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 적 : 만삭 부당경량아로 출생하여, 2세까지 성장의 따라잡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저신장증 환아들은 성인 신장치가 작을 가능성이 많으므로 성장호르몬의 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삭 부당경량아로 출생하여 5세가 지나서도 따라잡기 성장을 하지 못한 저신장증 상태의 환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은 본원에서 저신장증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아중 만삭 부당경량아의 출생력이 있는 환아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만삭 부당경량아로 출생하였으며, 추적시 저신장이고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환아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장호르몬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성장호르몬 치료 전후의 신장 표준편차값 변화와 같은 기간내 대조군의 표준편차값 변화를 비교하였다.결 과 : 환자군과 대조군 간에는 재태 주령, 출생체중, 나이, 최종 예측치 신장, 추적관찰 기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치료 시작 전의 신장 표준편차값은 대상군이 -3.3±0.9, 대조군이 -2.4±0.4로 환자군이 의미 있게 작았다(P<0.05). 치료 전후 신장 표준편차값의 변화는 환자군이 1.2±1.0, 대조군이 0.5±0.6으로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 신장의 변화값이 높게 나타났다(P<0.05).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 지질검사를 포함한 생화학 검사는 치료 시작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HDL-콜레스테롤이 48.5±9.9 mg/dL에서 56.1±8.7 mg/dL로 증가하였으며(P<0.05), LDL-콜레스테롤은 88.1±23.3 mg/dL에서 76.4±19.4 mg/dL로 감소하였다(P<0.05).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유리 지방산 및 공복시 혈당은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또한 치료 전후의 인슐린양 성장 인자-I 농도는 224.9±191.3 g/L에서 443.2±152.5 g/L로 증가하였으며, 인슐린양 성장 인자 결합 단백-3 농도는 3.7±1.3 mg/L에서 5.6±1.2 mg/L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Purpose : Growth hormone(GH)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their gestational ages(SGA), and nowadays i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short children born SG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icacy of GH treatment for the children born SGA.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was made of 40 short children born SGA with GH-treated(n=26) and untreated control group(n=14).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GH treatment, the changes in standard deviation scores(SDS) of the GH-treated group were compared to the changes in SDS before and after treatm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period.

Results :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H-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chronological age, target height and the period of follow-up observation; however, the GH-treated group had lower height SDS(-3.3?.9) than the control group(-2.4?.4) before treatment(P<0.05). The GH-treated group had gained 1.2?.0 height SDS during GH treatment while the control group had gained 0.5?.6 height SDS. In the GH treatment group, HDL- cholesterol increased from 48.5?.9 mg/dL to 56.1?.7 mg/dL(P<0.05) and LDL-cholesterol decreased from 88.1?3.3 mg/dL to 76.4?9.4 mg/dL(P<0.05) after treatment. There were no changes 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and fasting blood sugar. IGF-I increased from 224.9?91.3 µg/L to 443.2?52.5 µg/L(P<0.05) and IGFBP-3 also increased from 3.7?.3 mg/L to 5.6?.2 mg/L(P<0.05).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growth hormone treatment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short children born SG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두백신의 최신지견 오성희 pp.229-234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의 효능 및 효과 이환종 pp.235-241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Hib) 백신 접종의 현황과 전망 김경효 pp.242-250

예방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조사 임정우 ;김창휘 ;이원배 ;강진한 pp.251-257

유기산혈증-유기산 분석 8년의 정리 방준석 ;임시홍 ;이경화 ;배은주 ;박원일 ;이홍진 pp.258-267

한국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박멸 후 ^13^C-요소 호기 검사와 내시경적 생검을 이용한 재감염률 연구 심정옥 ;서정기 pp.268-272

신생아기 장염에 의하여 발병된 Reye 증후군 방준석 ;남상정 ;이경화 ;배은주 ;박원일 ;이현숙 ;손배영 ;최환석 ;이홍진 pp.273-277

6개월 미만 영아의 요로 감염 강민주 ;신혜경 ;임형은 ;제보경 ;은소희 ;최병민 ;박종태 ;은백린 ;유기환 pp.278-286

발살바동 동맥류 파열의 임상적 고찰 이태호 ;이동원 ;조준용 ;현명철 ;이상범 pp.287-291

소아 수모세포종 환자에서 치료 후의 내분비적 장애와 성장변화 윤인석 ;서지영 ;신충호 ;김일한 ;신희영 ;양세원 ;안효섭 pp.292-297

반복성 천명을 가진 소아에서 천식 발생 예측 지표의 적용 장주영 ;김효빈 ;이소연 ;김자형 ;김봉성 ;서희정 ;홍수종 pp.298-304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 받은 여아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단독치료 및 growth hormone의 병합치료 시 예측 성인키의 변화 및 성장 획득의 비교 서지영 ;윤인석 ;신충호 ;양세원 pp.305-311

만삭 부당경량아로 출생한 저신장증 환아에서의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 서주희 ;김덕희 pp.312-316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이 유발된 신생자돈에서 재산소-재관류기 동안 NG-monomethyl-L-arginine과 L-arginine이 뇌의 혈역학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고선영 ;강 샘 ;장윤실 ;박은애 ;박원순 pp.317-325

A case of a child with non-parasitic chyluria Da Eun Jung ;Ja Wook Koo ;Sang Woo Kim ;Hae Il Cheong pp.326-328

A case of alkaptonuria :the first case in Korea Ji Hyung Nam ;Jong Hyun Lee ;Kyung Bae Park ;Dong Hwan Lee pp.329-331

Steroid and enalapril therapy :possible cause of toxic epidermal necrolysis Dong Wook Kim ;Da Eun Jung ;Ja Wook Koo pp.332-336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0) Long-term consequences of early linear growth retardation(stunting)in Swedish children, 미소장
2 (1995) Growth in full-term small-for- gestational-age infants:from birth to final height, 미소장
3 (2001) Critical growth phases for adult shortness in Hong Kong Chinese, 미소장
4 (2004)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and treated with growth hormone for three years have an important catch- down five years after discontinuation of treatment, 미소장
5 (2002) Polymorphism in the IGF-I gene clinical relevance for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미소장
6 (2002) US experience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GH therapy of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small-for- gestational-age children, 미소장
7 (1999) 1998 The standard growth chart in Korean child and adolescence, 미소장
8 (2002) Small for gestational age - Somatic neurolog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until adulthood, 미소장
9 (2004) Low birth size and final height predict high sympathetic nerve activity in adulthood, 미소장
10 Growth hormone secretion and growth hormone treatment in children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Swedish Paediatric Study Group for Growth Hormone Treatment. 네이버 미소장
11 (2003) Pubertal course of persistently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compared with idiopathic short children born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미소장
12 (2004) Adult height distribution in subjects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미소장
13 (2003) Improvement in adult height after growth hormone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short stature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미소장
14 (2003) Prediction of adult height and risk of overweight in females born small-for-gestational-age, 미소장
15 (2004) Should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therapy be used in short small for gestational age children, 미소장
16 (2005) Growth hormone therapy for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height gain is less dose dependent over the long term than over the short term, 미소장
17 (2003) International Small for Gestational Age Advisory Board. International Small for Gestational Age Advisory Board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 management of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April 24- October 2001, 미소장
18 Blood pressure @ Internet-www.bloodpressure.nu. 네이버 미소장
19 (2004) Adiponectin levels are reduced in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and are inversely related to postnatal catch-up growth, 미소장
20 (1995) Beneficial effect of growth hormone on atherogenic risk in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미소장
21 (2005) Swedish Study Group for Growth Hormone Treatment Final height in short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treated with growth hormon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