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코퍼스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문법규칙 수용에 미치는 영향 / 김향신 ; 안병규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목적 및 이론적 배경 2

1. 연구목적 2

2. 이론적 배경 2

III. 연구방법 5

1. 연구가설 5

2. 연구절차 5

3.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12

IV. 결과 및 논의 13

1. 결과 13

2. 논의 18

V. 결론 20

참고문헌 21

[저자소개] 23

초록보기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rpus-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n the intake of grammar rul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grounded on three theoretical backgrounds: Grammar teaching based on a large amount of input enhances intake; peer interaction promotes learners’ particip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overy instruction stimulates learners’ motivation and helps them notice rules, leading to the conversion of input into intak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consisting of 60 students. The subjects studied six grammar rules over a period of six weeks. Group 1 did small group activities with the materials extracted from the COBUILD corpus, while Group 2 was given the teacher’s explanation of each rule with some examples designed to show how the target rule works. After each grammar lesson, both groups took a post-t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a) corpus-based grammar learning helps engage learner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raise their grammar awareness, (b) corpus-based learning facilitates noticing and identifying the target form better than its meaning and (c) peer interactions in a small group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take of grammar rul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Syntactic ambiguity resolution in L1 and L2 Korean :a study of relative clause attachment 권수옥 ;이다미 pp.1-19

보기
Interactive language use and emotional aspects of using computers for class discussions 한경선 pp.21-46

보기
Critical reading practice for EFL readers 김영미 pp.47-76

보기
Listening activities in Korean EFL contexts :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types 정우현 pp.77-100

보기
Difficulty hierarchy of English unaccusative verbs for Korean learners 김은희 pp.101-123

보기
What works with struggling EFL learners? :the use of literature and E-mail writing for L2 literacy development 김혜리 pp.125-148

보기
An error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차경애 pp.149-169

보기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채점자 엄격도 반영 및 유창성 측정 타당성 최인철 pp.171-194

보기
인터넷 실시간 의사소통도구를 활용한 영어구두언어능력 신장 방안 한종임 pp.195-226

보기
초등학교 영어 전자교과서 개발 단계와 방향 김진석 pp.227-247

보기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에 의한 말하기 시험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이영식 ;신상근 pp.249-265

보기
비조직적 인터뷰 시험의 유용성 탐색 :거짓 유창성과 과업 유의미성 중심으로 신동일 pp.267-295

보기
다양한 활동의 단계별·수준별 통합적 읽기·쓰기 지도가 학습자들의 문자언어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영철 pp.297-324

보기
코퍼스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문법규칙 수용에 미치는 영향 김향신 ;안병규 pp.325-347

보기
제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 분석 최진황 ;이 윤 pp.349-375

보기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교육과정 모형개발연구 성기완 ;표경현 ;이현명 pp.377-406

보기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의 의사소통적 특성 분석 조국현 pp.407-425

보기
독일어 기초능력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제안 :현실진단과 원칙적 규정 이원경 pp.427-441

보기
日本 明治·大正期의「修身」교과서 연구 :國民性 形成의 이데올로기와 修身書 이병담 pp.443-466

보기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교육 실태 연구 :한국어교재를 중심으로 김정은 pp.467-489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Systems of student and teacher motivation: Toward a qualitative definition. 네이버 미소장
2 Teachers' theories in grammar teaching 네이버 미소장
3 Bruner, J. S. , (1979) The growth of representation processes in childhood (In Going beyond the information given: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knowing), New York: Norton 미소장
4 Day, R. R, (2003) A critical look at authenticity,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Asia TEFL International Conference, Busan, Korea 미소장
5 Dillenbourg, P., Schneider, 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Internet, 미소장
6 Psychological Processes in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Group Dynamics and 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7 Interpretation Tasks for Grammar Teaching 네이버 미소장
8 The Effects of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Direct Object Pronouns in French as a Second Language 네이버 미소장
9 Shifting the focus from forms to form in the EFL classroom 네이버 미소장
10 Hall, N, (1991) The anti-grammar grammar book, London: Longman 미소장
11 Harmer, J, (2001) The practic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Essex, England: Pearson Education Limited 미소장
12 Hatch, E. , (1983) Simplified inpu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Pidginization and creolization as language acquisition) , Rowley, MA: Newbury House 미소장
13 Grammar in teacher education: The role of a corpus 네이버 미소장
14 Johnson, D. W, (1985) Cooperative learning: Warm-ups, grouping strategies and group activities, Edina, MN: Interaction 미소장
15 Krashen, S. D, (1985)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s, London: Longman 미소장
16 Leech, G, (1994) A communicative grammar of English, New York: Longman 미소장
17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네이버 미소장
18 Interaction of the TEK and TIE receptor tyrosine kinases during cardiovascular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9 Pica, T, (1985) Input and interaction in the communicative language classroom: A comparison of teacher-fronted and group activities (In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wley, MA: Newbury House 미소장
20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What Sort of Input is needed for Intake?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