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 박수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여성학회, 2003.04.30
수록지명
한국여성학. 제19권 1호 (2003. 4), pp.43-8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5121234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 박수미 1

[요약] 1

I. 문제제기 1

II. 선행연구검토와 연구가설 3

1. 선행연구검토 3

2. 연구가설 7

III. 자료와 연구모형 8

1. 자료 8

2. 분석변수와 연구모형 9

IV. 분석 결과 12

1. 자료의 횡단적 설명 12

2. 자료의 종단적 설명 16

V. 맺음말 31

참고문헌 34

〈Abstract〉 37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잦은 경력단절로 특징지워지는 여성취업 가운데,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두 번째 취업 이행 유형에 세대효과가 발견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취업력 자료(job history data)를 대상으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들의 '학력', ‘첫 취업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요소는 여성들의 재취업 이행과 재퇴장 이행 둘 다에 대해서 정(+)적 효과를 지니지 않았다. 반면, 여성들의 생애과정상의 변화들, 예를 들어 ‘결혼’, ‘첫 출산’, ‘6세 미만의 자녀양육기’ 등과 같은 생애사건은 여성들의 재취업률을 유의미하게 낮췄다. 동시에 ‘둘째, 셋째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들은 그 동안 미뤄왔던 재취업을 적극적으로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퇴장에 대한 분석결과에선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퇴장 행위가 ‘연령’의 증가와 생애과정단계의 변화에 따른 시간의존적인 퇴장 행위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저조한 여성들의 취업 상태를 통해서, 여성들이 생애과정의 일정한 단계 혹은 일정한 연령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럽게 일생의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이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한국사회 여성들의 취업유형이 잦은 ‘경력변동’으로 특징지워지기보다는 취업경력상의 ‘저열함’으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야기하는 노동력 수요의 측면과 정책적ㆍ규범적 측면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tern of the Korean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s which determine women's reentry into and re-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investigates labor market dynamic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event history analysis, to conceptualize labor market behaviors. we find that human capital variables - education, job career, duration of previous work, type of previous work and so on -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and reexit. Instead, life course variables - marriage, childbearing, existence of young children under age 6 and so on -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Only the ‘ag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women's second career interruption. we also find that the pattern of Korea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does not change across the birth cohort. Most of all we find an interesting fact that women's total duration of employment and total numbers of employment are too low. Korean women's pattern of labor force supply is very poor picture to debate which is more proper in two competing hypotheses - ‘revolving doors theory' and ‘accumulated disadvantage effect theory'.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varies remarkably by women's life course stages. So this study calls for more sophisticated, rather than simpler, models of women's labor force behavior and policy about women's work. Because women's employment decisions are products of the complex interplay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2. 《한국의 인구》통계청. 미소장
2 『여성취업 인력의 동태적인 변화분석』,한국여성개발원,1999. 미소장
3 여성노동시장이론 : 여성의 가사노동과 시장노동의 변증법 소장
4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소장
5 여성 노동력의 노동시장 전이과정의 동태적 분석 네이버 미소장
6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소장
7 (2001). 고학력 여성 경제활동의 국제 비교.『여성과 직업』, 부산대 여성연구소. 미소장
8 한국여성개발원(1999),『1998여성통계연보』,’98 연구보고서 230-2쪽. 미소장
9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소장
10 1995. Survival analysis using SAS: A practical guide. Cary, North Carolina: SAS Press. 미소장
11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Ha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2 Why Participation Rates of Black and White Wives Differ 네이버 미소장
13 Unmarried Motherhood: Recent Trends, Composition, and Black--White Differ ences 네이버 미소장
14 Revolving Doors Reexamined: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over the Life Course 네이버 미소장
15 (1996),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ty Surrounding FirstChildbirth of Married Women" (Dissertation), Univ. of Wisconsin 미소장
16 Work History, Labor Force Attachment, and Earnings Differences between the Races and Sexes 네이버 미소장
17 Dynamics of Women's Employment Patterns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네이버 미소장
18 (2001), The Influence ofQualifications on Women's Work Histories, Employment Status andEarnings at Age 33,European Sociological... 미소장
19 The Failure of Human Capital Theory to Expla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네이버 미소장
20 After the Starting Line: Blacks and Women in an Uphill Race 네이버 미소장
21 Preference or Necessity? Changing Work Roles of Black and White Women, 1973-1990 네이버 미소장
22 (1993), "Characterizing Leave for Maternity: Modeling the NLSYData", RAND Labor and Population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미소장
23 (1985).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Women's Labor Force Activity, in life Course Dynamics: Trajectories and Transitions,... 미소장
24 LABOR-FORCE REENTRY AMONG U.S. HOMEMAKERS IN MIDLIFE: A Life-Course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25 Labor Supply Behavior of Prospective and New Mothers 네이버 미소장
26 1991. Event History Analysi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