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론=560,38,2

연구방법=561,39,1

설문조사 대상=561,39,2

설문조사 내용=562,40,1

설문조사 방법=562,40,1

적정인력의 추산 방법=562,40,2

연구결과=563,41,1

국내 정신의료기관간의 의료 인력량 비교=563,41,1

외국 정산의료기관과의 의료 인력량 비교=564,42,1

적정 진료서비스량을 조사를 통한 적정 의료 인력량=564,42,2

직접 질문을 통한 적정 의료 인력의 추산=565,43,1

고찰=565,43,1

국내 정신의료기관의 의료 인력 수준=565,43,1

외국 정산의료기관의 의료 인력=565,43,1

적정 진료서비스량 및 적정 의료 인력=565,43,2

연구의 제한점=566,44,2

REFERENCES=567,45,1

jpg

Fig. 1. Optimal distribution of work time among psychiatrists and nurses.=564,42,1

초록보기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mise appropriate level of medical manpower of mental hospital from the perspectives of clinical experts, psychiatrist and psychiatric nurse.

Methods:First, we wlleded data on medical manpower of domestic mental hospitals and foreign mental hospitals. Next, psychiatrists and psychiatric nurse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We estimated the optimal level of medical manpower examining appropriate volume of medical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psychiatric patients, and analizying the survey carried out by direct questions.

Results:The number of psychiatrists of group A of private mental hospitals was 1.7 times more than that of public mental hospitals;when the number of psychiatrists in public mental hospitals was regarded as 1.0, and group B of private mental hospitals was 0.5 times, and the university hospitals 8.2 times. The number of psychiatric of group A of private hospitals was 1.5 times more than that of public mental hospitals;when the number of psychiatric nurses in public mental hospitals was regarded as 1.0, the group B of private mental hospitals was 0.6 times and university hospitals was 2.6 times. The foreign mental hospitals had more medical manpowers in all occupations than domestic mental hospitals. The number of psychiatrists estimated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as 11.1 persons and the number of psychiatric nurses was 26.3 persons per 100 beds, and the number of psychiatrists estimated 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was 4.3 persons per and the number of psychiatric nurses was 20.8 persons per 100 beds.

Conclusion:The estimated optimal number of psychiatrists for mental hospital is 4.3 persons and of psychiatric nurses was 20.8 persons per 100 beds. However, these numbers can be flexible depending on the ratio of short-term acute patients and long term chronic pati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난 4년간의 학회지 "신경정신의학" 심사 평가보고 오병훈 ;권준수 ;남궁 기 ;김승현 ;지익성 ;김창윤 ;하규섭 ;박원명 ;김성곤 ; pp.537-544

보기
신경정신의학의 지향점에 관하여 :독창성과 과학적 신뢰성 김율리 pp.545-548

보기
과대산포가 존재하는 이항형 자료의 회귀분석방법 김동기 ;한무영 ;전우택 ;명성민 ;송기준 pp.549-552

보기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기초증상에 대한 연구 민성길 ;김유진 ;손상원 ;송현주 pp.553-559

보기
정신과 전문병원에서 적정 의료 인력의 추산 이동은 ;서동우 ;이태경 ;박종익 ;홍진표 ;권수희 ;이종일 ;정은기 ;장동원 pp.560-567

보기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세가지 청각 자극 "oddball" 모형에 의한 사건관련전위 P3a와 P3b 진용탁 ;박이진 ;남지민 ;한상익 ;전양환 pp.568-575

보기
초경 시작 시기가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 김진훈 ;윤선욱 ;배명지 ;임선진 ;정은기 ;장동원 pp.576-582

보기
한국형 기분장애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전덕인 ;윤보현 ;정한용 ;하규섭 ;신영철 ;박원명 pp.583-590

보기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및 건강 대조군과 비교 심민영 ;연규월 ;김하경 ;김영철 ;홍영선 ;이지수 ;이정희 ;류정화 ;하창윤 ; pp.591-596

보기
쉼터에 거주중인 가출 청소년의 정신건강상태와 가족인자 김현수 ;김선영 ;조선미 ;정영기 ;양재진 ;신윤미 pp.597-603

보기
비행청소년들의 충동성과 뇌기능에 대한 연구 이현정 ;신윤오 ;안동현 ;홍성도 ;이원태 pp.604-611

보기
어느 농촌 지역 거주 노인에 대한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의 6년간 2회 주적 조사 박종한 pp.612-618

보기
장애 평가 후 5년 경과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에 대한 연구 박준순 ;노승호 pp.619-628

보기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인자 신희영 ;이 훈 ;신일선 ;김재민 ;김성완 ;양수진 ;윤진상 pp.629-634

보기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요양급여 등의 적정성 평가), 미소장
2 (2001)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모형 및 체계개발에 관한 연구, 미소장
3 (1995) 국립특수병원 운영개선방안 연구, 한국의료관리연구원 미소장
4 (1997) 국립서울정신병원 장기발전계획연구,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미소장
5 (1999) 정신과 전문의 수급 추계, 미소장
6 고노다이 병원 홈페이지, 미소장
7 정신질환 수가 기준, 미소장
8 (2000) 정신의료서비스 제공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