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문학 작품 토의 시 교사의 질문 유형이 아동의 반응과 독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심유미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과제 3
II. 이론적 배경 4
1. 토의 수업 4
2. 교사의 질문 유형 5
3. 독자 반응 유형 7
4. 독서 태도 9
III. 연구의 수행 10
1. 대상 10
2. 도구 12
3. 설계 14
4. 절차 14
IV. 연구 결과 16
1. 결과 16
2. 논의 21
V. 결론 24
참고 문헌 25
〈초록〉 29
〈Abstract〉 30
이 연구는 문학 작품 토의 시 교사의 질문 유형이 아동의 반응과 독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실험을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0명을 두 개의 실험 집단에 2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매 주 1회 90분 수업을 7회 실시하였다. 교사의 질문 유형은 인지적 유형과 정의적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매 수업마다 다른 텍스트를 사용하여 총6편의 작품을 이용했다. 반응 분석 기준은 Purves(1968)의 반응 코드 목록이었고, 독서 태도 검사는 덴버 독서 태도 검사지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작품 토의 시 교사의 질문 유형이 아동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p<.001). 반응 경향을 대범주 별 빈도로 정리하면 인지적 유형의 질문 집단이 지각, 연계-몰입, 해석, 평가, 기타 순서, 정의적 유형의 질문 집단은 연계-몰입, 해석, 기타, 지각, 평가 순서였다. 대범주 별 반응을 하위 범주로 세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두 집단 모두 연계-몰입, 지각, 해석은 작품의 내용에 대한 반응이, 평가는 정서적 평가의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평균 진술문 수로 비교한 반응 양은 정의적 유형의 질문 집단이 유의하게 많았다.
둘째, 문학 작품 토의 시 교사의 질문 유형이 아동의 독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가 없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읽기 이해 과정의 관련 변인 | 가경신 | pp.1-32 |
|
보기 |
시 감상에서 '슬픔'에 대한 태도교육의 내용 연구 :'애잔함'을 중심으로 | 구영산 | pp.33-58 |
|
보기 |
텍스트 의미의 위치와 이해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인식 | 김도남 | pp.59-87 |
|
보기 |
주제중심 독서활동을 통한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김혜원 | pp.89-116 |
|
보기 |
읽기 전략과 이해 중심 읽기 수업의 관계 | 박수자 | pp.117-145 |
|
보기 |
읽기 교수-학습을 위한 텍스트구조의 의미관계 고찰 | 박진용 | pp.147-178 |
|
보기 |
문학 작품 토의 시 교사의 질문 유형이 아동의 반응과 독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심유미 | pp.179-208 |
|
보기 |
주제 중심 소설 독서 지도 | 주진홍 | pp.209-242 |
|
보기 |
읽기 지도에서 수준별 텍스트 활용 | 정옥년 | pp.243-268 |
|
보기 |
직접교수법 단계에 대한 고찰 | 천경록 | pp.269-293 |
|
보기 |
근대 초기의 대중문화와 청소년의 책읽기 | 천정환 | pp.295-329 |
|
보기 |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인성 지도 | 한철우 ;박영민 | pp.331-352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