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배경: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진단을 위한 기존의 검사 방법들은 한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VEGF를 이용한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 진단의 유용성과 기존의 검사 수치들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막수를 가진 총 35명의 환자를 악성종양군(n=10), 양성종양군(n=5), 염증성 질환군(n=10), 그리고 기흉군(n=10)으로 나누어 전향적 연구를 하였다. 각 군으로부터 흉막수를 채취하여 혈구검사, 생화학적 검사(포도당, 단백질, LDH, ADA), 그리고 VEGF를 측정하였다. 결과: 포도당은 염증성 질환군이 양성종양군(60.5 36.09 mg/dL vs. 162.0 19.80 mg/dL, p=0.011)과 기흉군 (60.5 36.09 mg/dL vs. 107.3 15.99 mg/dL, p=0.010)에 비해 낮았고, 양성종양군은 기흉군에 비해 높았다 (162.0 19.80 mg/dL vs. 107.3 15.99 mg/dL, p=0.004). ADA는 염증성 질환군이 악성종양군(87.9 42.62 IU/L vs. 27.7 31.04 IU/L, p=0.024)과 기흉군(87.9 42.62 IU/L vs. 38.5 33.32 IU/L, p=0.047)에 비해 높았다. VEGF는 기흉군에 비해 악성종양군(82.9 58.49 pg/dL vs. 364.3 433.83 pg/dL, p= 0.026)과 염증성 질환군(82.9 58.49 pg/dL vs. 335.8 383. 34 pg/dL, p=0.048)에서 높았다. 악성종양군에서의 VEGF가 양성종양군(364.38 433.83 pg/dL vs. 53.3 22.20 pg/dL, p=NS)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VEGF 전체 값과 다른 검사치들의 전체 값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진단을 위한 방법 중 농흉에서는 포도당이, 결핵에서는 ADA가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VEGF는 맥관형성과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는 질환인 악성종양과 염증성 질환에서 다른 군에 비해 증가하나 이 두 군 사이를 감별 진단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악성종양에서 양성종양에 비해 VEGF가 높은 경향을 보여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VEGF가 다른 기존의 검사수치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진단을 위해 앞으로 새로운 검사방법이나, 기존의 검사 수치와 새로운 조합을 하는 데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Background: None of the currently available strategi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pleural effusion are ideal. We tri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VEGF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pleural effusion and find out if VEGF were correlated with the established markers. Material and Method: 35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divided into malignant effusion (n=10), benign effusion (n=5), infectious effusion (n=10), and pneumothorax (n=10), respectively. The pleural fluids from each group were examined for differential cell count, chemistry (glucose, protein, LDH, and ADA), and VEGF. Result: Glucose level was lower in infectious effusion compared with benign effusion (60.5?6.09 mg/dL vs. 162.0?9.80 mg/dL, p=0.011). ADA level in infectious effusion was higher compared with malignant effusion (87.9?2.62 IU/L vs. 27.7?1.04 IU/L, p=0.024). Malignant effusion (p=0.026) and infectious effusion (p=0.048)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VEGF than that of pneumothorax. VEGF level was substantially higher in malignant effusion compared with benign effusion (364.38?33.83 pg/dL vs. 53.3?2.20 pg/dL, p=NS). The pleural VEGF level did not correlate with the other markers. Conclusion: The measuring pleural VEGF may be helpful in diagnosing malignant and infectious pleural effusion that increase angiogenesis and vascular permeability, but it can not discriminate between the two. The pleural VEGF may not be correlated with the established markers. The measurement of pleural VEGF might discriminate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effus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심실대혈관 연결 이상에 대한 변형된 lecompte 술식의 장기 성적 임홍국 ;한국남 ;김웅한 ;이정렬 ;김용진 ;노준량 pp.727-734

심정지 시 냉혈 심정지액과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용액의 심근보호 효과에 대한 비교 분석 이덕헌 ;박남희 ;금동윤 ;최세영 ;이광숙 ;유영선 pp.735-741

On-X 기계판막을 이용한 판막치환술의 단기성적분석 정성철 ;김인섭 ;김우식 ;신용철 ;유환국 ;김병열 pp.742-748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한 on-pump CABG와 off-pump CABG의 비교연구 윤영남 ;유경종 ;이교준 ;김치영 ;안지영 ;오영준 pp.749-754

허혈성 좌심실 부전증에서의 좌심실내 원형 패취성형술 조광리 ;임 청 ;최재성 ;홍장미 ;김형렬 ;김기봉 pp.755-761

비체외순환 및 체외순환하에서의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임상 고찰 김우식 ;안재범 ;김인섭 ;정성철 ;배윤숙 ;유환국 ;김병열 pp.762-767

인공 건삭을 이용한 승모판성형술의 임상적 고찰 이석기 ;김욱성 ;김정중 ;오삼세 ;백만종 ;나찬영 pp.768-773

외상성 흉부대동맥 파열 수술 함시영 ;주석중 ;송 현 ;이재원 ;송명근 pp.774-780

흉막수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진단적 의의 김현구 ;최영호 ;조원민 ;류세민 ;조양현 ;심재훈 ;손영상 ;김학제 pp.781-786

급성 사지 허혈증의 중단기 수술 성적 김종석 ;김대환 ;최창석 ;황상원 ;김한용 ;유병하 pp.787-792

심장 박동을 유지하면서 시행한 Norwood 술식 곽재건 ;김웅한 ;최창휴 ;김진현 ;정요천 ;오세진 ;이정렬 ;김용진 ;노준량 pp.793-795

Damus-Kaye-Stansel 술식을 받은 Taussig-Bing 기형의 환자에서 관상동맥 이식을 통한 완전 교정술 :1예 보고 황여주 ;이창하 ;한미영 ;전양빈 ;박철현 ;박국양 pp.796-799

폐기종 환자에서 기낭내 흡인술 [변형 Monaldi술식]을 이용한 거대 폐기낭의 치료 :1예 보고 이송암 ;김광택 ;손호성 ;이성호 ;박성민 ;선 경 ;김요한 pp.800-804

급격히 진행한 원발성 폐 융모막 암종 장성욱 ;박정옥 ;이계영 ;이원애 ;류재욱 ;박성식 ;서필원 ;김삼현 pp.805-808

원발성 종양의 증거 없이 발생한 간세포암종의 흉벽 전이 :1예 보고 김 혁 ;양주민 ;강정호 ;김영학 ;정원상 ;전순호 pp.809-812

흉강경 수술을 이용한 횡격막 파열의 치유 :1예 보고 김연수 ;류지윤 ;장우익 ;김욱성 ;김수영 ;이성순 pp.813-816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3) The incidence of pleural effusion in a well-defined region, 미소장
2 (1995) A possible role of TGF-beta in the formation of malignant effusions, 미소장
3 (1997) TNF-alpha causes reversible in vivo systemic vascular barrier dysfunction via NO-dependent and -independent mechanism, 미소장
4 (198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a secreted angiogenic mitogen, 미소장
5 (2002) Diagnostic value of interleukin-1a,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 in pleural effusions, 미소장
6 (1993) Vascular permeability factor(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guinea pig and human tumor and inflammatory effusion, 미소장
7 (1983) Tumor cells secrete a vascular permeability factor that promotes accumulation of ascites fluid, 미소장
8 (1996) Expression of vascular permeability fac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y melanoma cells increases tumor growth, angiogenesis, and experimental metastasis, 미소장
9 (1996) The configuration of fibrin clots deter-mines capillary morphogenesis and endothelial cell migration, 미소장
10 (2002)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pleural effusions, 미소장
11 (199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associated with lung cancer, 미소장
12 (2000)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malignant an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미소장
13 (1983) Test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pleural effusion, 미소장
14 (1995) Clinical manifestrations and useful tests in pleural diseases, Baltimore: Williams & Wilkins 미소장
15 (199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pleural fluid, 미소장
16 (199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inflammatory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미소장
17 (1997) TGF beta-1 regulation of VEGF production by breast cancer cells, 미소장
18 (1997) Vascular permeability factor/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a multifunctional angiogenic cytokine, 미소장
19 (1997) Malignant pleural effusion: would the real cause please stand u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