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서론=163,166,3
1. 고전과 활자매체=165,168,7
2. 고전과 대중매체=171,174,4
3. 메체의 변화와 세계관의 변화=174,177,5
결론=178,181,4
참고문헌=182,185,2
ZUSAMMENFASSUNG=184,187,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近代中國에서의 傳統과 近代 :淸末民初 西學受容 試論 | 金衡鍾 | pp.3-38 |
|
보기 |
근대 중국의 재정개혁에 있어서 전통성과 근대성 再考 :1930년대 廣東省의 징세청부제도의 운영과 실태 | 강진아 | pp.39-89 |
|
보기 |
'偶像'으로서의 近代, '手段'으로서의 近代 :中國의 近代性 再認識을 위한 方法論的 試論 | 田寅甲 | pp.91-125 |
|
보기 |
목적론적 자연관에 대한 재검토 | 박찬국 | pp.127-161 |
|
보기 |
고전과 매체 :파우스트 소재와 현대 대중매체의 관계를 예로 | 오순희 | pp.163-185 |
|
보기 |
예술의 본성과 실존의 문제 | 박준원 | pp.189-209 |
|
보기 |
E. Panofsky의 미술사학에 대한 재고찰 :K. Moxey의 문화정치학적 입장을 중심으로 | 강미정 | pp.211-240 |
|
보기 |
『피네간의 경야』 :꿈 텍스트로서의 소설 텍스트 | 이정호 | pp.243-268 |
|
보기 |
茶山의『孟子』해석과 性 개념 인식 | 琴章泰 | pp.269-301 |
|
보기 |
Judging British Justice :David Hare's Murmuring Judges | 김 유 | pp.303-322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 »What the devil?« —— Twentieth Century Fausts, in: Peter Boerner (Hrsg.), Faust through Four Centuries. Retrospect and Anaysis, Tübingen 1989, S. 197-212 | 미소장 |
2 | (Hrsg.) (1990): Bildlichkeit. Frankfurt a.M. | 미소장 |
3 | Kommentar zu Goethes Faust, Stuttgart 1974. | 미소장 |
4 | (Hrsg.), Historia von D. Johann Fausten. Text des Druckes von 1587; mit den Zusatztexten der Wolfenbütteler Handschrift und der zeitgenossischen Drucke, Stuttgart 1999. | 미소장 |
5 | (Hrsg.), Johann Wolfgang Goethe. Urfaust, Stuttgart 1989. | 미소장 |
6 | Band-gap variation in ternary alloy films ![]() |
미소장 |
7 | Hamburger Ausgabe, Bd. 3,Textkritisch durchgesehen und kommentiert von Erich Trunz, Munchen 1986. | 미소장 |
8 | »Mit Goethes Faust hat mein Roman nichts gemein«:Thomas Mann und sein Doktor Faustus, in: Peter Boerner (Hrsg.), Faust through Four Centuries. Retrospect and Analysis, Tübingen 1989, S. 213-246. | 미소장 |
9 | Faust. Der Tragödie zweiter Teil, in: Walter Hinderer (Hrsg.), Goethes Dramen, Stuttgart 1992, S. 330-387. | 미소장 |
10 | Goethes Faust auf der Bühne (1806-1998). Stuttgart und Weimar: Metzler 1998. | 미소장 |
11 | Konzepte der Kulturwissenschaften, Stuttgart 2003. | 미소장 |
12 | (Hrsg.), Peter Stein inszeniert Faust von Johann Wolfgang Goethe.Das Programmbuch Faust l und II,Köln 2000. | 미소장 |
13 | Götterzeichen, Liebeszauber, Satanskult. Neue Einblicke in alte Goethetexte, München 1982. | 미소장 |
14 | Ein deutscher Mann. Die Geburt einer Legende und ihr Fortleben in den Köpfen, Berlin 1975 | 미소장 |
15 | Peter Steins Inszenierung in Bildern, Köln 2001. | 미소장 |
16 | (Hrsg.), Doctor Fausti Weheklag. Die Volksbücher von D. Johann Faust und Christoph Wagner, Bremen 1980. | 미소장 |
17 | 살아남은 자의 슬픔(김광규 역), 한마당 출판사, 1987 | 미소장 |
18 | 책의 역사, 시공사, 1999 | 미소장 |
19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 미소장 |
20 | 페터 슈타인의 <파우스트> 마라톤 공연 | 소장 |
21 | (2003). 문학텍스트의 전통과 해체 그리고 변신. 서울: 뭄매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