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마르쿠제의 "생명" 개념연구 : "에로스적" 인간상에 대한 철학적 성찰 / 임채광 1

【요약문】 1

I. 머리말 1

II. 현대사회의 소외와 생명 3

III. 생명의 외연으로서의 "에로스" 6

1. 에로스와 성욕 8

2. 에로스와 타나토스 9

IV. 에로스적 생명관의 실천적 의미와 한계 11

1. 방법론적 의미 11

2. 에로스적 사회 13

3. 개인과 에로스 15

V. 맺음말 16

참고문헌 19

Zusammenfassung 21

초록보기

마르쿠제에 의하면 생명문제가 철학적 논의의 대상으로 심각히 대두된 이유에는 특히, 소위 기술 산업시대의 이데올로기가 되어버린 기술적 합리성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지배가 그 핵심에 있다고 보고, 그것들을 다음과 같이 개념적으로 규정하였다: 1, 경제적 가치의 무분별한 일반화, 2, 인간과 자연 등 모든 과학적 연구대상의 중립적 대상화, 3. 은익된 정치성. 아울러 그는 에로스 개념을 성욕과 구분되어지는 탈육체적, 정신적 가치로서 보았고, 타나토스와 구분하여 생명에 대한 사랑과 동일시하였다.마르쿠제의 인간상이 갖는 인간학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이드 개념의 사회철학적 수용에서 보여주듯이 독특한 관점을 통해 현대사회와 인간상의 복잡성을 설명하고 대안으로서 생명개념을 지시하였다. 2, 생명원리에 입각한 에로스적 공동사회를 열림성, 놀이성, 실천성의 원칙아래 제시하였다. 3, 에로스개념의 가치론적 확장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인은 마르쿠제의 에로스로서의 생명개념이 갖고 있는 논리적 개연성을 수긍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과 선언적 의미로 귀착되기 쉽다는 문제를 지적하였으나, 바로 그러한 연유에서 과학과 철학이 상이한 추론 및 결론에 도달할 수 있어 유익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Die ontologische Stellung des menschlichen Lebewesens ist von Herbert Marcuse, den man in Korea meistens auf dem einseitigen Aspekt las, mit dem Begriff “Eros” identifiziert worden. Diese Untersuchung wurde in nächsten folgenden Punkten durchgeführt: 1, Was sind die gegenwärtig vorhandenen Probleme im Hinblick auf den Begriff das menschliche Leben?, 2, Was heisst die Definition “Eros”?, Was ist der antropologische Sinn bzw. Grenze im Begriff “Lebens” von Marcuse?

Der neue Tendenz der technologischen Gesellschaft soll die Beherrschung des Menschen und der Gesellschaft mit dem Name der Technologischen Rationalität legitimiert. Er bezeichnet sich in folgenden: 1, Dominanz des wirtschaftlichen Wertes, 2, Aberkennung des wesentliche Lage von Mensch und Natur, 3, Verborgenheit des politischen Charakter der gesellschaftlichen Parteilichkeit.

Die Charakteristika der anthropologische Lage vom Menschenbild Marcuses bzw. des Begriffs “Leben” sind zusammenszufassen als: original und wirksam unter Einfluss aus der Freudschen Methodologie vom Begriff das menschliche Leben; darstellend von einer erotischen Gesellschaft in Bezeichung mit “Offenheit”, “Spielcharakter” und “praxisorientiert”; erweiternd vom “Eros” auf die wertbezogene Dimension. Zum Abschuss ist zu sagen, dass die seinen ideal klingten Thesen meiner Ansichts nach im logischen Bereich sowie im pragmatischen noch einige dunkle Seiten habe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상력의 윤리학적 함의 노양진 pp.5-27

보기
마르쿠제의 "생명" 개념연구 :"에로스적" 인간상에 대한 철학적 성찰 임채광 pp.29-50

보기
전쟁의 도덕성 :이라크전쟁과 연관하여 박인성 pp.51-76

보기
日新齋 鄭義林의 性理說 硏究 박학래 pp.77-105

보기
프루스트의 인간적 시간과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기분에 관한 고찰 박유정 ;유제분 pp.107-134

보기
들뢰즈의 '표현'개념으로 본 현대예술의 비(非)표상성 :현대의 회화와 건축에 나타난 비표상성을 중심으로 권태일 pp.135-170

보기
역사 발전 법칙의 문제 :천문학사의 쟁점 박병섭 pp.171-201

보기
아리우스의 "무로부터"(ex nihilo) 발생된 말씀에 관한 연구 김요한 pp.203-227

보기
귀납추론의 인식론적 정당화 이종왕 pp.229-246

보기
귀납에 관한 굿맨의 역설 이명숙 pp.247-274

보기
과학적 환원이 물질론에 함축하는 바 박승배 pp.275-295

보기
개념의 논리적 구조와 자유 정미라 pp.297-321

보기
동아시아 공동체의 철학적 문화적 지향 김의수 pp.323-338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마르쿠제의 프로이트 수용과 현실 부정의 시학 소장
2 Ein Studium unber die Radikalitaet in der Theorie der Eindimensionalen Gesellschaf Von H. Marcuse 네이버 미소장
3 마르쿠제의 사상에서 상상력과 유토피아 소장
4 Eine kritische Untersuchung vom Begriff "Technik" Marcuses 소장
5 정호근, (2003) 마르쿠제의 ‘일차원적 사회, 철학사상 미소장
6 Anders, Günther, (1956) Die Antiquiertheit des Menschen, Bd. 1: Über die Seele im Zeitalter der zweiten induetriellen Revolution;Bd. 2: Über die Zerstörung des Lebens im Zeitalter der dritten induetriellen Revolution, München 미소장
7 Brunkhorst, Hauke, (1987) Herbert Marcuse zur Einführung, Hamburg 미소장
8 Jay, Martin, (1979) The Dialectical Imagination: A History of The Frankfurt School and The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1923-1950=변증법적 상상력, 돌베개 미소장
9 Marcuse, Herbert, (1955) Eros and Civilization.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Freud=에로스와 문명: 프로이드 이론의 철학적 연구, 도서출판 나남 미소장
10 Marcuse, Herbert, (1955) Triebstruktur und Gesellschaft: Eine philosophischer Beitrag zu Sigmund Freud,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1 Marcuse, Herbert, (1957) Freud in der Gegenwart: Frankfurter Beiträge zur Soziologie,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2 Marcuse, Herbert, (1964) One-Dimensional Man=일차원적 인간, 서울: 삼성출판사 미소장
13 Marcuse, Herbert, (1965) Kultur und Gesellschaft II,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4 Marcuse, Herbert, (1964) Der eindimensionale Mensch: Studien zur Ideologie der fortgeschrittenen Industriegesellschaft, Neuwied und Berlin 미소장
15 Marcuse, Herbert, (1969) Ideen zu einer Kritischen Theorie der Gesellschaft,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6 Marcuse, Herbert, (1969) Versuch über die Befreiung,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7 Marcuse, Herbert, (1978) Gespräche mit Herbert Marcuse,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8 Marcuse, Herbert, Das Ende der Utopie: Vorträge und Diskussionen in Berlin 1967, 1980 미소장
19 Ritter, J. u, (1972)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 2, Basel 미소장
20 Sahmel, Karl-Heinz, (1979) Vernunft und Sinnlichkeit: Eine kritische Einführung in das philosophische und politische Denken Herbert Marcuses, 미소장
21 Wiesenhütter, Eckhart, (1979) Die Begegnung zwischen Philosophie und Tiefenpsychologie, Darmstadt, 미소장
22 Wiggershaus, Rolf, (1986) Die Frankfurter Schule: Geschichte,Theoretische Entwicklung, Politische Bedeutung, München u. a 미소장
23 http://www.wissen.d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