228 |
|
보기 |
대전 도자문화의 현황과 과제 | 박태우 | pp.229-247 |
|
보기 |
厚德之風의 상징 미륵원 | 최근묵 | pp.249-272 |
|
보기 |
계족산 저녁노을 | 송백헌 | pp.273-304 |
|
보기 |
대전·충청지역의 앉은굿과 『옥추경』 | 장인성 | pp.307-318 |
|
보기 |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임란전후 대전지역 의생활 양식 | 권영숙 | pp.319-349 |
|
보기 |
대전들말두레소리 | 이소라 | pp.351-365 |
|
보기 |
둔곡동(屯谷洞) :금강변에 숨어있는 마을 | 이해준 | pp.367-379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