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을사조약의 법적 효력에 관한 연구 / 노영돈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6.08.15
수록지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8집 제1호 (2006. 8), pp.57-86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611450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을사조약의 법적 효력에 관한 연구 / 노영돈 1

I. 서론 1

II. 조약 성립요건의 검토 : 비준하지 않은 조약의 효력문제 4

III. 조약 효력요건의 검토 : 국가대표의 강박에 의하여 체결된 조약의 문제 13

IV. 결론 24

〈참고문헌〉 25

〈초록〉 28

〈Abstract〉 30

초록보기 더보기

일본의 대한제국 식민지화는 사실상 1905년의 소위 을사조약으로 실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는 제국주의가 통용되던 시대였고, 국제법도 그에 종사하였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식민지화가 모두 당연히 합법적인 것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당시의 국제법에 의하여 요구되는 정당한 절차에 의하면 그것은 합법적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불법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감정적으로 침략이다 아니다, 또는 피해냐 시혜냐 하는 논의와는 별개의 것이다.

현재 한국과 일본간에는 을사조약을 비롯한 당시의 조약들의 효력에 대하여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일본측에서는 어찌되었건 당시에는 국제사회에서 유효하게 받아들여진 현실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측에 서는 그것은 원천적으로 무효인 것이어서 당시에도 무효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검토해 보면 을사조약의 유효성과 관련하여 조약의 성립요건과 효력요건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전자는 후자의 선결요건이다.

먼저 조약의 성립요건으로 ① 당사자, ② 목적, ③ 의사표시의 존재, ④ 조약성립절차의 완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조약성립절차는 일반적으로 교섭-조약본문의 채택-조약본문의 인증-조약에 의해 구속되는데 대한 동의-비준서의 교환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모든 절차가 빠짐없이 완료되어야 조약이 비로소 성립되었다 할 수 있다.

그런데 을사조약과의 관계에서 문제되는 것은 조약성립절차의 완료이다. 그 중에서 조약에 의해 구속되는데 대한 동의, 즉 조약체결권자의 비준의 문제이다. 당시 대한제국의 헌법에 해당하는「대한국 국제」에 의하면 조약체결권자는 고종황제인데, 고종황제의 비준이 필요하고, 비준된 뒤에 양국의 전권위임대표에 의해 비준서가 상호 교환되어야 을사조약은 성립하는데, 고종황제는 이에 비준하지 않았다. 즉 을사조약은 성립조차 되지 않은 조약, 달리 말하면 조약으로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 불과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성립되지도 않았다면 당연히 효력이 발생조차 하지 못한 것으로 효력요건은 검토할 여지도 없는 것이나, 효력요건에서도 치명적인 결함이 있어 원천적으로 무효이다. 즉, 일본은 당시의 대한제국의 8명의 대신을 군경에 의한 무력의 시위하에 개별적으로 강박하여 그 중 5명이 동의한 것으로 처리하여 강행한 것인데, 이는 당시의 국제법에 의하더라도 국가대표에 대한 강박으로 체결한 조약으로 원천적 무효사유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을사조약은 성립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처음부터 효력이 없는 것이다. 일본측에서 말하는 당시에는 유효했다는 주장은 정치적으로 유효했다는 말은 될 수는 있지만 법적으로 유효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는 없다. 일본은 대한제국을 불법적으로 식민지화한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건국준비위원회 중앙조직의 약화과정과 요인 남광규 pp.5-3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1954년 제네바회의와 한국전쟁의 정치적 종결 모색 홍용표 pp.35-5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을사조약의 법적 효력에 관한 연구 노영돈 pp.57-8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國際關係에 있어서 淸日戰爭(1894~1895)에 關한 史料와 硏究 :淸日戰爭 110 週年을 맞이하여 문희수 pp.87-12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햇볕정책기 대북교류협력사업의 회고와 향후 서울-평양간 협력방안의 모색 :정치성의 최소화 문제를 중심으로 김태효 pp.131-16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동북아 균형자"론과 21세기 한국외교 박영준 pp.161-19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비대칭적 한미동맹관계와 한국인의 대미태도 :변화와 분화 최종건 ;김용철 pp.193-22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박정희 시대와 민족주의의 네 얼굴 김일영 pp.223-25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예멘과 독일의 통일사례 비교와 시사점 :통합 합의과정 및 통일방식을 중심으로 김용욱 pp.257-29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독도 자료집의 현황과 과제 유미림 pp.297-33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5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보부. 1964. 『한일회담과 우리의 입장』. 미소장
2 대한민국정부(1965),『한일회담백서』 미소장
3 대한민국정부. 1965.『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조약 및 협정 해설』. 미소장
4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1964. 『전후 일본국의 대외평화조약, 배상협정, 경제 및 기술협력협 정례』. 미소장
5 1995. 광무제의 주권수호 외교, 1905-1907 : 을사늑약 무효 선언을중심으로. 이태진(1995), 213-291. 미소장
6 2001. "한국벙함 유효 • 부당론을 묻는다", 이태진(2001), 241-268. 미소장
7 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 활빈당선언에서 전·노항소심판결까지 소장
8 2005. 『을사늑약 1905, 그 끝나지 않은 백년』. 서울: 시대의 창. 미소장
9 한국의 조약개념 도입 네이버 미소장
10 2005. 1905년 을사조약 관련 비준문제에 관한 소고 . 『국제법학회논총』제50권 제2호, 67-86. 미소장
11 민족문제연구소(1995),『한일협정을 다시 본다』아세아문화사. 미소장
12 국제법에 있어서 조약의 무효 소장
13 統一思想에서 본 乙巳保護條約 소장
14 1945.『한국통사』. 달성인쇄주식회사. 미소장
15 1995. 을사5조약의 신고찰. 이태진(1995), 27-65. 미소장
16 乙巳保護條約의 國際法的 效力에 관한 硏究 소장
17 「국제법신강」, 서울 : 일조각, 2003. 미소장
18 . 2005. “을사늑약은 성립하지 않았다: 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을사늑약 100주년 학술심포지엄. 서울. 2월. 미소장
19 『한국사(현대편)』, 서울:진단학회, 1963. 미소장
20 1999. 『한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1 2005『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태학사 미소장
22 2004. “한국침략 관련 협정들만 격식을 어겼다” , 『한국벙함의 불법성 연구』.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5-61. 미소장
23 . 2001 “한국병합은 성립하지 않았다." 이태진(2001), 29-75. 미소장
24 2001. “약식조약으로 어떻게 국권을 이양하는가?”. 이태진(2001), 179-211. 미소장
25 2001.『 한국병합, 성립하지않았다』. 서울: 태학사. 미소장
26 1995. “조약의 명칭을 붙이지 못한 “을사보호조약”. 이태진(1995), 66-115. 미소장
27 『일본의 대한제국 강점』. 서울: 까치, 1995. 미소장
28 2000. 일제잔재 청산의 법 이론. 서울: 푸른세상. 미소장
29 2004.『고종황제의 밀서』. 서울 : 글내음. 미소장
30 『현대이본의 역사』. 서울: 이산. 미소장
31 1995. "대한제국의 국제법적 지위." 이태진(1995), 292-311. 미소장
32 동아 • 대동아 • 동아시아, 역사비평사, 2005. 미소장
33 1995. "을사보호조약"의 불법성과 일본정부의책임." 이태진 (1995), 312-339. 미소장
34 1964.日韓外斗集既. 東京: 巖南堂書店. 미소장
35 1968.日韓倂合小史. 東京: 岩波書店. 미소장
36 . 1966.『日本の麵イ舱』. 東京: 太平出耐土. 미소장
37 朝鮮史学会.『朝鮮一般史』. 미소장
38 2005.朝鮮人贩旧娜にSH~る日本の戰後責 . 名古屋: 風 미소장
39 1980.『日韓外交史料(8) ィ纖及 미소장
40 2004. 條約法の理論と實際. 東京: 東信堂 미소장
41 1998. “日韓は旧條約問題の落と ᄂ穴に陷つてはならない”. 世界. 1998年 9月号, 193-206. 미소장
42 2000. “歷史にM tる合&論,不^ 考える”. 世界. 2000年11 月号, 270284. 미소장
43 1999. 韓國W슘不成立論’ をる. 世界. 1999年10月号,260-274. 미소장
44 1999. “日韓における湖勺な 對話をめざᄂて : 第二次日樹族約强制問題への駄ぎ. 世界. 1999年 7月号, 236-247. 미소장
45 1953. General Principles o f Law As Applied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London: Stevens & Sons Limited. 미소장
46 1962. International Law: Cases and Material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미소장
47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57. 미소장
48 Digest o f International Law(VoL 8).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49 1961. The Law o f Treaties. Oxford: Clarendon Press. 미소장
50 1906. Digest o f International Law(Vol. 8).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51 1963. Digest o f International Law(VoL 1). New York: U.S. Department of State Publication.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