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국회의원과 유권자 : 전자우편의 연계기능 / 朴載昌 1

[요약] 1

I. 서론 2

II. 국회의원 전자우편의 연계기능 3

III. 국회의원 전자우편의 대 유권자 연계 정도 6

IV. 국회의원 전자우편의 지역구 연계 기능 9

V. 국회의원 전자우편의 정책 연계 실태 12

VI. 결론 15

【참고문헌】 17

[영문요약] 18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회의원이 활용하는 전자우편이 그의 유권자와의 관계에서 실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회의원이 활용하는 전자우편이 지역구민과의 관계에서 발현하는 연계기능의 실체를 추적해 보았다. 연구결과 전자우편이 국회의원과 유권자 사이를 연계시켜주는 대의기구 중 하나로 평가되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국회의원이 수신하는 전자우편의 총량 자체가 부족하며, 이에 대해 답신하는 비율도 매우 낮았다. 보다 심각한 것은 국회의원 전자우편의 지역구 연계 기능 및 정책 연계 실태를 살펴보았을 때, 그나마 전달되는 전자우편이 입법과정의 실질적인 내용의 개선이나 변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전자우편을 민주주의의 철학적 원리나 대의과정의 실질적 필요와 수요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시대적 유행이나 단순히 관리적 차원의 수요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설치하거나 운영하는데서 비롯되는 결과로 추측된다. 즉 전자우편의 민주적 용도에 대한 인식이 실체화하기 이전 단계라 할 수 있다. 이는 전자우편을 단순히 제도 차원에서 도입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철학적 원리에 조응하도록 활용하는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재교육 과정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전자우편의 연계기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자우편에 대한 국회의원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이고 대의과정의 실질화를 통해 사실상의 전자우편에 대한 수요를 높이는 일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통합이론으로서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의 국제적 적용상황에 대한 비교연구 :대북통합정책에 주는 정책적 함의 金容宇 pp.5-25

보기
21세기를 맞이한 지방문화육성 전략 심응섭 pp.27-49

보기
러시아 관료체제 연구 梁庭熏 pp.51-77

보기
정부업무평가제도의 평가주체에 관한 연구 :민간인 중심의 평가를 중심으로 金周煥 pp.79-105

보기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 추이와 내용에 관한 분석 :문화예산을 중심으로 李秉亮 pp.107-132

보기
Shaping and taking EU-policies :Europeanization 李宗玹 pp.133-155

보기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와 시민단체간 연결망 분석 崔昌鉉 ;史得煥 pp.157-181

보기
정책분석가의 윤리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洪準賢 pp.183-204

보기
국회의원과 유권자 :전자우편의 연계기능 朴載昌 pp.205-221

보기
Experiential learning :teaching macro-organizational theory using Morgan's metaphors of organizations 이창원 pp.223-236

보기
공무원 부패의 원인과 방지전략에 관한 분석 李永均 pp.237-265

보기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지원방안 黃振洙 ;全信旭 pp.267-292

보기
지방공무원 계급체계 개선방안 한영수 ;김필두 pp.293-318

보기
실적제 공무원 인사제도의 변형적 집행에 관한 연구 :충청지역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 여성공무원 우대제도에 대한 인식과 태도 李永愛 pp.319-351

보기
이익집단간의 이해관계 분석 :의약분업정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李源旭 ;李大洙 pp.353-381

보기
한국사회의 복지지향적 정보화의 필요성 고찰 李東洙 pp.383-407

보기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oleman, (1999) Parliament in the Age of the Internet,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 Hansard Society, (2000) E-Guide for Parliamentarians: How to Be an Online Representative, 미소장
3 (2002) Enhancing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UK?, 미소장
4 House of Commons Information Committee, (2002) Digital Technology: Working for Parliament and the Public., 미소장
5 Rosen, Tommy, (2001) E-Democracy in Practice: Swedish Experiences of a New Political Tool., 미소장
6 van Dijk, (2000) Models of Democracy and Concepts of Communication in Hacker Kenneth L & Jan van Dijk eds. Digital Democracy: , 미소장
7 Wired Magazine, (1997) The Digital Citizen. Wired. December., 미소장
8 박 재 창, (2003)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1983년,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Role of the Committee Professional Staff in Korean National Assembly).Role of the Committee Professional Staff in Korean National Assembl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