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 김태식 1

I. 왜 다시 순수비인가? 1

II. 진한시대 중국의 봉선대전과 그 필요조건들 4

1. 봉선대전(封禪大典) 4

2. 진 시황제의 봉선 5

3. 봉선의 언설과 직설 11

4. 봉선문(封禪文) : 봉선의 기념비 15

III. 진흥왕과 신라의 봉선대전 19

1. 진흥왕 순수비 : 봉선의 기념비 19

2. 천명(天命)의 서징 석굴 도인 22

3. 연호 태창과 봉선제 26

4. 신기(神祇)와 사방군주(四方軍主) 29

5. 순수 : 순무와 사냥 31

6. 금단(金丹)과 약사(藥師) 32

IV. 결론 36

[Abstract] 3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高句麗의 對外戰爭과 騎兵戰術 :특히 漢族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李弘斗 pp.5-28

보기
高句麗 東盟祭 序說 강경구 pp.29-55

보기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김태식 pp.57-94

보기
『魏書』의 黑齒國은 어디인가? :廣西 百濟鄕은 黑齒國의 도읍지 蘇鎭轍 pp.95-116

보기
新羅 元聖王 卽位初의 政治的 推移와 그 性格 신정훈 pp.117-164

보기
在唐 新羅人社會의 硏究現況과 課題 권덕영 pp.165-195

보기
古代 銘文 陶版의 年代測定 및 材質의 成分分析에 관한 硏究 徐廷昊 pp.197-227

보기
발해의 왕권과 대중국무역 윤재운 pp.229-265

보기
宋과 高麗의 무역에 관한 몇 개 문제 朴眞奭 pp.267-287

보기
조선 전기 여진족의 2대 종족 :오랑캐(兀良哈)와 우디캐(兀狄哈) 金九鎭 pp.289-333

보기
왜란·호란 시기 조선의 對中國 輸入政策에 대한 연구 李賢淑 pp.335-385

보기
신간회운동기 ML계의 민족협동전선론과 신간회 성격규정의 변화 김인식 pp.387-416

보기
近刊 한·중 역사교과서의 양국 관련내용 검토 :고급중학교(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張世胤 pp.417-45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