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거세우가 1일 필요로 하는 유지를 위한 에너지요구량을 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지를 위한 에너지요구량 실험은 6개월령에 거세한 평균체중 376.6±12.5kg의 한우 9두를 공시하였고, 사료에너지 섭취수준은 배합사료와 볏짚의 비율을 56:44로 하면서 유지 수준(Maintenance)의 약 0.8배(0.8M), 1.2배(1.2M), 1.6배(1.6M) 섭취할 수 있도록 사료급여량으로 조절하여 에너지 균형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대사체중당 총 건물섭취량은 0.8M, 1.2M 그리고 1.6M이 각각 48.5, 64.9그리고 86.5g/BW0.75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고, 에너지 및 단백질의 농도가 같았던 본 시험사료는 건물섭취량을 증가시켜 총에너지 섭취량을 높여도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가용무질소물의 소화율에는 영향이 없었다. 평균 대사체중당 총 에너지섭취량은 0.8M, 1.2M, 1.6M에서 각각 190.8, 255.8, 340.9kcal/BW0.75 이었고, 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총 에너지섭취량의 약 41% 수준, 뇨로 손실된 에너지는 1.5% 이하였다. 또한 반추위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5~9%의 범위였으며, 체열에 의한 손실량은 40~60% 이었다. 0.8M, 1.2M, 1.6M의 에너지 수준별 대사에너지 섭취량, 92.6, 134.8, 181.0kcal/BW0.75과 각각의 체축적에너지 -20.7, 6.2, 38.5kcal/BW0.75과의 관계식에서 X축 절편값, 즉 유지를 위한 에너지요구량은 대사에너지로 124.3kcal ME/BW0.75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nergy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of Hanwoo steers. Nine Hanwoo steers weighing 376.6±12.5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nd fed rice straw(44%) and concentrate (56%) at three different energy levels; 0.8 times maintenance(0.8M), 1.2 times(1.2M) and 1.6 times(1.6M), respectively. Dry matter intake was 48.5, 65.9 and 86.5g/BW0.75 for 0.8M, 1.2M and 1.6M, respectively. Increase in energy intake with the increased DM intake did not affect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crude fiber, crude fat and nitrogen-free extract. Gross energy intake averaged 190.8, 255.8 and 340.9kcal/BW0.75 for 0.8M, 1.2M and 1.6M, respectively. Energy loss was 41% feces and 0.6~1.5% urine of gross energy intake. Further, energy loss from methane produced during rumen fermentation was 5~9%, while body heat loss averaged 40~60%. Intercept of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ME intake and retained energy indicated that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was 124.3kcal ME/BW0.7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Microsatellite DNA형 분석을 이용한 더러브렛 말의 친자감정 조길재 pp.129-136

범주형 자료를 포함한 다형질 임계개체모형에서 유전능력 추정 알고리즘 이득환 pp.137-144

종돈의 경제 형질의 유전모수 추정에 관한 연구 최진성 外著 pp.145-154

Developing a gene-trapping approach for gene identification using nuclear transfer in zebrafish 이기영 pp.155-164

거세 및 도축시기가 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춘 外著 pp.165-172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에 미치는 사료 중 크릴 밀의 영향 고태송 外著 pp.173-182

사료 중 크릴 밀을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급성기 반응의 영향 박인경 外著 pp.183-192

거세한우의 유지에너지 요구량 결정 김경훈 外著 pp.193-200

퇴적발효 육계분의 면양에서의 조사료적 가치 평가 곽완섭 ;백용현 ;지경수 pp.201-208

쑥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제룡 外著 pp.209-216

한국 전통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 진상근 外著 pp.217-226

호밀의 품종 및 수확시기가 사초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병생 外著 pp.227-234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형질전환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의 영향 이상훈 ;우현숙 ;이병현 pp.235-242

배지첨가물질이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종자유래 캘러스 배양에 미치는 영향 우현숙 ;이병현 pp.243-250

생물학적 축산폐수 처리공정의 자동제어 방법 및 제어 인자의 안정성 김원용 ;정재현 ;라창식 pp.251-260

돈분 퇴비화 중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구명 김태일 外著 pp.261-272

이축분종(異畜糞種) 퇴비에서의 중금속 화학종분화(化學種分化) 고한종 ;최홍림 ;김기연 pp.273-282

축분 퇴비화시스템 운용방식에 따른 실내 대기오염 평가 김기연 外著 pp.283-294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71) Proposal to use time spent for chewing as an index of the extent to which diets for ruminants possess the physical property of fibrousness characteristics of roughages, 미소장
2 (1989) Plane of nutrition and season effects on energy maintenance requirements of beef cattle, 미소장
3 (1989) Genetic variation in energy expenditures of monozygous twin beef cattle at 9 and 20 months of age, 미소장
4 (1970) Selection criteria for beef cattle for the future, 미소장
5 (1979) Seasonal energy expenditures and thermoregulatory response of bison and cattle, 미소장
6 (1976) The net availabilities of ME for body gain of two pelleted diets offered to Hereford×Friesian castrate males over different live-weight ranges, 미소장
7 (1984) Energy utilization by mature nonlactating cows of different types, 미소장
8 (1985) Energy utilization by Hereford and Simmental males and females, 미소장
9 (1986) Effect of previous nutri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aintenance energy costs of growing lambs, 미소장
10 (1967) Estimation and prediction of the energy value of feeds for ruminants In Energy Metabolism of Farm Animals, 미소장
11 (1972) Beef cattle type for maximum efficiency, 미소장
12 (1971) Energetic effciency of beef and dairy steers, 미소장
13 (1984) Characterization of postweaning traits of Simmental and Hereford bulls and heifers, 미소장
14 (1991) Effects of seasonal environ-ment on the maintenance requirement of mature beef cows, 미소장
15 (1968) A system for expressing net energy requirements and feed values for growing and finishing beef cattle, 미소장
16 (2000) NNutrient requirements of domestic animals: Nutrient requirements of beef cattle. , 미소장
17 (1969) Calculated net energy requirements of lactating and nonlactating Hereford cows, 미소장
18 (1969) Dietary factors influencing digestion of starch in the rumen and small and large intestine of early weaned lambs, 미소장
19 (1975) Energy exchanges associated with eating and rumination in sheep given grass diets of different physical forms, 미소장
20 (1988) Maintenance requirements and energetic efficiency of cows of different breed, 미소장
21 (1981) Genetic control of equilibrium maintenance effciency in cattle, 미소장
22 (1980) Energy utilization by growing calves Effects of age, 미소장
23 (1977) Prediction of the energy requirements for growth in beef cattle Body weight and heat production in Hereford×British Friesian bulls and steers, 미소장
24 (1968a) 肉牛의 飼養標準に關する硏究 大麥とふすまの蒸煮が和牛の肥育飼料の利用效率に及ぼす效果, 미소장
25 (1968b) 肉牛의 飼養標準に關する硏究 V, 미소장
26 (2000) 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 : 日本飼養標準, 肉用牛., 中央畜産會. 미소장
27 (1992a) 사양시험에 의한 한우 경산우의 영양소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비유시 에너지 및 단백질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미소장
28 (1992b) 사양시험에 의한 한우 경산우의 영양소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임신시 에너지 및 단백질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미소장
29 (2002) 한국사료성분표. ,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미소장
30 (1991) 한우 수소의 유지 및 증체시 에너지 대사와 단백질 이용효율에 관한 연구, 미소장
31 (2003a) 절식대사 시험에 의한 한우 수소의 유지에너지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미소장
32 (2003b) 에너지균형법에 의한 한우 수소의 유지 대사에너지 요구량, 미소장
33 (1992a) 한우 육성빈우의 에너지와 단백질요구량 추정 대사시험에 의한 한우 육성빈우의 에너지와 단백질 요구량 결정, 미소장
34 (1992b) 한우 육성빈우의 에너지와 단백질요구량 추정 사양시험에 의한 한우 육성빈우의 에너지와 단백질 요구량 결정, 미소장
35 (1983) 대사시험에 의한 한우 성빈우 유지시 양분요구량에 관한 연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