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천일야화』, 비단길, 그리고 처용의 문화 / 허혜정 1

1. 서론 1

2. 비단길의 가인, 처용 4

3. 『처용가』의 에로틱한 모티프의 모상(模像) 10

4. 처용 문화와 수피즘 19

5. 결론 26

인용 문헌 28

Abstract 31

초록보기



The Arabian Nights, the Silk Road, and the Culture of ‘Cheoyongga’

Huh, Hye-jung

(Dongguk University)

This paper compares the culture represented in ‘Cheoyongga’ and the tradition of Sufism and love affairs described in the Arabian Nights. These two literary works seem to have the same motif, that is, a love affair between three persons. Both works have a same geographical background, Asia. The Silk Road, I think, was used to convey literary trends, I think.

This thought has basis on the fact that the same motif is dealt in lots of literary works found along the Silk Road. The tradition of Sufism is closely related with the motif of the works too. In ‘Cheoyongga,’ the adulterous love affair is described as an act of evil spirit and the protagonist dances when he sees the sight. This seems to be affected by the Arabic culture. In the Arabian Nights, we see almost the same love affairs, in which the sexual betrayal is uses as a means to show the human nature.

Though it is very hard to find evidences to prov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we can safely say that the culture of ‘Cheoyongga’ holds the Sufic factor, and that the worship of the earth (the body of woman) in the region of Near East holds the same Sufic factor.

In some respects, Cheoyong can be thought as a Sufic monk who emphasizes the ascetic practice of ‘dancing’ to reach divinity. As Cheoyong was welcomed by the Dongee race as an attractive son of the sea long time ago, so he is adored as an imaginative idol at present. This is why we can see the culture in ‘Cheoyongga’ as a reproduction of profound cosmic awareness and an equivalent of diversified personality. As no other works which have similar motif are found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we can surmise this unique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Arabian Nights by way of the Silk Roa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쌍화점』형성에 관여한 외래적 요소 김명준 pp.7-28

보기
중세 안달루스와 고려의 다중언어 혼용 현상 김승기 pp.29-58

보기
「이와전」서사 문화에 내재된 애정 심리 분석 송윤미 pp.59-76

보기
들뢰즈와 불교의 관계론 :비/관계의 접속 오현숙 pp.77-96

보기
중세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사랑 노래와 고려속요 윤선미 pp.97-123

보기
로렌스의 상호 소통적 미학 :노장사상의 생성원리를 통한 접근 이영철 pp.125-146

보기
『천일야화』, 비단길, 그리고 처용의 문화 허혜정 pp.147-178

보기
존 스타인벡의 동양적 인식 :『통조림 공장가』와 『에덴의 동쪽』의 동양인 황치복 pp.179-201

보기
Aesthetics of masked acting in Japanese Noh and Greek tragedy Choi, Jae-oh pp.203-227

보기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명준, (2002) ?고려속요집성?, 다운샘 미소장
2 (2003) 악장가사 연구, 도서출판 다운샘 미소장
3 (2003) ?악장가사의 성립과 소재 작품의 전승양상?, 미소장
4 김원경, (1970) 처용가의 변천과 Shamanism에 대한 연구-특히 처용가의 설화성과 민속신앙을 중심으로, 미소장
5 박노준, (1990) 고려처용가의 형성 과정 ?고려가요의 연구?, 미소장
6 박장순, (2005) ?문화콘텐츠 해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북스 미소장
7 빙심, (2000) ?중국문학 오천년?, 예담 미소장
8 사희만, (2000) ?아랍의 언어와 문학?, 조선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9 이성근, (1982) 고려속요 어음형성의 무속적 배경, 미소장
10 이승훈 , (2000) ?한국현대 대표시론?, 태학사 미소장
11 이용범, (1977) 처용설화의 고찰-당대 이슬람상인과 신라 1969 ;?대동문화연구? 별집 1 1972; ?향가연구? 국문학논문선I, 진단학회 미소장
12 임기중, (1988) 처용노래와 그 이야기의 변신모티브 ? 5, 미소장
13 (1992) 처용가의 변신모티브 ?고전시가의 실증적 연구?, 동국대 출판부 미소장
14 이희수, (1991) ?한ㆍ이슬람교류사?, 문덕사 미소장
15 이븐 바투타, (2001) 이븐바투다 여행기, 창작과비평사 미소장
16 정수일, (1992) ?新羅ㆍ西域交流史?, 檀國大學校出版部 미소장
17 (2002) 문명교류사 연구, 사계절 미소장
18 (2002) 문명의 루트 실크로드, 효형출판 미소장
19 (2002) 이슬람 문명, 창작과비평사 미소장
20 정철현, (2005) 문화연구와 문화정책, 도서출판 서울경제경영 미소장
21 조희선, (1999) 아랍문학의 이해, 명지출판사 미소장
22 최성호, (1984) ?신라가요의 연구-배경과 사상을 중심으로?, 미소장
23 하태석, (2001) 무가계 고려속요의 성격 연구, 민족어문학회 미소장
24 허룡구, (1997) 양태사의 시가에서 본 발해문화의 일각, 국학자료원 미소장
25 (2004) 처용가處容歌를 통해 본 달의 에로티즘 연구, 미소장
26 (2006) 처용가와 현대의 문화콘텐츠, 한국문학연구학회 미소장
27 (2001) 힌디문학의 이해, PUFS 미소장
28 (1995) 중앙아시아에서의 3년, 시공사 미소장
29 (1990) An Introduction to Sufism, The Aquarian Press 미소장
30 (1994) Sex and Eroticism in Mesopotamian Literature, Routledge 미소장
31 (2005) 아라비안 나이트, 흥신문화사 미소장
32 (1990) .Muslims: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Routledge 미소장
33 The Neoplatonist Roots of Sufi hilosoph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