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남성 알코올 의존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영적 특성과의 관계/최삼욱;나란희;김한오;최성빈;최영숙 1
서론 1
방법 2
대상 2
방법 및 평가도구 2
결과 4
사회인구학적 특징 4
임상적 특징과 각 척도들의 평균 4
각 삶의 질 척도 및 하부 요인과 다른 특성들과의 상관 5
고찰 7
결론 8
REFERENCES 8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QOL) and psycho-socio-spiritual characteristics in mal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The sample consisted of 109 men with alcohol dependence defined by DSM-lV criteria. We assessed QOL by the WHO QOL assessment instrument-BREF (WHOQOL) and Smithkline Beecham QOL (SBQOL). Sociodemographic and alcohol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nd 7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MAST, BDI, STAI, Drinker Inventory of Conse-quences (DrlnC), Scale of Social Support (SSS), Religious Beliefs and Behaviors (RBB) and Spiritual Well-being Scale(SWBS).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QOL score and other variables were examin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The WHOQOL sc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 level, SSS (support) and RBB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ST, DrlnC, BDI, STAI (trait) and SSS (conflict) scores.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scores on the STAI and BDI contributed to the score on the WHOQOL. The SBQOL score correlated with the income level,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BDI and STAI score. STAI score was a weak predictor of SBQOL score.
Conclusion :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QOL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wer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 (5) :459-467)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국어판 정신분열병 삶의 질 척도의 개발과 PANSS와의 관련성 | 김진훈 ;임선진 ;민성길 ;김승업 ;손소정 ;Diane J Wild ;박성혁 ;이황빈 | pp.401-410 |
|
보기 |
정신분열병 가계에서 6p24-22 염색체에 대한 연관 분석 | 박동연 ;이유상 ;장용이 ;조은영 ;전현옥 ;박해정 ;김종원 ;김창현 ;이동수 ; | pp.411-417 |
|
보기 |
한국판 정신질환의 내재화된 낙인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황태연 ;이우경 ;한은선 ;권의정 | pp.418-426 |
|
보기 |
안정기 양극성 장애 I형 환자에서 정신병적 증상에 따른 기질과 성격 | 박동화 ;정재영 ;최혜정 ;김세주 ;조현상 ;석정호 ;이은 ;전덕인 | pp.427-431 |
|
보기 |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한 연구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 노명선 ;전홍진 ;이해우 ;이효정 ;한성구 ;함봉진 | pp.432-437 |
|
보기 |
강박장애와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 질 | 손상준 ;김세주 ;김찬형 | pp.438-443 |
|
보기 |
한국인 강박장애와 Val-158-Met Catechol-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 간의 상관성 연구 | 천근아 ;김세주 ;김찬형 ;구민성 ;남윤영 ;박성혁 ;이홍식 | pp.444-452 |
|
보기 |
주산기 백서에서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와 공간 기억력과의 상관관계 | 박민성 ;박제민 ;신성현 ;한귀원 ;김명정 ;김성곤 | pp.453-458 |
|
보기 |
남성 알코올 의존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영적 특성과의 관계 | 최삼욱 ;나란희 ;김한오 ;최성빈 ;최영숙 | pp.459-467 |
|
보기 |
인터넷 중독 성향을 보이는 남자 청소년들의 기질 특성과 유전자 다형성 | 김은영 ;이영식 ;한덕현 ;서동수 ;기백석 | pp.468-475 |
|
보기 |
외상 후 강박장애의 연속 증례 :6개월 추적 조사 | 배활립 ;김대호 ;안정우 | pp.476-480 |
|
보기 |
고용량 퀘티아핀과 관련된 갑상선 이상 및 발작 발생 사례 1예 | 최순호 ;강시현 ;김창윤 | pp.481-483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