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황색과 자색 양파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수분 및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92.80%, 5.13%와 92.47%, 5.59%로 나타났으며, 황색양파와 자색양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K(123.64, 114.41 mg%), Na(34.09, 33.57 mg%) 및 Ca(18.77, 27.59 mg%)이었다. 황색양파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44.2 mg%)와 fructose(705.9 mg%)였으며, 자색양파에서는 sucrose(692.8 mg%)와 fructose(517.3 mg%)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총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황색양파의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L- proline(27.34 mg%), L-serine(27.34 mg%) 및 L-arginine (26.25 mg%) 순이었고, 자색양파에서는 L-glutamic acid (16.35 mg%), ammonium chloride(15.22 mg%) 및 L-serine (10.93 mg%)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황색양파(19.20 mg%)보다 자색양파(28.34 mg%)가 높았으며, 황색과 자색 양파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5.24 mg%와 5.70 mg%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색과 자색 양파에서 각각 0.319 mg/g 및 0.248 mg/g이었다.

The chemical propertie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food materialization and processing. The moisture and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92.80%, 5.13% and 92.47%, 5.59%, respectively. Miner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rich in K (123.64 and 114.41 mg%), Na (34.09 and 33.57 mg%) and P (27.04 and 20.56 mg%). The major free sugar of yellow onion were glucose (744.2 mg%) and fructose (705.9 mg%). Whereas major free sugar of red onion were sucrose (692.8 mg%) and fructose (517.3 mg%). Glutamic acid, phenylalanine and aspartic acid in yellow and red onion were major amino acids. Abundant free amino acids in yellow onion were hydroxyLproline (27.34 mg%), Lserine (27.34 mg%) and Larginine (26.25 mg%). Abundant free amino acids in red onion were Lglutamic acid (16.35 mg%), ammonium chloride (15.22 mg%) and Lserine (10.93 mg%). Ascorbic acid contents are higher in red onion (28.34 mg%) than in yellow onion (19.20 mg%). Quercetin and total polyphenol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15.24 mg%, 5.70 mg% and 0.319 mg/g and 0.248 mg/g, respective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6]-gingerol이 인체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Bcl-2와 Bax 발현에 미치는 영향 서은영 ;김우경 pp.671-676

마늘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영 ;김형식 ;이수정 ;손미예 ;신정혜 ;성낙주 pp.677-682

게르마늄강화효모가 혈청지질 및 면역세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 ;오선우 ;노숙령 ;이복희 ;이현주 ;진동규 pp.683-689

식품 중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김희연 ;윤혜정 ;홍기형 ;최장덕 ;박성관 ;최우정 ;장영미 ;이달수 ;하상철 ; pp.690-697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이용한 농촌지역 노인의 영양소 섭취수준 비교 조영은 ;이수림 ;조은현 ;Ria-Ann L. Lomeda ;곽은희 ;김양하 ;권인숙 pp.698-707

황색과 자색 양파의 화학성분 정창호 ;김진희 ;심기환 pp.708-712

광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조정옥 ;정인창 pp.713-720

아이스크림 제품류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신민경 ;오현희 ;황금택 pp.721-728

굴 엑기스에서 결정물질 brushite(CaHPO₄·2H₂O)의 생성 이종수 ;윤소미 ;장준호 ;임치원 ;최광열 pp.729-733

보리잎 분말차의 제조와 그 품질특성 김동청 ;김동원 ;이성동 ;인만진 pp.734-737

부재료 첨가에 따른 별미장의 향기특성 우관식 ;한서영 ;윤향식 ;이준수 ;정헌상 ;김행란 pp.738-746

녹차의 음용을 위한 최적 침출조건 예측 장문조 ;하현정 ;윤성란 ;노정은 ;권중호 pp.747-753

최소열처리에 따른 캔 포장김치의 품질특성 홍정진 ;최홍식 ;이동선 pp.754-760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신희영 ;구경주 ;박상규 ;송경빈 pp.761-767

저장 중 진공포장 설탕침지 찰옥수수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감마선조사의 영향 최재호 ;오덕환 pp.768-773

전자빔 조사가 녹차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지희 ;이정민 ;이승철 pp.774-779

열풍 건조 무청의 품질특성 구경형 ;이경아 ;김영림 ;이용환 pp.780-785

가지의 절임방법에 따른 성분변화 윤경영 ;홍주연 ;신승렬 pp.786-790

지치 추출물 첨가에 의한 강정의 저장성 연장 효과 김진숙 ;김태영 ;김상범 pp.791-800

위탁급식전문업체 영양사의 고객지향성 분석 신서영 ;김희연 ;최미경 ;양일선 pp.801-808

초등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연구 김은미 ;정미경 pp.809-814

대학교 급식소의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아 pp.815-822

물리적 처리에 따른 우육추출물중의 BSA와 BGG단백질의 SDS-PAGE 패턴 및 항원성의 변화 한기동, Fan Jiang Ping, Suzuki Atsushi pp.594-599

함초 첨가 설기떡의 재료 혼합비율의 최적화 장명숙, 박정은 pp.641-648

방사선조사를 이용한 돈피 콜라겐의 저분자화 연구 조영준, 서정은, 김윤지, 이남혁, 홍상필, 김영호 pp.588-593

혼합과채주스의 청징 및 품질특성 비교 이준호, 손경석 pp.629-634

셀레늄의 영양생화학 최용순, 죤 에드워드 헤스케스 pp.661-670

황금열수추출물이 DNCB로 유도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흰쥐의 항산화능 및 표피회복능에 미치는 영향 박영숙, 김윤희 pp.543-548

알코올 섭취한 생쥐에서 황금(黃芩) 열수추출물이 생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여원, 강경란, 이인석 pp.536-542

상엽추출물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당화혈색소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지숙, 양정화 pp.549-556

Agrobacterium spp. R259 KCTC 10197BP로부터 생산된 β-Glucan 함유 우유식빵 저장 중 품질특성 김미리, 강은영, 양윤형, 오상희, 이정희, 장규섭, 김미경, 조한영 pp.613-621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기전 연구 김은지, 윤정한, 이용진, 신현경 pp.516-523

상황버섯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효과 박석규, 최선영, 이상원, 손미예, 서권일, 성낙주 pp.524-529

인터넷 영양교육 참여 전국 대학생의 지역별 신체계측,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장경자, 정선희 pp.565-571

매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남택정, 권미진 pp.530-535

한약자원을 이용한 약선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약선차의 섭취가 여대생의 혈청지질수준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미치는 효과 박성혜, 송유진, 한종현, 박성진 pp.557-564

연령별 성인 여성의 체중감량 다이어트 실태와 만족도 및 관련지식 이귀주, 김명경 pp.572-582

당-Lysine 모델 수용액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반응 연구 변명우, 이주운, 오상희, 김재훈, 변의홍, 김미리, 김관수, 이현자 pp.583-587

B. subtilis JM3 Protease로 제조한 멸치액젓의 품질특성 김상무, 박종혁, 유상권, 김영명, 김동수 pp.600-605

소라에서 분리한 Vibrio균으로 제조한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의 품질특성 김상무, 방상진, 신일식 pp.606-612

매실추출액 첨가 고추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 연구 이준호, 이민지 pp.622-628

원재료, 조리기구와 조리원 손에 의한 급식소 조리음식의 미생물오염 실태 분석 배현주 pp.655-660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0)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extruded snack using onion pomace and onion, 미소장
2 (1998)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미소장
3 (2003)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미소장
4 (1993) Effect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미소장
5 (2003)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미소장
6 (1995) Antidiabet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sulfoxide amino acids in rats, 미소장
7 (1997) Effect of garlic and onion on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and platelet aggregation in rats fed basal or cholesterol supplement diets, 미소장
8 (1997) The effects of onion juice on serum lipid levels in rats, 미소장
9 (1998) Inhibition of xanthin oxidase from onion skin, 미소장
10 (2001) Effect of onion extract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Allium cepa L.) extract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미소장
11 (2000)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미소장
12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미소장
13 (1994) Effects of onion juice o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미소장
14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미소장
15 (2004) Quality improvement of onion by cultural managements pre-harvest treatments and storage methods und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미소장
16 (1995) Drying of onion and ginger using drying system controlled by microcomputer, 미소장
17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미소장
18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미소장
19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미소장
20 (2001) Determination of flavonols in green and black tea leaves and green tea infus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미소장
21 (1992) Modified prussian blue assay for total phenolic compound, 미소장
22 (2001)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for phenolic fraction from onion, 미소장
23 (2004) Antimutagenic,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white, yellow and red onions, 미소장
24 (1998) Development of separating techniques on quercetin-related substances in onion (Allum cepa L.) 1. Contents and stability of quercetin-related substances in on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